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인생의 도시 - 우리 시대 예술가 21명의 삶의 궤적을 찾아 떠난 도시와 인생에 대한 독특한 기행
오태진 지음 / 푸르메 / 2011년 6월
평점 :
오늘같이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날 <내 인생의 도시>라는 책을 읽었다. 원래 비 오는 것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오랜만에 내리는 비를 보니 시원하고 기분이 좋았다. 창가에 앉아서 빗소리를 들으며 책을 읽는다는 생각에 왠지 들뜨기까지 했다.
이 책은 조선일보 수석논설위원 오태진 기자가 어떤 분야에서 일가를 이루기까지 치열한 인생 스토리를 지닌 예술가 21명의 삶을 그 도시의 정취와 함께 인터뷰하고 취재한 산문집이다. 화가 4명, 학자 1명, 스님 1명, 영화감독 1명, 시인과 소설가 14명의 인생 열전이 담박하고 경쾌한 문체로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이 책에 소개된 21명의 예술가는 모두 살고 있는 곳이 다르다. 서울, 부산, 전주, 강릉, 강화, 장흥, 진주, 담양, 제천, 평창, 경주, 인천, 춘천, 화순, 일산, 원주, 울산, 지리산, 제주 서귀포 등 먼곳을 찾아 차를 몰고 다니면서 인터뷰를 했다. 황루시 교수를 취재하고 강릉에서 돌아오던 빗길 영동고속도로에서 사고를 만난 적도 있다. 책을 읽고 나면 이들과 전국 일주라도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든다. 하지만 공통점은 있다. 고향이건 아니건 그들이 살고 있는 곳은 그의 업이 풍성하게 꽃피웠고, 그가 있기에 그곳이 빛났다. 그들은 어디에 있든지 자신의 생활에 만족하며 자신들이 원하는 삶을 살고 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영화감독 곽경택의 부산에서는 영화 촬영이 없어도 한 달에 일주일은 부산을 찾는 용광로 같은 열정을 볼 수 있다. 시인 함민복의 강화에서는 갯벌에 말뚝을 박으면서 말랑말랑한 수평이 뻣뻣한 수직을 세우는 이치를 본다. 소설가 한승원의 장흥에서는 가장 깨끗한 개펄이 숨쉬는 아름다운 바닷가와 한승원 산책로를 만난다. 시인 안도현의 전주에서는 한 시간 거리 안에 바다와 평야와 심산유곡, 비빔밥처럼 잘 비벼진 도시를 만난다. 진주 시인 유홍준은 “공장을 다녔어도, 정신병원에서 일해도, 여전히 돈 못 벌고 비루하게 살아도, 입성이 초라해도 나는 시인”이라고 하면서 그러나 그는 “차마 하기 싫은 말이지만 현실은 돈”이라고 했다.
미황사 주지 금강 스님은 “불교가 사람들에게 더 가까이 갈 길을 찾아야 한다”고 하면서 미황사를 한국 불교의 보배요 샘물 같은 곳으로 만들고 싶어 한다. 사석원의 동대문시장에서는 점점 사라져가는 인심과 ‘흥’을, 그냥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담양의 소설가 문순태는 “나를 소설가로 키운 것은 무등산 자락 고향의 청정한 댓바람 소리와 물레방아 돌아가는 소리, 그 골짜기를 짜글짜글 뒤흔든 6?25의 총소리이다.”고 했다. 지리산 이원규 시인은 “스스로 지리산을 찾아든 것은 한없는 추락을 자처한 내 인생의 마지막 번지점프였다. 서울살이 10년의 환멸과 권태를 단숨에 깨뜨리는 자발적 가난의 외통수, 백척간두에서 한 발을 내딛는 해방이었다.”고 말한다.
저자는 30년 동안 신문사에서 글을 쓴 기자답게 이 책에 글을 쓰는 사람의 생각을 거의 담지 아니하고, 아름답고 절제된 언어로 사람과 장소, 그 운명적인 상관관계를 벼려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삶과 꿈을 이렇게 세세하게 그려낼 수 있었던 것은 “인터뷰가 아니라 고문”이라고 농을 할 정도로 정확하게 꼬치꼬치 물어서 기록한 기자의 올 곧은 취재 덕분이었다.이 책은 현직 기자와 기자 지망생, 다큐멘터리 작가 등 글을 쓰는 사람들에게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