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 무엇이 가치를 결정하는가
마이클 샌델 지음, 안기순 옮김, 김선욱 감수 / 와이즈베리 / 2012년 4월
평점 :
<무엇이 가치를 결정하는가>
상상하지 못했던 것들이 돈으로 사고 팔 수 있는 대상이 되어있다는 것,
가히 식겁할 정도가 되었구나 라는 것을 깨닫게 하는 책이다.
어렴풋이 돈이 최고가 되었구나라는 생각은 들었다.
돈이면 다 되는 세상이 확실히 되어있었네.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정의란 공동선을 추구하는 것이라 읽었다.
이 책에서는,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고 돈으로도 살 수 없는 도덕적, 시민적 재화는 존재하는가?>라는
의문을 마지막으로 던지고 있다.
미덕이니, 善이니, 도덕이니 하는 것 조차도 이미
상업주의가 다 삼켜버려서 이제는 돈만 둥둥 떠다니는 듯한 느낌이 든다.
거대 자본주의 미국만 남아있는 듯한 느낌!
자본주의의 결말은 인류의 멸망, 지구의 멸망이지 싶다.
* 심지어 요즘은 선수가 홈으로 슬라이딩하는 것도 기업이 후원한다. (...) "세이프입니다. 안전하게 들어왔습니다. 뉴욕생명."
*시장을 좀 더 효율적으로 만드는 일 자체는 미덕이 아니다. 진정한 문제는 이런저런 시장 체제를 도입하는 것이 경기의 善을 향상시키는지 훼손시키는지 여부다
*'더러워지는 것'은 사과가 아니라, 점점 시장가치와 상업적 감수성이 지배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다.
*하지만 어떤 대상이든 기업의 로고를 새기면 의미가 바뀐다. 시장은 흔적을 남기기 때문이다. 간접광고는 책의 품위를 변질시키고 저자와 독자의 관계를 타락시킨다. 신체에 새기는 문신 광고는 그 대가로 돈을 받는 사람을 사물화하고 품위를 떨어뜨린다. 교실에 침투한 상업주의는 학교의 교육적 목적을 훼손한다.
*민주주의는 완벽한 평등을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시민에게 공동체적 생활을 공유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려면 배경, 사회적 위치, 태도, 신념이 서로 다른 사람들이 매일 생활하며 서로 마주하고 부딪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서로의 차이를 견뎌내고 이를 놓고 협상하고 공공선에 관심을 쏟는 법을 배울 수 있다.
따라서 결국 시장의 문제는 사실상 우리가 어떻게 함께 살아가고 싶은가에 관한 문제다. 모든 것을 사고 팔 수 있는 사회에서 살고 싶은가?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고 돈으로도 살 수 없는 도덕적, 시민적 재화는 존재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