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접시 요리 - 나를 위한 소박한 가정식
이보은 지음 / 사피엔스21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자취를 해본 사람은 잘 안다.

바깥에서 사먹는 밥이 물려서, 집밥 좀 해먹어봐야지 하고 요리책을 사거나, 레시피를 뒤져보면 대부분 듣도 보도 못한 각종 양념이나 허브 등 주재료 말고도 구비해야할 것들이 너무나 많아, 좌절하게 된다는 것을..

간장, 고추장, 된장, 올리고당 등의 기본 양념 이외에도 요리책에는 대부분 생소하지만, 꼭 필요할 것 같은 양념들이 제법 많이 포함되어 있다. 두반장, 굴소스, 우스터 소스, 머스터드 소스, 발사믹 식초,참치액  등등..

 

하나 사고 나서 다른 요리 하려면 또 다른 소스들을 사야 하기에 첩첩 산중이다. 그래서 요리를 몇번 해보기도 전에 "에잇 라면이나 먹자." 내지는 "시켜먹자"가 되어버리곤 했다. 결혼 후에는 어찌 됐든 해봐야 했기에, 소스들을 하나씩 둘씩 사모으기 시작했다는게 큰 차이일뿐..

너무 많은 소스들 덕분에 요리를 하려면 이번엔 또 뭘 사야하지? 하고 겁부터 났다.

그래도 신혼초에는 시간도 어느 정도 있고 해서 재료를 준비하고 요리를 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려도 해낼 수가 있었는데, 아기가 생기고 나니 시간이 걸리는 요리들은 포기를 해야했고, 서툰 살림 솜씨에 아기 돌보기까지 하려니 자꾸 살림이 뒷전이 되곤 하였다. 정성스러운 식단은 챙겨주기 힘들었고, 그냥 국 하나 찌개 하나 끓여서 있는 밑반찬에 먹곤 하였던 것이다.

 

안 그래도 입이 짧은 우리 신랑.

여름이 되니 입맛도 없고, 도통 생각나는 반찬도 없다고 해 걱정이 많았다.

이제는 국 , 찌개처럼 뜨거운 음식도 안 땡긴다 하고, 바쁜 아침에 생선 발라먹기도 귀찮다, 꽃게 바르기도 시간없다 하니 뭘 해줘야하지? 하고 무척이나 난감했다.

 

그럴때 무척 빠르게 있는 재료  몇가지로 뚝딱 만들어낼 수 있는 레시피로 무장된 "한접시 요리"를 읽었다.

주재료도 대부분 집에 있거나, 구하기 쉬운 것들이고, 소스 또한 기본 소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재료면에서 우선 부담이 덜하였고 방법 역시 초 간단한 레시피들이었다. 바쁜 직장인들, 요리 초보인 자취생들, 그리고 나처럼 시간 모자라다 투덜대는 아기엄마들까지 간단한듯 하면서 새로운 요리를 먹고 싶을때 (근사하지는 않아도 소박한 가정식임에는 틀림없는) 후다닥 빨리 만들어내는 요리법들이 가득했다.

 

오늘 아침에만 해도, 밑반찬과 오이 냉국만 있어서 어떻게 할까? (무엇보다도 시간은 신랑이 샤워할 그 잠깐의 시간만이 주어졌다) 고민하다가.. 간단히 책에 나온 주먹밥을 만들어봤다. 150p의 못난이 주먹밥을 만들어 본 것이다. 재료는 놀랍게도 시판 조미김과 깨소금, 참기름과 따뜻한 밥이 전부였다.

정말 간단해서 무슨 맛이 날까 싶었는데, 정성이 약간 첨가가 되니 그냥 김에 싸먹는 것보다 훨씬 그럴듯한 느낌이 살아났다. 단지 손에 기름이 묻을까봐 김봉투에 넣고 김을 부쉈더니, 비닐벽에 김가루가 많이 들러붙어서 책에 나온 양보다는 더 많이 넣었어야 간이 맞을 것 같다는 것이 만들어본 팁이라면 팁일까? 직접 손으로 부숴 넣는다면, 책에 나온대로 도시락 김 10장이면 족하겠지만, 비닐 등에 넣어 부술거라면 그보다 넉넉하게 넣어야 싱겁지 않을 것이다. 아니면, 그 안에 참치나 다진 장아찌, 볶음 김치등을 넣어도 좋고 말이다.

 

간단 레시피 덕분에 아침을 간단하면서도 맛있게 시작할 수 있었다.

정말 요즘의 나에겐 무척 요긴한 요리책이 되어 줄 듯 하다. 다양한 요리책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에서 자기에게 맞는 요리책을 만나 요리하는 것은 정말 요리학원 몇달 다니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이 되어준다는 생각이다.

간단 레시피를 원할때는 .. 특히나 자취하는 사람들이 간단하고 소박한 집밥이 그리울땐 이 책..한번 꼭 읽어보라고 추천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