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금의 샘 세트 - 전2권 - 석유가 탄생시킨 부와 권력 그리고 분쟁의 세계사, 최신증보판 ㅣ 황금의 샘
대니얼 예긴 지음, 김태유.허은녕 옮김 / 라의눈 / 2017년 8월
평점 :
『바람의 검심』 최대의 적은 시시오 마코토이다. 그의 대련장은 불기둥이 늘어서 있고, 거기에서 불이 뿜어져 나온다. 켄신 일행은 '취수' 냄새라고 하지만, 시시오는 그것이 '석유'라고 정정해 주고, 그것을 이용해 세계를 제패할 것이라고 호언한다.
만화의 배경은 1878년 경으로, 드레이크 대령이 석유를 퍼올린 지 20년 정도, 록펠러가 '스탠더드 오일'을 설립한 지 10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인데, 석유를 통해 세계를 제패한다는 생각이 과연 있었을까 싶다. 그러나 일본은 항상 석유 등 에너지 자원 수급이 국가적 과제였고, 이 만화가 연재되기 시작한 1994년 무렵에는 걸프전쟁(제1차 이라크전쟁)이 종결되는 등 석유가 세상을 움직이는 원동력이었다. 석유를 지배하는 자가 세상을 지배하는 것이었던 것이다. 이 장면은 역사적 사실에는 부합하지 않겠지만, 90년대 초중반 국제정세 속 드러난 작가의 바람이라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황금의 샘The Prize』는 드레이크 대령의 최초의 석유 시추부터 걸프전까지를 다루고 있다. 개정증보판은 그 이후부터 2013년 경까지 이야기를 에필로그에서 살짝 언급하는 수준에 그친다. 그래서 석유를 넘어 신재생에너지 연구가 활발한 지금에는 시의상 맞지 않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세계 에너지 산업의 흐름을 알기 위한 필독서라 하겠다.
작가가 책에 붙임 제목인 'The Prize'는 윈스턴 처칠의 회고록에서 가져왔다. 독일과의 함대 경쟁이 한창이던 1910년 경, 해군장관 처칠은 영국함대의 에너지원을 영국의 풍부하고 질좋지만 효율이 떨어지는 석탄에서, 외국에서 구해야만 하는 석유로 교체하면서 '패권은 모험에 대한 보상'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석유를 지배하는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작가가 이 책을 통해 말하고 싶었던 것은 '패권'도, '보상'도 아닌 '모험'이었을 거라 생각한다. 석유를 찾아내려는 수많은 인간 군상들의 여정을 다루고 있어서이다. 곧 그들의 개척정신, '아메리칸 드림'이 책의 진정한 주제일 것이다.
고등학교 지리부도를 옆에 두고 밑줄 그어가며 참 열심히도 읽었다. 재미있어서 시간 가는 줄 몰랐지만, 두 권 1400쪽에 육박하는 벽돌인지라 꼬박 한 달이 걸렸다. 그 한 달의 시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나의 관점에 큰 영향을 미친 것 같다. 정말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