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 조선을 사로잡다 - 일제 강점기 연예인이 된 기생 이야기
신현규 지음 / 어문학사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생 하면 흔히 드는 생각이 부정적인 이미지가 많았다. 여자라서 더욱 불편하게 느껴졌는지도 모르겠다. 사실 우리 나라에서 천한 직업에 속했던 기생은 고려시대부터 있어온것으로 추정이 되고, 조선시대에 번성하다가 일제강점기에 들어와 새로운 형태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사실 강압적인 근대화로 인해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일반 여염집 여자들은 멀리했던 신문화를 가장 먼저 받아들이고, 표현해낸 여성들이 바로 기생 출신 이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이 사실 우리나라 최초의 연예인이랄 수 있는 사람들이 바로 기생이라는 점이었다. 기생하면 접대하는 문화로 인식을 해서 성적인 코드로만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 책에 나온 기생들의 많은 생활상과 활약상은 성적인 코드 그 이상의 것들이었다.
 
사진을 찍히고, 대중 앞에 나서는 행위가 여염집 처자가 할 수 없는 일이라 여겨 회피하던 일을 기생들이 맡아서 함으로써 수많은 엽서 사진과 미인도 등의 그림에 기생들의 사진과 그림이 남게 되었다. 실제 사진을 보면서 그 당시의 미의 기준과 복식, 그리고 문화 등에 대해 조금씩 추론할 수도 있었다.
사실 지금 봐도 예쁜 여성들도 있었고, 대부분은 동글동글하고 선이 고운 얼굴들이었다. 지금의 마르고 지나치게 서구적인 미인들과는 확실히 차이가 있는 미인형이었다.
 
조선 유행가를 최초로 일본 전역에 알린 왕수복이라는 젊은 기생은 우리나라의 가수로 맹활약을 한 여인이었다. 또한 그녀는 문학을 좋아해 문인인 '메밀꽃 필무렵"의 작가 이효석과 사랑을 나누기도 하였다. 기생이라는 천한 직업을 갖고 있으면서도 항상 동경해마지않던 이효석을 그리고, 잠시라도 그의 곁에 있는 꿈을 꾸기도 하였지만, 건강이 안 좋았던 효석은 그녀를 놔두고 세상을 뜨고 말았다.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배우들, 그리고 cf모델들 역시 대부분이 기생 출신이었다.우리나라 연예문화 발전에 그들이 크게 기여했음은 따로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였다. 처음부터 계속 등장하는 권번 기생이라는 말에 권번이 무엇인가 궁금했는데, 기생 조합 혹은 기생 양성소 같은 역할을 하는 단체를 권번이라고 하였다. 지역별로 평양권번, 대동 권번 식의 권번에 소속되어 있는 기생들이 그 곳에서 수업을 받고, 기생으로써의 역할을 배운 후 실제 활동을 할때에도 어느 정도의 세 같은 것을 권번에 내고 활동하는 방식이었다.
 
처음에는 권번 기생이 관기인가 헷갈렸는데, 맨 끝의 설명을 들으니 어느 정도 이해가 되었다.
사실 기생의 이야기가 이렇게 많이 나올 줄은 몰랐다. 그저 조선시대 기생하면 황진이,논개 정도만 알고 있던 내게 조선 말기, 일제 강점기의 수많은 기생 스타들의 이야기는 정말 새로운 세계였다.
그들이 연예인으로서만 활동한게 아니라 신여성의 근간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하기 힘들었던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데 앞장을 서고, 또 독립운동가로써도 열렬히 활동을 했던 것을 보면 사회적으로 가장 왕성하게 활동을 한 근대 여성이라고도 볼수 있겠다.
 
어려운 살림에 혹은, 여러 정황상 어쩔수 없이 시작한 기생활동이었어도 자신의 지조와 절개를 굽히지 않은 강명화의 사랑은 100년의 사랑, 천년의 사랑으로 아직도 인구에 회자되는 사랑이야기라고 하였다. 사랑하는 남자 장병천을 만나 그의 뒷바라지를 위해 자신의 집까지 팔아가며 헌신했건만 백만장자인 장병천의 집에서 생활비까지 끊길정도로 홀대를 당하자, 사랑하는 이의 성공을 위해 자살하고 만다. 그리고, 그 무덤 앞에서 정신없이 울기만 하던 남자 장병천도 며칠만에 애인인 강명화의 곁으로 떠나고 말았다. 강명화의 사진이 이 책에도 실려 있었는데, 요즘에 봐도 고혹적으로 아름다운 여인이었다. 재주가 많고 아름다워 뭇 남성들의 인기를 독차지했으나, 자신의 소신을 끝까지 굽히지 않았던 위대한 사랑의 여인 강명화.
 
책 속에는 많은 기생들의 삶과 사랑이야기가 나왔다. '운수좋은 날'의 작가 현진건의 형 현정건과 열렬한 사랑에 빠졌던 현계옥은 남편을 따라 만주까지 건너가 독립운동을 할 정도로 맹렬한 여성이었다. 그녀 역시 기생 출신이었지만 자신의 의지가 확고하고 분명해 사랑과 애국을 동시에 쟁취할 수 있었던 것이다.
 
기생에 대한 놀라운 많은 이야기들을 한꺼번에 다루려니 책이 다소 복잡하게 느껴지기는 했지만, 그래도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었다. 우리나라 전통 왕실의 가무를 계승한 기생들의 업적은 더이상 폄하되어서는 안될것이고, 근대적 대중문화의 선구자로 앞장 섰던 기생들의 수많은 업적들이 그들의 천한 신분이라는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더이상 무시되어서는 안될 거라 생각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