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 없이 제대로 사랑할 수 있을까? - 관계와 사랑의 심리학
세르주 에페즈 지음, 배영란 옮김 / 황소걸음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인간관계나 사랑을 주제로 한 심리학 책이 서점에 많이 나와 있다. 특히 인간관계나 사랑에 대한 기술이나 방법을 제시하는 책들이 많고, 독자들 또한 그런 책을 자주 찾는다. 하지만 인간관계라는 것이 그렇게 쉽게 매뉴얼과 같이 되는 것이 아니고 아주 복잡하다. 사랑에 어떤 공식이 있다면 세상이 이렇게 복잡하지 않을 것이고, 사랑에 매뉴얼이 있다면 우리는 이렇게 혼란스럽지 않을 것이다.

프랑스의 정신과 전문의인 세르주 에페즈는 이 책에서 인간관계와 사랑을 이야기하지만, 행복에 대한 조언이나 행복해지는 비법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는 평소 관심을 쏟던 대로 애정의 관계를 구축하는 선을 따라가며 우리를 뇌와 무의식, 마음, 지나간 과거, 삶의 내면으로 데려가줄 뿐이다. 그는 인간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이야기해주고, 왜 같이 살아간다는 게 때로 그토록 복잡한 일이 되는지 설명해주며, 함께 사는 게 왜 그토록 놀랍고 즐겁고 괴로운 일인지, 왜 그렇게 성적이고 실망스러우며 혼란스럽고 불안정한지, 왜 그렇게 창조적이고 사람을 지치게 만들며 무궁무진한지 알려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정신분석과 함께 가정·부부 관계에 관한 심리치료를 한다. 그는 심리학·정신분석학 이론들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사랑의 관계에서 받은 상처와 절망들을 따뜻하게 어루만져 준다. 하지만 그는 정밀한 분석이나 치밀한 상담으로 상처를 어루만지지 아니하고 애정관계를 주제로 하는 문학·영화·미술 등 여러 예술 장르를 소개하므로 상처를 어루만져 준다.

이러한 것을 보면서 우리는 사람과 사람 사이를 엮어주는 끈이라는 것이 얼마나 복잡하고 풍요로운지 깨달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랑이라는 것이 어떻게 인간에게 다가오는지, 인간이 왜 그렇게 사랑이라는 문제에 열광하는지 이해하게 된다. 저자는 결국 사랑의 실수를 줄이는 법은 스스로의 정신과 심리를 음미할 수 있는 여유가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모두 4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파트 ‘너’를 (이해하길) 원하는 ‘나’에서는 우리의 머릿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을까? 세상의 기원, 내 모습을 잘 비춰주는 거울, 존재하는 두 가지 힘, 관계의 조율에 대해서 설명한다. 둘째 파트 ‘인간에게 어떻게 사랑이 올까?’에서는 모든 건 아주 어릴 적부터 시작된다고 하면서 정신분석에서는 왜 모든 걸 성으로 해결하는가? 무의식적이고 뿌리 깊은 관계, 정신분석가와 관계, 무의식의 고고학에 대해서 설명한다.

셋째 파트 ‘사랑은 어떻게 모든 걸 복잡하게 만드는가?’에서는 불같은 사랑, 남자로 살아간다는 것과 여자로 살아간다는 것과 사랑에 미친 자들에 대해 다룬다. 넷째 파트 ‘사랑, 가족, 민족’에서는 가족의 여러 가지 유형과 정신적으로 달라진 개개인, 자유에서 기인한 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책을 일어보면 주제마다 주제에 맞는 이미지가 실려 있어 이해가 잘 된다. 또한 주요 심리학자나 문학가들의 저술 중 중요한 부분의 내용이 실려 있어 저자의 주장뿐 만 아니라 여러 심리학자의 주장을 함께 볼 수 있어 관계와 사랑의 심리학을 제대로 알 수 있게 된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