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구나 한번쯤 꿈꾸는 나만의 첫 책쓰기
양정훈 지음 / 판테온하우스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독서하는 것이 힘들다지만, 글쓰기는 그것과 또 차원이 다르다. 심할 경우, 산고에 비유될 만큼 힘들고 고통스럽다. 물론 그 열매는 달다. 지금은 누구나 글을 쓰는 시대다. 개인이나 조직에서 글쓰기는 중요한 능력이 되었다. 글을 쓰다보면 자신의 이름을 건 책 한권 내고 싶은 마음이 든다. 최근 들어 전문 작가뿐 아니라 자신의 분야에서 발견한 내용으로 글을 써서 큰 반향을 일으킨 사람들이 적지 않다. 어떻게 하면 좋은 글을 쓰고, 그 글을 묶어서 좋은 책을 낼 수 있을까.
글쓰기 코치이자 작가! 현재 포스코 코칭 전문가, ICF(국제코치협회) 인증코치, 한국코치협회 인증심사위원으로 기업의 신뢰와 소통에 앞장서고 있으며, 독서와 코칭을 접목한 <독서아카데미>, 작가되기 코칭과정인 <꿈꾸는 만년필>을 개발, 운영하고 있는 양정훈씨는 스스로 작가가 되는 과정에서 알게 된 경험을 토대로 [누구나 한번쯤 꿈꾸는 나만의 첫 책쓰기]를 만들어 냈다.
책 쓰기와 관련해서 정보와 노하우가 부족했기 때문에 가능한 많이 경험하고, 정리할 수밖에 없었다는 저자는 책을 쓰기 위해 수십 명의 출판사 대표 및 서점 북마스터, 작가 등 수많은 출판 관계자들과의 인터뷰 내용을 그대로 담아 출판계 이곳저곳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그것을 바탕으로 출판과 책 판매에 대한 대략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글이란 그저 막연하게 ‘잘’ 쓴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잘 써보고 싶다는 욕심이나 결단만으로 되는 것도 아니다. 검객이 무술의 초식을 익히듯, 악공이 악기를 다루듯, 한 수 한 수 터득해가는 장인적 과정의 산물이다. 저자는 올바른 작가란 많이 쓰기 이전에 많이 생각하고, 많이 읽어야 한다고 생각, 현재 만 권의 책을 목표로 매일 한 권의 책을 읽고 있다고 한다.
저자는 ‘글은 마음속에 쌓이면 도덕이 되고, 일로 드러나면 업적이 된다.’고 하면서 이 책을 읽는 자들이 언젠가는 ‘작가’라는 타이틀을 가지기 바라는 마음으로 또 다른 경험의 씨앗을 뿌린다고 한다.
저자는 책을 쓰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책을 쓰기 원하지만 시간적인 이유와 능력 부족을 이유로 시작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인생의 첫 번째 책을 내는 데 도움을 주고 싶었다고 한다. 이 책을 읽고 내가 느낀 것은 ‘내가 책을 쓸 수 있는 사람인가’ 하는 것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 내가 과연 책을 쓸 만큼의 자질이나 혹은 배경 컨텐츠나 기획력이 있는 사람인가. 다르게 생각해서 같은 주제라 할지라도 다른 컨셉으로 풀어 낼 능력이 있는 사람인가, 저자의 약력란에 나는 과연 몇 줄을 쓸 수 있을까? 이런 현실적인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막연히 책을 쓰고 싶다고 생각하던 내가 내 책을 언제 내겠다. 혹은 어떤 식으로 어떤 컨셉으로 어떤 기획으로 내겠다. 그리고 그 기간까지 나는 무엇을 하겠다고 정말 현실적인 고민을 한번 해보게 해주었다.
이 책의 특별부록에는 ‘글을 처음 쓰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은 책’, ‘글을 처음 쓰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은 책’을 추천하여 많은 도움을 준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앞으로 3년 안에 나는 내 책을 가진 저자가 반드시 되기로 결심했다. 그래서 내 책을 읽은 사람들이 ‘책을 읽게 되어 다행’이라고 느낄만한 유용한 책을 꼭 쓰겠다고 말이다. 그리고 나와 같이 자신의 책을 내고 싶다는 소망을 가진 이들에게 글쓰기 관련 책이 아닌 책쓰기 관련 책인 이책을 꼭 읽어보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