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8 제너시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7
버나드 베켓 지음, 김현우 옮김 / 내인생의책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생소한 수식어들. 예전에 미처 만나지 못한 뉴질랜드 작가의 문학이었고, 인지과학, 분자생물학, 진화론, 플라톤 철학이 모두 한권에 담아낸 말 그대로 철학과 과학이 완벽하게 조화된 그런 소설이라는 것. 그리고 정말 깜짝 놀랄 반전이 있다는것까지.. 이 책 2058 제너시스에 붙은 수많은 수식어들이었다. 그리고, 나를 붙들어매는 표지의 흩날리는 금발(?) 머리와 몽환적인 느낌의 미래..

 

과연 2058년 이후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의 진보와 발달이 우리에게 가져다 주는 것은 어떤 모습일까? 많은 문명의 이기의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 미래 과학 문명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예측은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영화나 소설등을 통해서 봐도, 혹은 실제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유추해봐도 인간의 무한한 욕심을 반영하다보면 결국은 우리 스스로의 목줄을 조이는 그런 단계에까지 이르는 결과들이 속속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지금부터도 환경오염에 의한 지구 멸망의 가속화 등 조금씩 삐걱거리는 증후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3차 세계 대전 이후의 대 재앙.. 그 이후의 지구 모습에 대하여서는 지금의 인구가 아닌 정말 극 소수의 사람들만이 살아남아서 새로운 인류 문화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측하는 의견들이 많아 보인다.

 

이 책은 특이하게도 4교시의 수업(?) 이야기이다. 처음에는 무슨 내용인지 몰라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내 그 독특한 질의 응답 방식의 수업 내용에 몰입하게 된다. 학술원이라는 최고 두뇌 집단에 들어가기 위한 면접 고사가 바로 4교시의 수업으로 진행되고, 그 면접대상자인 아낙스의 서술과 묘사를 통해 우리는 미래의 모습을 엿 볼수가 있는 것이다.

 

아낙스는 아담 포드라는 영웅적인 인물에 대하여 공부를 하였고, 이야기를 펼쳐나가기 시작한다. 최고의 두뇌 집단 답게 면접관들의 질문은 집요하였고, 공화국의 이념에 반하는 의견일지라도 아낙스는 자신의 주장과 소견을 고집하여 발표한다. 면접관과 아낙스 간의 팽팽한 신경전과 수준높은 대화는 우리를 몰입하게 만들고, 그 속에서 같이 생각하게 만들어낸다. 그리고 작가가 우리에게 보여주고자 하는게 무엇인지..아담은 왜 중요한 인물인지에 대해 궁금증이 증폭되어 갔다.

 

아담 포드. 그가 태어난 해가 바로 2058년이다.

플라톤이라는 인물이 지금의 뉴질랜드에 스스로의 재산을 온통 털어넣고, 주민들을 설득하여 21세기 최고의 방벽을 쌓는다. 그리고, 2030년 경에 전 세계에 대 재앙인 역병이 돌아 온 인류가 거의 몰살을 당했어도 뉴질랜드의 주민들만은 안전하였다. 플라톤은 그 이후에도 다른 이주민들의 이주를 막고, 공화국의 규율을 정비하여 사람들의 목숨을 지켜내었다. 대신에 그는 자신의 소신대로 강령을 만들어 인류의 유전자를 연구하여 태어나서 1년이 되자마자 4개 계급으로 분류하고 맞지 않은 이는 제거한 후에 엄격하게 키워나가기 시작한다. 결혼도 마음대로 할 수 없고, 공동체 생활을 통해 사람들은 생활하게 되었다.

 

아담은 최상위 계층인 철학자 계급으로 태어났으나 유전자 표지 중 두개가 행동의 예측 불가능성을 암시하여 제거가 권장되었다. ( 이 부분은 마이너리티 리포트 영화를 연상케 하였다.) 2059년 두번째 대역병의 공포가 휩쓸고 돌아 아담은 구사일생으로 살아남게 되었다. 그리고, 그는 유난히 연애에 관심을 보여 여학생의 가방에 숨어들어갔다가 결국 계급 강등을 당해 그 다음 단계인 군인, 그 중에서도 방벽을 지키는 보초병이 되었다.

 

보초병으로서의 그의 주된 역할이 피난민들을 사살하는 것이었는데, 자신 또래의 어린 여자를 죽이지 못하고 오히려 동료 병사를 죽여 재판에 회부되었다. 하지만, 권력층의 바램과 달리 사람들은 아담을 영웅시했고, 그를 함부로 처단하지 못하게 되자 인류의 노동력을 대신하라고 만들어준 안드로이드의 교육용 인간으로 (안드로이드가 이전에 어린이들을 공격해 살해한 이력이 있어서 위험하였기에 똑똑하면서도 목숨을 걸고 교육할 수 있는 대상이 필요했다.) 아담을 투입하게 된다.

 

아담은 그렇게 아트라는 안드로이드와 만나 지능적인 대화를 하게 되었다. 물론 기계를 멸시하는 아담과 달리 집요하게 지능적인 질문을 이끌어내고, 존재에 대한 고찰, 그리고 인류와 로봇의 차이에 대한 질문을 당당하게 던지는 아트의 대범성에 나 또한 놀라고 말았다.

 

 


 

인간들의 문제는 뭐냐 하면 지구에서 생명이라는 것이 단 한번 창조된 줄 안다는 겁니다. 하지만 양식이 있는 외부 관찰자라면 그 일이 네 번 넘게 있었다는 것을 알겁니다. 게다가 나쁜 소식은 아쉽게도 당신네 인간들이 '자아'라고 생각하는 것은 겨우 두번째 단계 창조물에 불과하다는 사실입니다. ..저는 물론 네번째 단계입니다. 당신들 인간보다 두 단계나 진보한 생명체란 뜻입니다.

123p

 



 


 

나는 기계가 아니야. 기계가 어떻게 아침의 풀잎 냄새와 아이의 울음 소리를 알겠어? 나는 내 피부에 쏟아지는 따뜻한 햇살의 느낌이고, 나를 덮치는 차가운 파도의 감각이야. 나는 절대 가 본 적 없지만 눈을 감고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장소이고, 다른 이의 숨결과 그녀의 머리카락 색이야.

너는 인간의 수명이 짧다고 비웃었지만, 바로 그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삶에 생명을 주는 거야. 나는 사유에 대해 생각하는 사상가지. ..세상이 네 버튼을 누르고 네 회로를 훑고 지나갈 수 있겠지. 하지만 세상이 나를 훑고 지나갈 수는 없어. 세상은 내 안에 머무르는 거야. 내가 세상 안에 있고, 세상도 내 안에 있는 거라고. 그 어떤 기계도 나를 만들어낼 수는 없어. 내가 바로 의미야.

132.133p

 



 

아낙스는 3교시까지 짧은 쉬는 시간의 숨돌리는 여유를 제외하고는 정말 바쁘게..그동안 공부한 것들을 늘어놓았다. 그리고 4교시 마지막 수업에서 정말 충격적인 반전이 일어났다. 아낙스가 사라졌다 믿은 정보들이 사실은 공개되지 않은 정보였다는 것, 아트와 아담 간의 숨겨진 대화들로 인해 아낙스는 충격에 빠지게 된다.

아낙스를 경악케 하고, 나 또한 숨막히게 만드는 그 반전은 무엇이란 말인가.

 

기대할 수 밖에 없었던 책이고..

그 기대감이 나를 절대로 실망시키지 않았던 작품이었다.

 

나라면, 혹은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라면..

인간과 로봇의 차이에 대해서..

인간이 로봇보다 우월할 수 밖에 없다는 것에 대해서 당연한 논리를 펼칠 수 있겠는가?

우리가 알고 있었던 진실들은 다르게 흘러 갈 수 있다.

로봇은 우리와 다르다. 그들은 감정이 없다, 스스로 생각하는 관념이 없다.. 등등이 뒤집어진다면..?

연산이 아니라, 정말 생각이라면..

영화 아이로봇에서의 로봇들을 보며 미래의 로봇들과의 공존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두려웠었다.

2058 제너시스의 작가 버나드 베켓은..피해갈 수 없는 우리의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우리에게 다시 던져 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