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마지막 장미
온다 리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다 리쿠, 그녀의 이름만으로도 무수한 추리소설 팬들을 이끌어내는 영향력을 가진 작가. 일본 추리 소설이 우리나라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와중에 거의 선두에 서 있는 그녀의 작품을.. 나는 이 책 여름의 마지막 장미를 통해 처음 만나게 되었다. 꽤나 두툼한 책이어서 무척 오랜 시간이 걸릴거라 생각했는데, 예상외로 다 읽은 시간이 짧았기에 얼마나 속도감 있게 소설을 읽어갔는지를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은 아무 정보 없이 책을 읽기를 좋아하는데, 이 책은 도대체 어떤 내용일까 궁금한 마음에 먼저 읽은 분들의 리뷰를 몇 편 읽어보고 들어갔다.

 

평이 좀 엇갈리는 편이라서, 이 한 권으로 온다 리쿠의 제대로 된 재미를 느끼지 못하게 되지 않을까 두려움이 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빠르게 읽고, 마지막 책장을 딱 덮은 지금은.. 역시. 그녀. 라는 생각이다. 그녀의 이름으로 선택하는 추후 작품 선택에도 기대감이 드는 그런 작품이었다. 읽는 내내 계속 꼬여가는 스토리 덕분에 머릿속은 혼란스럽고 정신이 없었지만, 다 읽고 나서.. 아, 작가가 원하는 대로 이리저리 이끄린 이 느낌이 그리 나쁘지 만은 않았다.

 

해마다 으슥한 호텔 한 곳에서 벌어지는 비밀스런 모임. 그곳에는 그 파티를 주도한 재벌가의 세 자매의 이야기가 중심에 있다. 초대받은 이들은 그들의 친인척 관계거나 관련이 있는 사람들. 호텔에 묵으면서 자매들의 티파티에 호출되어 그녀들이 들려주는 그로테스크한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그리고 테스트에 통과하지 못하면 다음 초대에는 불리지 않을 수도 있다.

 

차례의 목차를 보고 어떤 사건이 일어날지 추론할 수 없도록..제 1변주부터 제 6변주까지.. 각 장마다 변주라는 제목으로 차갑게 이름붙여진 이야기들이 진행된다. 그럴수밖에 없는 것이 각 장이 끝날때마다 누군가 한명씩 죽음을 맞는데, 다음 상황에서는 그 사람들이 살아나 활동하고 있다.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인가.

서서히 드러나는 부자들의 악취미. 복잡하게 꼬여있는 치정과 애정 관계, 그리고 원한과 증오.

 

그래, 당신은 우리를 좋아하지. 나, 당신이 우리 관계를 눈치 챘다는 거 알고 있었어. 그리고 그렇게 나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도. 아니, 오히려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191p

 

각 단원마다 특징적으로 서술하는 화자가 달라진다. 그래서 몇장을 넘기고 나서야..아 이번 편에는 누구의 관점에서 이야기가 진행되는 구나를 알 수 있다. 각 장을 넘기면서 일어난 사건과 일어나지 않은 사건들을 조금씩 구분하게 되고, 그리고 그들의 치명적인 서로의 관계까지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진실은 거짓에 섞어야 한다. 그래야 더욱 진실다워 보인다. 또 진실은 농담에 섞어야 한다. 그래야 얘기가 더욱 탄탄해진다. 244p

 

그래, 세 자매가 없었던 일을 꾸며내어 만들어내는 스토리 텔링의 중심에는 바로 그녀들의 아버지, 회장이 존재하였고, 그때 그날의 사건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끝없이 궁금증을 자아내는 쌍둥이 유산 사건과 아름다운 두 남매의 이야기. 한올한올 얽힌 실타래를 풀어가듯, 거짓을 걷어내며 진실을 파악하려 하니 머릿속이 혼란스럽게 돌아가기는 했지만, 롤러코스터를 탄듯 약간의 어지러움증을 느낀 것 빼놓고는 새로운 재미를 주는 그녀의 방식에 푹 빠져들게 되었다.

 

저 여주인공은 자신에게 일어나지 않았던 일을 낯선 남자가 자꾸 일어났던 일이라고 말하니까 그런가보다고 믿게 되죠.

 ... 존재하지 않는 기억을 존재하는 기억으로 착각한 것이죠. 344.345p

 

소설 중심에 놓여있던 또다른 스토리 텔링. 바로 영화 <지난해 마리앙바드에서>이다. 계속해서 그 영화만을 보는 도키미쓰, 그리고 영화 속 대사를 소설 내내 액자식으로 끊임없이 소개하는 온다 리쿠. 그녀는 그녀가 생각해 낸 이 소설을 완성시킬 수 있는 매개체가 바로 이 영화가 될 것이라 하였다.

미궁같은 호텔을 배회하는, 인형처럼 무기질적인 등장인물.. 속삭임처럼 되풀이되는 대사.. 사실 이런 영화를 좋아하지 않았던 나는 그녀가 끊임없이 언급하는 이 영화 속 대사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해하기 힘들었고..사실 집중하기는 어려웠다. 계속 그녀의 영화 이야기는 건너뛴채 소설에만 몰입해갔는데..끝까지 소설과 영화가 맞물리며 진행되었던 것과 소설 끝 부분에 저자가 영화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해본것을 생각해보면.. 다시 이책을 읽을때는 영화의 대사들까지 곰곰 되새기며 읽어봐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  원작자의 머릿속에서 상영된 영화를 그대로 글자로 옮긴 형식의 산문, 아주 독특한 이 영화는 연극적이며, 실험적인 이야기, 그리고 기억의 변용을 다룬 다는 점에서 내가 쓰고 싶은 소설과 과거에 내가 그리도 여러번 보았던 영화의 이미지가 정확하게 겹쳐지는 듯 했다. 39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