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나라는 네 안에 있다 - 기독교는 신비의 종교가 아닌 새로운 생활의 이해다 PEACE by PEACE
레프 톨스토이 지음, 박홍규 옮김 / 들녘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톨스토이가 63세 되던 해인 1891년에 집필을 시작했다. 2년후 완성된 원고는 검열로 인해 러시아에서 출판되지 못하다가 1894년에 독일과 영국에서 출판되었다간디는 이 책의 영어판 출간 직후 읽고남아공에서 ‘비폭력 무저항 운동을 시작했다간디의 운동은 마틴 루터 킹에게 영감을 주었고실천적 모델이 되었다그 전설 속의 책이 100년도 넘는 시간이 지나서 새롭게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이 책은 톨스토이의 신학과 실천적 관심을 치열하게 논증하는 내용이다산상수훈의 원리에 근거한 기독교는 과연 폭력을 용인할 수 있는가그렇다면, 전쟁과 폭력에 관한 비폭력 평화주의가 기독교적 원리이자 대안이어야 하지 않는가그렇다면군대와 국가의 존재가 기독교 신앙과 어떻게 양립 가능한가이런 질문을 놓고 톨스토이는 동시대 신학자와 사상가들과 논쟁하고역사와 문헌을 뒤져 자신의 논지를 입증한다. 100년 전에 이토록 방대한 지적 네트워크를 가동했다는 사실이 경이롭다이 책의 번역자 박홍규 교수는 톨스토이를 ‘아나키스트의 반열에 놓고 접근한다그러나 톨스토이가 다루는 주요한 관심사는 ‘아나뱁티스트‘ 맥락에서는 낯이 익은 것이다(간간이 기독교 관련 내용에서 오자나 역자 설명의 미진함이 엿보이는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이 책을 통해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 ‘시민 불복종‘ 등의 사안에 톨스토이는 매우 강력한 논거를 제공하지만정작 그의 글을 구해 읽기는 어려웠던 그간의 갈증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어서 고맙다아울러, ‘기독교 신앙의 정수란 이런 것이라고 불을 뿜는 100년 전의 독자적 지성인이자 신앙인의 한 면모를 확인할 드문 기회가 허락되었다는 것도 기쁜 일이다. http://ichungeoram.com/106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