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 도서관
조란 지브코비치 지음, 김지원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6월
품절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읽지 않고는 배기기 힘들 매혹적인 제목의 환상 도서관.

처음에는 이 책이 장편소설인줄 알고, 첫 회부터 긴 호흡을 가다듬고 읽고 있었는데, 하나하나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그리고 각각이 무척이나 독창적이면서도 비슷한, (모두가 주인공을 당황하게 하거나 놀랍게 만드는 환상적인 도서관과의 만남이라는 설정을 두고 비슷하다 표현) "도서관"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어렸을 적에 봤던 외화 환상특급은 무척이나 인상이 깊은 이야기였다. 현실과는 다른 이야기면서도 어딘가 공간의 뒤틀림이 있는 것 같은 그 기묘한 이야기들은 생각할 수록 공포감을 주기도 하고, 묘한 그 느낌에 환상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일깨우게 해주는 그런 시리즈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이야기 너도 혹시 보았니? 하고 친구들에게 다시 묻기도 하지만, 신기하게도 같은 이야기를 공유하는 친구는 드물었다. 마치 나만 환상속에 들어갔다 나온 것처럼 말이다.



다른 누구도 아닌, 나 혼자서만..

바로 이 책의 도서관에서도 그런 경험을 한다.



오늘도 내게 엄청난 양의 스팸메일이 쏟아졌다. 도대체 어디서 내 주소가 누설이 된건지, 같은 이름에게서 계속 쏟아져나오는 짜증나는 스팸메일서부터 이제는 자극적이지도 않은 진부한 제목의 스팸내용들, 모르는 사람에게서 오고, 내용이 뻔할 것같은 메일들은 그래서 무조건 삭제부터 해버린다. 이야기의 시작은 그랬다. 사이버, 가상의 공간을 의미하는 가상이라는 이름이 붙은 도서관. 주인공은 어느날 무수한 스팸메일 중에서 가상 도서관이라는 메일을 받고, 작가라는 직업에서인지 자기도 모르게 클릭을 하게 된다.



모든 것이 다 있습니다. 라는 황당한 말에 그는 작가인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게 된다. 자신의 작품이야말로 자기가 가장 잘 아는 분야였고, 사이버에 자신의 작품이 공개된다는 것은 바로 저작권침해기도 했기에 그는 두가지 궁금증을 안고 클릭을 했다가 놀라운 세상과 만나게 된다. -가상도서관


나는 평범하게 이 자리에 있는데 도서관이라는 공통된 이름으로 낯선 존재가 내게 다가오는 그 느낌.

갇혀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혹은 실제로 갇혀 영겁의 세월을 보낼 수도 있다. 내용도 모르고 무수하게 쌓여가는 책에 집착을 하게 될 수도 있고, 반대로 내용에 집착하여 남겨야한다는 고통을 간직할 수도 있다. 혹은 책과 사투를 벌일 수도 있다??



아이가 미술 놀이 수업을 들으러 간 동안 읽기 시작한 이 책에서 눈길을 뗄 수가 없었다.

책을 좋아하는 내게 이 책은 정말 크게 공감이 되는 책일 수 밖에 없었고, 집안에 무수히 쌓여가는 책들은 바로 뒤돌아보면 쌓여있을 그 책들이 소설이라는이름으로 또다르게 내 앞에 나타난 현신일수도 있었다.


도서관은 토요일과 일요일에 문을 열지 않기 때문에 지금 가지 못한다는 것은 주말 내내 읽을게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이고, 그것은 꽤나 우울한 일이다. 혼자 살기 때문에 엄청난 양의 자유 시간을 어떻게든 채워야 했다. 오래전에 나는 독서가 텔레비전 앞에 앉아 감각을 멍하게 만드는것보다 훨씬 유용하고 즐거운 일임을 깨달았다. 63.64p 야간도서관



각각의 다양한 도서관을 만나게 되는 계기들을 접하다보면, 어느 한 도서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책을 좋아하는 마니아들인지라 책과 관련된 나름의 사연들이 돋보인다. 이 부분도 인상적이었다. 참 평범한 구절이었는데도 완전히 책에 중독되어, 티브이나 영화를 보지 않아도 가방에 서너권씩의 책은 반드시 챙겨갖고 다니는 나로써는 그의 기분이 정말 너무나 공감이 되었다.



책을 읽은 것은 정말 순식간이었지만, 그 짧은 시간 동안 나는 아주 긴 여행을 하고 온 기분이었다.

책,책,책..이라는 주제들로 활자를 넘어서서 시공간을 뛰어넘은 그런 세계를 다녀온 묘한 기분.

아마 이 책을 읽은 사람이라면 지금의 내 기분을 백배 이해할 수 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