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러스트>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아메리칸 러스트
필립 마이어 지음, 최용준 옮김 / 올(사피엔스21)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든 자신이 읽고 있는, 또는 읽고자 하는 책을 서점 가판대에서 만나게 된다면 반가운 마음이 들 것이다. 특히 그 작품이 본인 이외의 다른 독자에게 주목을 받고 있다면 왠지 모를 뿌듯함까지 생긴다. 『아메리칸 러스트』는 현재 독자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작가 필립 마이어는 독자의 기대에 100% 이상 충족시키는 이야기를 우리에게 선사한다.

한때 매우 부유했지만 지금은 가난하고 음울한 도시가 『아메리칸 러스트』의 주된 배경이다. 스러져가는 도시 속 가정의 운명 역시 그 도시와 다를 바가 없다. 처참하고 비참해진 가정 안에는 '희망과 꿈' 따위는 발 디딜 틈조차 없다. '꿈'을 향해 이 도시를 떠나든지 아니면 '꿈'을 잊고 이 도시와 함께 죽어가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떠나지 못한 사람들은 도시와 함께 절망의 늪 속으로 차츰 침잠되어가고 있는 중이다.

비상한 두뇌로 수재였던 아이작은 대학진학을 포기한 채 병든 아버지를 간호한다. 하지만 자신의 '꿈'을 찾기 위해 마을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고등학교 풋볼선수로 유명했던 절친한 포와 함께 떠나고 싶었던 아이작은 그를 설득하지만 포는 아이작의 제안을 거절한다. 그리고 사건이 발생한다. 위기에 처한 포를 구하기 위해 뜻하지 않게 아이작이 사람을 죽이게 된 것이다. 포는 살인사건의 범인이 되었고 그런 친구를 남기고 아이작은 마을을 떠나버리면서 본격적인 『아메리칸 러스트』가 시작된다.

실제로 쇠락해버린 철강도시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작가는 생생하고 사실적인 『아메리칸 러스트』를 멋지게 탄생시켰다. 부엘 이라는 도시의 흥망성쇠가 도시 사람들에게 미친 영향은 실로 지대하고 엄청났다. 나에게는 아메리칸 드림이 비단 외국인(미국인이 아닌)만의 문제가 아니었다는 사실도 새삼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작가는 한두 명의 주인공 위주의 시점을 탈피하고 살인사건과 관련된 등장인물 모두를 주인공으로 작품을 이끌어 간다. 아이작의 아버지와 누나, 포의 어머니, 경찰서장은 그들만의 시선으로 자칫 놓치고 지나칠 수 있는 요소들을 재확인시켜줄 뿐만 아니라 작품의 폭과 깊이를 넓고 깊게 만들어준다. 자신의 첫 번째 작품으로 『아메리칸 러스트』를 내놓은 작가 필립 마이어에 대한 찬사가 단순히 의례적인 것이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의 차기작에 대한 나의 기대는 필연이 되었다.

절망 속의 나태하고 안일한 일상은 마치 시한폭탄과도 같다. 아이작과 포 앞의 살인사건은 폭탄을 터트리게 만든 자그마한 불씨일 뿐 결코 시한폭탄이 아니다. 단지 평소 위험천만한 시한폭탄을 짊어지고 사는 그들에게 어떤 식으로든 폭발할 준비가 되어있었던 것이다. 살인사건으로 인해 터져버린 폭탄은 오히려 아이작과 포를 성숙하게 만든다. 자신의 범죄를 밝히기 위해 부엘로 돌아가는 아이작과 감옥에서 그동안의 자신을 반성하게 된 포는 아직 희망의 끈을 잡고 있음에 확실하다. 빛한줄기 새어 들어올 틈이 없을 것 같은 어둠 속에 한줄기 빛을 보여준, 희망은 있다고 하는 필립 마이어에 감사를 표하고 싶다.『아메리칸 러스트』를 내려놓은 지금 나는 표지의 녹슨 못을 유심히 바라보고 있다. 못 위의 지워지지 않을 것 같이 자리잡은 녹을 아이작과 포가 깨끗이 닦아내길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