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날의 파스타 - 이탈리아에서 훔쳐 온 진짜 파스타 이야기
박찬일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구판절판


언제부터였는지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는다. 처음엔 분명 그다지 맛있게 느껴지지는 않던 파스타였는데, 어느 순간부터 파스타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음식 중의 하나가 되었다. 처음에는 토마토 소스를, 그 다음에는 오븐 스파게티, 그리고 그 다음에는 한참동안이나 크림 스파게티만을 사랑했다. 그리고, 가장 나중에 좋아하게 되었던 것이 올리브 오일 소스, 봉골레 스파게티였다.



느끼한 음식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주위 사람들을 보면, 보통 나와 같은 단계로 좋아하는 파스타 순서가 바뀌는 사람들을 보곤 했다. 지금 내 여동생도 한참 크림 파스타에 빠져있고 말이다.



파스타, 스파게티, 라자냐..

맛있게 만들기로 소문난 맛집들을 찾아다니며 요리를 기다리고 있으면 행복한 맛으로 나를 이끌었던 사랑스러운 음식. 처음에는 직접 만들어볼 엄두를 전혀 못 내보다가, 결혼하면서 지방으로 내려오니 막상 맛있는 음식점들과의 결별이 너무나 아쉬워서 결국 내가 해먹어보기로 용기를 내게 된 음식.

맛집만큼은 아니지만, 레시피대로 만들면 생각외로 그럭저럭 먹을만한 음식이 나와서 친구들이 가볍게 놀러왔을때 뚝딱 내놓기에 좋았던 나의 파스타.



레스토랑에서 파는 파스타나 내가 만들어먹는 파스타나, 어떤 음식이든 너무나 사랑한다.

그렇기에 이 노란 표지의 '보통날의 파스타'를 처음 접하고 너무너무 행복하였다. 레시피뿐 아니라 파스타에 관한 여러 궁금증들을 시원하게 풀어줄 수 있는 이야기꺼리까지 푸짐한 책이었기 때문이었다.



글을 쓴 쉐프의 의도도 파스타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파스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먹을 수 있도록 쓴 책이라지 않은가? 이탈리아 ICIF를 수료하고, 시칠리아에서 연수하고, 한국에 와서는 청담동,논현동 등의 레스토랑에서 빅 히트를 한 유명한 쉐프 박찬일. 원래는 요리사가 되기를 꿈꾸기보다, 과일 깎기도 귀찮아 어머니 돌아오실때까지 기다리고, 밥 앉힐때도 설렁설렁 씻어서 밥솥에 올린다는 그. 하지만, 그의 파스타 사랑은 그리고, 이태리 정통 파스타에 대한 그의 사랑은 각별하게 묻어난다.



다양한 파스타를 소개하고, 레시피와 그 유래까지 설명해주는데, 마치 사진 속 파스타를 직접 내가 대접받고 먹고 있는 느낌을 받았다. 아, 실제로 먹으면서 읽을 수 있었다면 얼마나 더 행복할 것인가? 얼른 그런 미래가 오면 좋으련만..



우리가 만나고 맛에 익숙해진, 파스타들은 미국에서 변형? 변질되어 들어온 파스타나 피자가 많다고 한다. 실제 이탈리아에서는 피클을 곁들여 먹지도 않을 뿐더러 피자를 배달하는 문화도 아니라고 하고..또 크림 소스가 풍부한 까르보나라란 본토에는 없는 파스타란다. 이탈리아의 파스타는 우선 소스가 흥건하지 않고, 파스타 면에 살짝 묻어있는 정도이고, 우리나라 파스타보다 훨씬 짜게 느껴질수 있고, 재료 자체의 본연의 맛과 향을 살리는데 충실하다고 한다.



아직 가보지 못한 이탈리아. 하지만, 유럽에 가서 로마에 들르면 꼭 정통 파스타를 먹어봐야지 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섣불리 잘 안다고 생각한 (하지만, 실제로 우리는 잘 모르는 )'까르보나라' 스파게티를 함부로 주문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 책에 나온 많은 실제 요리 레시피들을 보며 정통 이태리 파스타를 얼른 만들어보고픈 욕구가 생겼다.



하지만, 정말 박찬일 작가님 말처럼 내가 만들어도 이태리 맛이 날 것인가? 근사한 사진과 달리 방법이 간단한 레시피들이 많아서 오히려 용기가 안생기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레시피 중에서도 정말 꼭 만들어보고픈 두가지 파스타, 바로 봉골레 파스타와 알리오 올리오 파스타이다.

특히 알리오 올리오 파스타는 딱 하나 마늘만 넣어서 만드는 파스타인데, 난 아직 먹어보질 못했다.

이 파스타가 조지 클루니도 좋아하는 파스타이자, 걸인부터 부자까지 누구나 좋아하는 파스타라고 하니 꼭 한번 만들어먹어봐야겠다. 너무 쉽고 재료도 너무 없어서 과연 맛이 날지 걱정스럽지만 말이다.



파스타를 사랑하거나, 혹은 파스타를 사랑하는 연인을, 와이프를 둔 사람이라면 이 책, 꼭 한번 읽어보도록 권하고 싶다.

그러면 식사시간, 데이트시간에 보다 더 많은 말들을 나눌 수 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