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은 어떻게 관용사회가 되었나 - 근대 유럽의 종교 갈등과 관용 실천
벤자민 J. 카플란 지음, 김응종 옮김 / 푸른역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회에서 개신교인들이 당연시하는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이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반발을 불러일으키는 일이 점점 잦아진다. 또한 우리는 사회적 소통이 가장 힘든 사안들이 주로 종교적 신념이 개입한 사례들이란 점을 경험적으로 안다. 물론 이런 문제를 역사 이래로 우리만 겪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과 암스테르담 대학의 교수로, 종교개혁 이후 피로 물든 유럽대륙이 상호공존을 위해 어떤 종류의 사상과 실천양식을 개발했는지에 천착해온 학자이다. 이 책은 흔히 학자들이 그러했듯 '관용의 사상'을 논제로 삼는 경로 대신 그런 사상을 알지 못했던 이들에 의해서도 수행되었던 '관용의 실천'에 주목했고, 그 결과로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복합적인 '관용의 사회사'를 그려낼 수 있었다. 그 덕분에 '불관용'의 문제는 결코 미개한 시대에만 속한 것이 아니며, '관용' 역시 근대화의 성취로만 여겨질 수는 없다는 시각 교정을 받을 수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고, 특히 개신교계는 가장 적대적인 주도세력이 되어 있는 '불관용'의 문제를 제대로 캐내어 맞대면 하려면 이 책을 피해갈 수는 없을 것이다. 귀한 선물을 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