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혜영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물에 빠진 위기 상황, 딱 한 사람만 구할 수 있는 상황에서 배우자를 구할 것인가? 어머니를 구할 것인가?

이런 상상하기도 힘든 질문을 접한 적이 있었다. 책에서였던가, 아니면 일상 대화에서였던가. 어느쪽이건 정말 상상하고 싶지 않은 상황이었다. 과연 한 사람을 고를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어머니와 아이 중 택일이었던가. 어떤 질문이건 잔인하기는 마찬가지였다.

현명한 대답이란 과연 있을 수 있는 것인가.

학창 시절의 나의 대답은, 어머니를 구한다였던 것 같다. 배우자와 아이는 다시가(새로운 ?) 가능하지만 어머니는 다시 만날 수 없는 분이기에 그런 생각을 했었는데.

결혼을 하고 아기를 낳고 나니, 누군가 내게 그런 질문을 한다면 그때처럼 논리적인척 대답을 하지 못할 것 같았다. 아이는..

낳기 전과 낳고 난 후가 확연히 달라진다. 내게 없던 모성이라는것이 생겨나기에..

 

이 책의 주된 화제는 바로 그 질문이었다.

단 한 사람. 위기 상황 속에 구해낼 수 있는 사람은 단 하나였다.

세상 어느 누구보다 사랑한 어머니와 자신의 친딸 중 딱 하나를 구할 수 있었다.

엄마를 너무나 사랑했던 딸은 잠시의 고민도 하지 않고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손을 내밀었다.

그러나 외할머니는 엄마는 당연히 아이를 구해야하는 거라며, 손녀를 구하려 하지 않는 딸을 나무라며, 스스로 목숨을 끊어버리고 말았다.

사랑했던 어머니 대신 살아남은 딸. 친정어머니의 유언대로 금지옥엽처럼 기른 딸인데, 그 딸이 자살을 시도하였다.

이 책은 거기에서부터 시작한다. 금지옥엽처럼 기른 딸의 자살시도.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란 여주인공은 밝게 빛이 나는 존재였다. 그런 그녀가 음울한 분위기의 그림을 그리는 다도코로와 만나고 결혼하게 된 것은 어머니의 적극적인 지지때문이었다. 엄마를 너무나 사랑한 주인공은 엄마에게 언제나 칭찬받는 딸이 되고 싶었고 그러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한다. 정말 부단히.. 사랑이란 내리사랑이라고들 해서, 자식의 부모에 대한 사랑이 깊다고 해도 자기 자식에 대한 모성을 이겨낼 거라곤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일상적인 말을 벗어나는 이번과 같은 경우도 있나보다.

 

나 또한 엄마의 깊고 깊은 사랑을 받고 자란 터라, 단 한번도 엄마께 "나중에 커서 너 같은 자식 낳아봐라." 소리 한번 들은 적이 없었다. 어찌 나라고 부모님 말씀을 거역하지 않고 자랐을까. 게으른 면모도 많았고 속상해서 투정부리고 할 적에는 엄마를 힘들게 한 적도 꽤 많았을텐데도 늘 사랑으로 어루만져주신 기억이 있다. 순하다는 아들 하나 키우는데도 허덕허덕하는 나로썬, 삼남매인 우리들을 키우면서 앓다싫다 소리 하나 없으시고 모두 행복한 기억을 갖게 또 지금도 엄마에 대한 사랑이 충만하게 키워주신데 그저 감사할따름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가족, 신랑을 만나 나도 드디어 엄마가 되고.

타고난 엄마란 분명 없을 거라 생각하지만 그래도 꽤나 잘들 하고 있다 생각하는데 막상 난 참 그러질 못했다는 후회가 들기도 한다. 다만 아이 어릴 적에는 동생도 놀랄 정도로 끈기있게 참아가며 아이에게 화 한번 안내고 물고 빨고 예뻐하기만 하였는데.. 아직도 어린아기인 아들에게 조금 컸다는 이유로 별거 아닌 이유로 언성을 높이는 요즘에는 미안한 마음이 들때가 많았다. 헬리콥터맘처럼 일일이 챙겨주지도 못하지만 다만 딱 한가지. 아이가 너무 예뻐 어쩔줄 모르겠다라는 내 마음과 애정표현은 우리 아들도 너무나 잘 알고 있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늘상 아들을 안고 뽀뽀하고 그렇게 스킨쉽을 해왔던 것 같다.

 

이 책의 엄마와 딸의 관계.

그래서 내 입장에선 좀 이해하기가 어렵고 힘들었다. 하지만 분명 이런 비슷한 상황에 처한 가정이 있으리라.

딸은 딸대로 엄마는 엄마대로 서로에게 가까이 가고 싶고, 서로를 아끼고 싶은, 그 고지대의 아름다운 집의 추억으로 되돌아가고 싶은데.. 그러질 못하고 서로 겉돌기만 한다. 자신도 모르게 서로에게 주어지는 생채기. 사실 어린 아이를 너무나 일찍 철이 들게 만든 아직도 아이같은 엄마의 모습에 가슴이 저릿저릿 아프기만 하였다. 엄마면... 이러면 안되는 거잖아. 책 속으로 들어가 말을 건네고 싶은 심정이었다.

하지만 자기 자신보다 자신의 어머니에게 보여지는 모습에 지나치게 연연했던 자신이었기에 그 방향을 잃고 나서는 게다가 고된 시집살이와 남편의 외면으로 기댈 언덕이 아무데도 없던 처지로써는 그렇게 약자인 딸에게 화살을 돌려야했는지도 모르겠다.

엄마와 딸의 같은 상황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

미나토 가나에의 글은 예리하게 상황을 짚어내는 그런 마력이 있었다.

불편한 진실을 외면하려 들지 않고 직면하며 이야기를 한다.

 

이상적인 사랑처럼 보였던 외할머니의 사랑, 자신의 딸과 외손녀에게 모두 행복한 기억을 안겨줬던 외할머니만 제대로 되어보이고 다른 사람들은 다 너무나 이상하게 느껴질 정도로 잔인했던 상황, 그 희생양이 된 어린 딸이 너무나 가엾게 느껴지기도 하였다.

아이는 정말 부모의 사랑을 충분히 받고 자라야하는 법인데..

엄마에게 충족되지 못한 사랑을 아빠를 통해서라도 얻었으면 좋았을텐데.. 아빠는 사랑을 제대로 표현할 줄도 모르고 자라난데다 급기야 딸과 아내의 불편한 상황을 외면하기까지 이르렀다.

 

금지옥엽.

참 좋은 말인데 이 책에서는 좀 생뚱맞게 들린다. 목에 걸린 잔가시처럼 느껴졌다는 어느 사람의 추적조사처럼 말이다.

딸은,자식은.. 마음으로부터 사랑하는 것이지 누군가의 부탁을 받고 그냥 보살핌만 주는 그런 존재가 아니다. 그런건 엄마가 아닌 유모나 보모, 그러니까 남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녀가 금지옥엽이라 표현한 깨끗한 옷 입히고, 따뜻한 이불 덮게 하고 밥 챙겨 먹이고 했던 그런 행동뿐인 것들은 엄마가 아닌 다른 사람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소녀가 진정 바랬던 것은 "평범한 엄마의 사랑, 모성"의 추구였다.

비뚫어진 사랑이 반복되고, 대물림되지 않기를 바란다. 사랑이 되길, 제대로 표현할 줄 알고 받아들일 줄 아는 그런 사랑을 주고 받게 되길.

소설 속 이야기인데도 아이와 엄마의 이야기를 다루니 멀게만 느껴지지 않는다.

늘상 하고 싶은 말은 이 세상 어느 아이고 모두 행복해질 권리가 있다라고.

열달간 엄마 뱃속에서 고이고이 자란 소중한 존재들은 그 가치를 존중받고 엄마 아빠의 넘치는 사랑을 받으며 자랐으면 좋겠다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