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자는 혼자다 2
파울로 코엘료 지음, 임호경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이 왜 승자는 혼자다 일까?

이 책에서 승자는 누구일까?

 

<아무리 악하더라도 강한 자에게는 사람이 모여든다.

혼자 외롭게 지내는 것보다 그게 훨씬 좋았다.

혼자라는 사실이 나는 너무 무서웠다. 외로웠다.

그래서 사랑의 주인공인 사람을 소유하고 싶었다.

그래서 사람이 살고 있는 세상의 주인이 되고 싶었다.

그렇게 사는 것이 혼자 외롭게 지내는 것보다 훨씬 좋았다.

그렇게 자기 좋은 것만 찾다보니 죽음의 순간까지 놓을 수 없었던 것이다.>

                                 -  "바람을 본 소년(2000년 오오모리 카즈키 감독 애니메이션)"중에서

 

이 책과 "바람을 본 소년'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흡사하더라.

바람의 부족은 하늘을 날 수 있는 부족이었다.

 

<하늘을 난다는 건 진정한 자유를 얻었다는 증거야.

바람의 부족들은 그 날 하루 먹는 것에 만족하며

욕심을 내거나 집착하지 않았어.

그런데 어느 날,

나무열매를 탐내는 사람이 생겼어.

그는 주머니에 가득 찬 열매 때문에 날 수 없을 정도가 됐지.

어느새 모두들 그를 따라하기 시작했고

그들은 더 이상 날 수 없게 돼 버렸지.>           - "바람을 본 소년"중에서

 

권력, 부를 가진 슈퍼클래스들은 강하고, 그 강한 자들 주변으로 사람이 모여든다. 더 많은

사람들을 모여들게 하기 위해서 더 많은 권력과 부를 축척해야 하고, 그러다보니 모여든

사람들과 주머니에 가득한 나무열매가 주는 풍족함, 더 가져야한다는 욕망으로 하늘을 날고

싶은 생각도 사라지고 끝내 그 자유는 잊혀지고 만다. 코엘료는 늘 하늘을 날 수 있었다는

것을 기억하길 바라는 듯 하다. 그리고 하늘을 날아라라고 부추기는 듯 하다.

 

살인을 한 이고르의 처벌은 책의 내용에 없다. 어쩌면 권력과 부는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잘못 조차도 묵인 될 수 있는 힘, 그래서 강자이고 싶은, 슈퍼클래스이고 싶은 끝없는 욕망

속에 사로잡히게 되는것일테지. 내 뜻대로 움직이는 세상을 보고 싶은 것일테지.

그렇지만 우리는 알아야지 싶다. 예전에 우리가 하늘을 날 수 있었다는 것을. 주머니에

가득한 나무열매를 비우면 하늘을 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며 살아야지 싶다.

 

그런데 나는 왜 주머니를 비워야만 하늘을 날 수 있다고 여기고 있는걸까? 보도 셰퍼는 <돈>

이라는 책에서 돈이야말로 자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라 말하지 않았나. 슈퍼클래스가

되어 본 적도 없으면서 그저 주머니를 비워야만 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따라가고 있는 나의

생각에 대들고 싶어진다. 자유로운 수퍼클래스, 가득한 주머니로 하늘을 나는 자유를 누리는

슈퍼클래스, 우리 모두의 꿈은 그런 슈퍼클래스이지 않을까... 바로 이것이야말로 욕심이란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승자는 혼자다 1
파울로 코엘료 지음, 임호경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와 내용이 상당히 어울린다 싶긴 하지만 표지 선정에 다소 실망감을 안고 읽기 시작

한다. 영화, 배우, 제작자, 모델, 디자이너들과 얽힌 슈퍼클래스들의 이야기가 흥미롭긴 하다.

슈퍼클래스라...

 

<사람들은 결코 만족하지 못한다. 가진 것이 없으면 갖기를 원하고, 갖게 되면 더 많은 것을

원한다. 그래서 더 많이 갖게 되면, 이제는 가진 게 거의 없어도 좋으니 행복하기를 바란다.

하지만 그런 행복을 위해 어떤 노력도 기울이지 못한다. 행복은 아주 단순한 거라는 사실을

그들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일까.(p75)>

 

10개 중 9개를 가진 사람 A, 10개 중 1개를 가진 사람 B.

A는 B가 가진 그 1개가 없다. 그래서 A는 B를 부러워한다. 그러나 B는 A가 부럽지 않은가

보더라. 자신이 가진 그 하나가 그저 감사할 뿐인가 보더라. 친구 B를 존경하는 이유 중 하나다.

현대의 문제는 부족함이 아니라 흘러넘침에 있다는 법정스님의 말씀에 깊이 공감한다.

이고르도 그렇게 흘러넘쳤던 것인가? 못가진 그 하나를 위해서 살인을 하는 이고르, 전혀

납득하지 못하면서 이야기는 흘러 2권으로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법의 순간 (양장)
파울로 코엘료 지음, 김미나 옮김, 황중환 그림 / 자음과모음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불륜>을 읽고 바로 이 책을 잡았더니 글이 눈에도, 마음에도 들어오지 않는다.

여백만 가득한 이런 책 별로라 하는데 코엘료라서 빌렸건만 <불륜>의 지대한

영향력으로 전혀 그 값어치를 발견하지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륜
파울로 코엘료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륜을 코엘료는 어떻게 풀었을까 싶어 첫장을 넘기는 손이 흥미로 가득했다.

불륜과 모험을 어떻게 연계시킬까, 불륜을 모험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는가,

모험을 위해서 윤리적이지 못한 것을 선택해도 되는가, ...

아, 어서 읽어봐야지.

.

.

.

차라리 이 책을 제일 나중에 읽었더라면...

페러글라이딩 후 급 사랑 운운하는데는 도무지 연관성도 없을 뿐더러...  

독후감이라고 쓸 말도 전혀 생각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례자 - 개정판
파울로 코엘료 지음, 박명숙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트루스 같은 존재가 있다면, 특히 그런 존재가 가족이라면 그 얼마나 축복된 일일까.

상상만으로도 신명난다. 나를 만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존재, 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해 주는 존재, 곁에서 나와 함께인 존재, 나는 늘 이런 존재가 그립다. 

<오 자히르>에서는 에스테르가 그러하고, 이 책에선 페트루스가 그러하다.

다만 나는 이들의 존재가 부각되어져 다가왔다.

 

산티아고의 순례길이 평범한 사람들의 길이라 코엘료는 말하지만

씨앗훈련, 속도훈련, 잔인성훈련 등등의 이름으로 하는 훈련들과

개의 이야기는 결코 평범한 사람들의 길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겪을 이야기는

아닌 듯 싶어, 그 길을 평범한 사람들의 길이라 그들이(코엘료와 페트루스)강조하는

것에서는 동조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그의 메시지는 언제나 나를 들뜨게 만든다.

"모험에서 마주치는 위험이 천 일 동안의 안녕과 안락만큼의 가치가 있다(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中에서)"는 말에서 내가 가질 수 있는 용기란 지금 당장이라도 산티아고로

향하는 비행기를 탈 수 있을 만큼이다.

 

2006년 이던가, <여자 혼자 떠나는 걷기여행(김남희)>을 읽고, 10년 후 아들이 

대학입학을 하면 산티아고 순례길을 가겠노라고 다짐하며 그 독후감을 적었었지. 

2018년, 지금도 여전히 나는 떠나지 못하고 있다. 책을 읽고 사무칠 바로 그때,

그때 떠났어야 하는 거다. "나중에"라는 것은 없는 거더라. 진정 없는 거더라.

그래서 늘 모험을 주저하지 마라는 코엘료의 메시지는 나를 흔든다.

그의 책을 모두 읽어보기로 작정한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