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놀란의 차기작이 '오펜하이머'라는 소식을 듣고, 미리 공부하려 연초부터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2011)를 읽었다. 이 평전이 '오펜하이머'의 원작이라는 것은 책을 받고 나서야 알았고... 쉬엄쉬엄 읽다보니 6개월이나 걸리긴 했는데, 그래도 나름 꼼꼼히 상황들을 이해하고 영화를 보게 되어, 어렵지 않게 즐길 수 있었다.













그 후, 그의 영화들을 다시 보고 싶어져, 그러다 아직 보지 못했던 '미행'과 '테넷'도 관람하기로 마음먹었고, 아예 연대기적으로 열 편의 영화들을 차례로 보면서, 그에 관련된 영화와 책들까지 찾아보게 되었다.


'테넷'은 감독이 자기만 알게 만든 영화 같았고, 두어번 보고 나서야 어느 정도 이해가 되었지만 여전히 어렵다. 그래도 몇 번 더 보고 싶어지는 오묘한 매력이 있는 작품. 『테넷: 메이킹 필름북』(2020)을 읽었는데, 그야말로 제작과정을 담은 스토리북일 뿐 해설서라고 하기엔 역부족.










'인터스텔라'를 보면서, 옛날 영화 '콘택트'를 비롯한 '마션' 등 SF영화들이 생각나서 다시 봤고('콘택트'가 '인터스텔라'의 모태가 되기도 했다), 칼 세이건의 동명의 원작소설(2001)과, 그의 대표작인 『코스모스』(2006)까지 읽게 되었다. 『코스모스』는 내가 말을 더할 필요도 없이, 칼 세이건이 인류에 남긴 최대 유산인데, 이것을 소설로 작화한 것이 『콘택트』이다. 영화 못지 않게 재미있었기에 일독을 권한다. 













『크리스토퍼 놀란 : 감독이 참여한 첫 공식 도서』(2021)는 놀란의 어린 시절을 다룬 것은 물론, 터 '미행'에서 '테넷'에 이르기까지 그의 영화에 영감을 준 영화, 책, 작가, 철학 등을 소개한다. 이 책을 통해 그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와 레이먼드 챈들러,이언 플레밍 등에게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는 '다크나이트 라이즈'의 원작으로 화제를 일으켰다. 영화 상영 당시에는 한창 디킨스를 좋아할 때였는데 펭귄코리아 판(2012)으로 읽었고, 올해에는 창비판(2014)으로 다시 읽었다. 창비판은, 많은 리뷰처럼 가독성이 많이 떨어진다고 느꼈는데, 이는 반대로 말하면 원문에 충실한 직역이다. 그래서 읽는 맛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첫 문장과 끝 문장이 모두 유명한 거의 유일한 문학작품이 아닌가 싶은데(특히 끝 문장은 영화에서 사망한 브루스 웨인에 대한 추도사로 인용), 창비의 번역은 심심하게만 느껴졌다. 물론 디킨스의 시적인 문장들은 원문으로 읽는 게 정답이지만.













젊은 날, 놀란이 주변에 두고 읽었다는 보르헤스. 민음사 판『픽션들』(2011)의 표지 디자인은, 이 작가가 어떤 작품을 썼으며, 놀란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짐작하게 한다. 이 단편들은 '메멘토'와 '인셉션' 같은 영화에 직접적으로 영감을 제공했다. 나아가 시간을 뒤섞어 재조립하는 그의 플롯이 어디서 왔는지도.















아직은 읽지 않았지만, 놀란과 그의 영화를 만든 다른 문학작품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