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선생님, 6개월 안에는 뵐 수 있을까요?
니콜 드뷔롱 지음, 박경혜 옮김 / 푸른길 / 2009년 12월
절판


병원에 장기간 입원을 하면 사람이 얼마나 지치게 되는지, 환자는 물론이고 간병하는 가족들도 지치게 된다. 사실 병원이라는 곳은 장기간은 커녕 하루 혹은 몇시간만 있다 와도 진이 빠지는 곳이라, 건강해져서 병원에 다시 안 왔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들게 된다.

사실 우리 가족 중에도 의사선생님이 있지만, 나 또한 병원이라면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건강하게 사는게 최고 좋기 때문이고, 아파서 병원에 오래 있는게 무에 그리 좋겠는가 말이다.
가까이 하고 싶지 않은 곳이건만, 부모님이 연세가 어느 정도 되시다보니 병원 문을 드나들 일이 늘어나게 되었다. 게다가 몇년전부터 어머니께서 유난히 일년에 한두차례씩 병원에 입원할 정도로 편찮으신 일이 생겨서 고생하셨다. 초등학교 선생님이신 어머니께서 방학때마다 병원 순례를 하신다고 농담이 나올 정도로 거의 병원 신세를 지실 일이 생긴것이다.

그러다가 재작년 초에 교통사고로 다리 골절을 심하게 입으셔서 병원에서 정말 오래 치료를 받으셔야했다. 3월에 사고가 나서, 이 병원 저병원 순방끝에 집에 돌아오신게 거의 9월인가 10월 무렵이었으니 근 6개월은 병원에 입원해 계셨던 것 같다.

오른쪽 다리 아래쪽 뼈가 두개나 모두 부러지고, 분쇄골절에 부러진 뼈가 피부를 뚫고 나오기까지 되어서 이 책의 작가처럼 다리 안에 철심을 박는 수술을 받으시고, 보기에도 어마어마할 기브스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큰, 아마도 밖으로도 고정 나사못이 있어서 그랬을것이다.)를 하시고 한참을 누워 계시다가, 휠체어로 재활치료를 시작하셔서, 힘들게 목발을 짚으시고, 또 몇달이 걸려 걸으시게 되었다.

그 과정을 곁에서 지켜보고, 몇달을 같이 병원에서 생활하면서 (아침 저녁으로 출퇴근하다시피 병원을 드나들었다. 그땐 우리 아기 채성이가 내 뱃속에 있을 때라.. 식구들 출근하고 난 이후에 말벗이라도 해드리려 내가 엄마 병원에 다녔다.) 얼마나 엄마가 힘드시고, 우울하셨는지 지켜보면서 너무나 잘 알게되었다.

그런데, 이 책, 소설이 아니라 아마 작가의 실제경험인 듯한 이 책속의 니콜 드뷔롱 역시 너무나 기구할 정도로 사건사고를 겪는다.

불꺼진 창고 계단에서 굴러서 너무 아파서 의사들에게 진료를 받는데 다들 타박상이라면서 진통제로 무마해버리고, 아무리해도 통증이 낫지를 않고 힘을 쓸 수가 없어서 물어물어서 건너건너서 유능한 의사를 찾아 진찰을 받으니, 척추가 골절되고 다른 뼈들도 눌렸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종합병원에서 유명하다는 교수님 진료를 받으려면 몇달씩 기다리기도 하는데, 프랑스는 우리나라보다 더 의료 여건이 어려운 실정인 건지, 환자가 의사를 만나려면 종합병원이 아니라 일반 병원이라도 몇달씩 걸린다. 유명한 선생님이라 그렇겠지만..
게다가 친구의 친구라도 되지 않으면 더더욱 만나기조차 힘들다.

다행히 니콜 드뷔롱 작가는 아는 인맥을 최대한 동원하여, 어렵사리 치료를 받게 되었다.
또 대대적으로 수술을 받고, 치료를 받는 와중에 심장이 안 좋다는 것까지 알게 되어서 그 수술까지 받느라 장장 2년 반이라는 기간을 이 병원 저병원 전전하면서 총 네명의 의사들에게 진료를 받게 되는 것이었다.

이 얼마나 지루하고 힘든 시간인가? 게다가 프랑스는 우리나라처럼 가족들이 간병 체계가 잡혀있지 않고, 남편도 그냥 가끔 들러서 바라보는 정도의 수준이다. 힘든 일, 어이 없는 일들을 많이도 겪으면서 니콜 드뷔롱은 유쾌하게 그 일들을 다뤄내고 있다.

본인은 정말 힘들었을텐데.. 그의 문체가 그러한지는 몰라도, 아, 정말 짜증나고 힘들었을 일들을 이렇게 담담히 잘 다루고 있다니 대단하다. 아니면..정말 삶을 긍정적으로 살기 위해서 이렇게 유쾌하게 생각해낸건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다리 골절에, 심장 수술에 또 멀쩡했던 다리마저 또 또 다치고..
또 환자분이세요? 라는 응급실 직원, 방사선과 직원, 의사의 말까지 들어가면서도 유쾌함을 잃지않는 멋진 작가.

그러기에 그의 글이 돋보이는게 아니었을까 싶다.

지금도 병원에서 재작년에 박았던 심을 빼내느라, 입원 중이신 어머니께 기운 내시라고,
"왜 자꾸 나만 이런 시련이 생길까?" 힘들어하시는 어머니께..이런 분도 계시다고 이 책을 읽어드려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