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그렇게 연애하는 까닭 - 사랑에 대한 낭만적 오해를 뒤엎는 애착의 심리학
아미르 레빈.레이첼 헬러 지음, 이후경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사랑 받고 싶은 욕망이 있다. 여성들이 야한 옷차림을 하면서 아무리 자기만족이란 얘기를 한다 하더라도 그 여성이 일단 길을 나서서 시선을 받기 시작하면 그것은 더 이상 자기만족에만 그치지 않는다. 그녀는 시선을 받고 주목을 받으며 더 나아가 사랑을 받고 싶은 것이다. 남자들이 비싼 외제차를 갖고 싶어하고 달걀 흰자만 먹어가며 오늘도 헬스클럽에서 구슬땀을 흘리는 이유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렇게 사람들은 남들의 시선을 끌고 더 나아가 사랑 받고 싶어 한다.

책의 저자인 정신과 전문의의자 신경과학자인 아미르 레빈 박사와 레이첼 헬러는 연인 관계에서 상대방에게 깊은 신뢰를 주지 못하고, 사랑할 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감정인 친밀감에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을 ‘회피형’이라고 부른다. 지난 20년간의 연구기록과 상담사례를 담은 이 책은 현재 가장 진보적인 관계 과학인 ‘애착이론’을 통해, 힘든 연애를 종결하고 안정적인 상대를 만나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한다.

이 책은 간단한 질문들을 통해 자신과 상대방의 애착 유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 각 유형별 심리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본다. 상대방의 감정을 계산하고 지례 짐작해 걱정을 안고 사는 ‘불안형’인가. 늘 관계에서 일정한 거리를 고집해 결국 상대방을 애정 결핍 환자에 가깝게 만드는 ‘회피형’인지, 또는 ‘밀고 당기기’ 같은 소모적인 감정싸움을 싫어하고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을 말하고 상대방의 생각 역시 알기를 원하는 ‘안전형’인지 파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는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애착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해서 “흔히 부모와 아이들의 관계에 나타나는 애착은 성인의 연인 관계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친밀감을 느끼고 반응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안정형, 불안형, 회피형의 세 가지 애착 유형으로 나뉜다. 기본적으로 안정형은 친밀감을 편안히 받아들이는 따뜻하고 다정다감한 사람들이다.

기본적으로 안정형은 친밀감을 편안히 받아들이는 따뜻하고 다정다감한 사람들이다. 불안형은 친밀감을 갈망하고 연인 관계에 지나치게 몰두하며 자신이 파트너를 사랑하는 만큼 파트너 역시 자신을 사랑해줄 수 있을지에 대해 걱정한다. 회피형은 파트너와의 친밀감이 높아지면 자신의 독립성이 줄어든다고 여겨 끊임없이 파트너와의 친밀감을 줄이려고 애쓴다.”고 말한다.

저자는 애착 유형을 구별하는 5가지 황금률에 대해서 제시하기를 첫째, 친밀감을 원하는 사람인지 확인하자. 둘째, 관계에 집착하고 거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알아보자. 셋째, 하나의 ‘증상’만 보지 말고 다양한 신호들을 살피자. 넷째,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반응을 살피자. 다섯째, 말이나 행동을 하지 않는 때를 주목하자고 한다.

나 자신에게 딱 맞는 사람을 찾는 다고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세상에는 그런 사람이 없다. 한 평생을 함께 사는 부부간에도 맞지 않을 때가 있으니 말이다. 문제는 내가 다른 사람에게 맞추면 간단하게 해결이 된다. 이 책은 애착의 유형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흥미로운 책이므로 연애를 시작하려는 사람들이나, 배우자에 대해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사람에게 모두 유익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