조공원정대
배상민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날 것 없는 청춘들의 속절없이 웃기고 대책없이 울리는 이야기

 

주위를 둘러보면 세상살이에 지친 하류들은 누렇게 뜬 얼굴로 오로지 자신의 길만 걸어가고 있었다. 내 눈에는 우리가 무엇엔가 내몰리는 좀비처럼 보였는데, 뒤에 무엇이 있는지 아무도 돌아보려고 하지 않는 것 같았다. 그래서 나는 이 소설들을 쓰기 시작했다. 우리 뒤에 무엇이 있는지 조금이라도 그려보고 싶었다. - 작가의 말

 

배상민 작가의 전작인 콩고, 콩고가 그렇게 재미나다 들었기에 표지부터 남다른, 그리고 제목도 뭔가 우스꽝스러운 이 책은 얼마나 재미난 책일까 싶었다. 그런데 블랙 유머라고 해야할까? 마냥 웃을 수 만은 없게 만드는 그런 하류 인생들의 이야기이다.

이게 하류 인생이야? 하며 발끈하는 우리네 신세들도 있겠지만.

 

앞만 바라보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작가 말대로 우리 뒤에 누군가 있는 것을 뒤돌아보기보다 우리 앞에 있는 사람을 따라잡는데만 급급한 삶이 더 익숙한지 모르겠다. 다른 부류의 사람들 이야기는 정말 작가 말 마따나 드라마나 책 등을 통해 주로 만나보았다. 그렇다고 정말 책 속 등장인물들이 전부 우리와 동떨어진 사람들인가 하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우리도 언제고 그 안에 동참할 수 있는.. 그런 젊은이들의 이야기이다.

 

조공원정대라는 다소 거창한 제목 탓에 뭔가 엉뚱 발랄한 이야기가 이 책 한권을 다 아우를 줄 알았는데? 안녕 할리의 이야기를 읽다보니 할리 데이비슨을 좋아하는 뒤늦은 엄마 반항아인 아들과 그가 할리라 이름붙인 엄마의 양아들같은 시베리안 허스키 강아지의 이야기였다. 조공원정대와는 거리가 있는걸? 싶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하나하나의 이야기가 별개의 이야기인 단편 8개의 모음이었다.

 

그리고 읽다보면 이 시대 젊은이들의 비극적인 자화상에 가슴이 싸해지는 그런 감정을 느끼게 된다.

안녕 할리만도 해도 철저히 계산된, 자랑하고픈 아들을 만들어내고싶었던 엄마의 양육 방식하에 자란 아들이 엄마 뜻대로 움직여주질 않자 엄마는 '개새끼'만이 내 말을 들을 거라면서 강아지를 데려다가 자기 마음대로 아파트에 적합한 중성화 수술에 똥 냄새 심하다고 맛있는 것도 안 주고 사료만 먹이고.. 개를 보며 가슴까지 허해지는 듯한 느낌을 받는 아들과 달리 엄마의 시선은 좀더 다른 듯 하였다. 그런 첫 개 팔팔이가 죽고 나서 불교식으로 화장을 시키고 나자 개의 몸에서 엄청난 사리가 나와 스님까지 놀라게 하는 등. 엄마가 키운 개 두마리를 통해 주인공은 자신의 모습을 대비시키고, 엄마 뜻대로 해드리고 싶었으나 마음먹은대로 되어지지않았던 현실을 박차고 나가고 팠던 그런 마음을 (그러나 결과가 자기 만족적이지 못하였다.) 담아내고 있었다.

 

 

 

 

조공원정대는 조공이라는 말 자체가 참 굴욕적일 것만 같은데..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들에게 팬이 직접 찾아가 선물을 바치는 것을 조공원정대라고 한다나? 뭐 제목만 듣고 그런 뜻일거라 짐작은 했는데... 시골의 백수 삼인방 친구 셋이서 흠모하는 소녀시대에게 조공을 바치러 떠나는 그 설정은 참으로 코믹하기 그지없는 시작이 아닐 수 없었다. 그 끝은 결코 코믹하지 않고 씁쓸했지만 말이다. 사귀던 여자친구가 임신을 하자, 어차피 아이 아빠 될 거 마지막 소원으로 소녀시대 얼굴이라도 보겠다면서, 여자친구가 그렇게 애지중지하는 코피 루왁을 훔쳐서 자기의 아이돌인 소녀시대에게 갖다 바치기 위해 서울로 무작정 상경을 한다. 여자친구의 코피 루왁은 백수 선배에 의해 한번 끓여지고, 두번째 그가 돈 벌어 사들인 코피 루왁은 제대로 바쳐지지도 못한채 길바닥에 짓밟히고 말았다. 누군가는 평생의 로망처럼 그렇게 애지중지한 꿈이 그렇게 짓밟혀버리니 내 마음까지도 짓이겨진듯 속상한 기분이 들었다. 철없던 남자는 여친을 끝까지 외면하다가 뒤늦은 후회를 하지만 이미 늦어버리고 말았다.

 

 

 

 

열심히 살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한 인생들의 실패한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입맛이 쓰기만 하다.

그러면서도 다른 이야기는 또 어떠할까? 하는 궁금증에 끝까지 금새 읽어내려간 책이긴 하였다. 어찌 이 세상이 달기만 하겠는가.

아니 실제로는 이렇게 씁쓸한 이야기가 훨씬 더 많을 것이다. 블랙 코미디 같은 이 엉뚱한 현실.

대학을 나와도, 혹은 나오지 못했더라면 더더욱 취직도 되지 않고 취직이 되지 않으니 내 앞가림조차 힘들어 사랑도 할 수가 없다. 운좋게 굴러들어온 사랑조차 현실 앞에선 철저히 고개를 돌리며 안정적인 사랑(? 자신의 2세를 안정적으로 꾸려줄 남자)을 찾아 여자는 다시금 떠난다. -유글레나 

 

 

 

 

 

 

하나하나의 이야기 장치들은 재미난데, 그냥 웃기만 할 수 없게 만드는 그런 이야기.

문학평론가 이경재님의 이야기처럼 배상민님의 소설은 모종의 부조화에서 비롯되는게 맞는 것 같다. 웃기지만 , 사회를 풍자하지만 그렇다고 엄숙하거나 보수적이지 않은. 그냥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만드는.

우리의 한숨은 어떠할 것인가.

현실을 다시 되돌아보게 하는 그런 자연스러움.

그냥 그는 띠지의 말 그대로 취업도 연애도 결혼도 생계도 난망한 이 시대 하류 인생들의 생태 보고서, 보고서를 적어냈을 뿐이다.

그 이야기에 웃고 울게 되는 건 독자들의 몫.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