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의 나나>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새벽의 나나 - 2010 제18회 대산문학상 수상작
박형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레오'는 왜 그토록 '플로이'에게 집착했던 것일까? 멀쩡한 청년이 태국의 고급 매춘부에게 현혹되어 수쿰빗 소이 식스틴에서 머물게 된다. 깊숙이 꼭꼭 숨겨뒀던 여행경비까지 야금야금 내어놓으면서 그녀의 곁을 맴돌았지만 '플로이'는 '레오'에게 관심조차 주지 않는다. 그런 그녀가 야속하기도 하지만 그녀의 미소 한방이면 섭섭했던 마음은 봄눈 녹듯 사라진다. 그는 이미 승산이 없는 게임 안에 들어가 있었던 것이다.

아프리카를 최종 목적지로 여행을 떠난 레오는 경유지였던 태국에서 발이 묶인다. 국수집에서 우연히 플로이와 만나 그녀가 적어 준 주소 쪽지 하나를 달랑 들고 그 길로 수쿰빗 소이 식스틴에 머물게 된 것이다. 하지만 『새벽의 나나』는 여행자 청년과 고급 매춘부의 아련한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레오와 플로이는 그들과 엮은 복잡한 인간 군상들을 보여주기 위한 그저 기본적인 장치에 불과하다. 추하고 정신도 오락가락하는 늙은 매춘부 욘, 자신의 쾌락을 위해 매춘을 하는 리싸, 울어도 웃는 얼굴이여서 억울한 까이, 날로 몸이 부풀어가는 우웨, 커튼을 팔면서 가족을 먹여 살리는 샨, 샨의 부인이자 마약판매업상이 된 억척스런 솜, 매춘부들 사이의 전설로 남은 지아, 등등 그다지 길지 않은 분량의 작품에서 등장인물은 쉴새없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들만의, 혹은 서로 관계된 그들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나는 이런 풍부하고 복잡다단한 등장인물과 이야기에 매료되었다.

『새벽의 나나』는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는 이상한 세계이다. 매춘부들의 일상과 그들이 처해 있는 상황은 너무나도 현실적이다. 하지만 방에서 한 발짝도 나가지 않고 술만 마시는 우웨는 용변을 보지 않는다. 가끔씩 내뱉는 걸쭉한 침이 우웨의 용변으로 표현된다. 나중에는 그의 몸이 방안에 꽉 찰 정도로 부풀어 올라 방안에 갇힌다. 또한 아이를 낳다 죽은 솜이 유령이 되어 산 사람들과 어울린다. 자신의 아이를 지켜보고 있다가 아이가 잘못 하면 나타나서 꾸지람을 한다. 그리고 식물인간이 된 샨은 화분에 묻혀지고 금요일에만 깨어나 다섯 아이들을 돌본다. 이렇듯이『새벽의 나나』는 비현실적인 현상이 당연하다. 그 누구도 이를 이상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단지 독자인 나만 고개를 갸우뚱할 뿐이다.

자정이 되면 나나 역은 온갖 매춘부들로 세상에서 가장 바쁘고 번화한 곳이 된다. 나나 역에 모인 사람들에게 "자정의 나나"는 환상의 세계이다. 하지만 자정이 넘으면 재투성이가 되는 신데렐라처럼 "새벽의 나나"는 그들이 직면한 가혹한 현실의 공간이 되는 것이다. 그들은 환상과 현실의 세계를 오가며 자신의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새벽의 나나』는 한 줄기 빛조차 새어 들어갈 틈이 없을 정도로 어두컴컴하다. 게다가 길가다 횡사한 동물의 사체를 본 것처럼 불쾌하기 짝이 없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새벽의 나나』를 내동댕이칠 수 없었다. '레오'가 '플로이' 곁을 떠나지 못하고 그녀의 옆에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나 또한 그랬다. 작가는 인간의 모든 치부를 드러내놓은 유쾌하지 않는 소재를 세밀하게 파헤치며 서술해나간다. 어떻게 하면 처절하게 묘사할 수 있을까, 곰곰이 고민하는 작가의 모습이 상상되는 것 같았다. 그리고 끔찍해하는 독자들의 얼굴을 기대하며 남몰래 웃고 있을 것만 같았다. 너무나 사실적이고 처절하게 묘사되어서 오히려 눈길이 가고 호기심이 발동하게 만드는 작품, 『새벽의 나나』를 작가는 창조해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