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과 화학이 없으면 천문학과 생물학은 존립하기 어렵다. - P133

생물은 어디서나 생존경쟁을 한다. - P134

마르크스는 『공산당선언』 - P135

논리만 보면 윌슨이 옳다. - P136

사회생물학과 사회주의 - P136

ESS는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 - P137

적용 사례 - P138

상리공생 - P139

관대한 TFT - P140

동물행동학의 특수 분야 - P141

스타하노프 운동 - P142

ESS 모델은 민주주의 사회의 제도를 설명하는 데도 쓸 수 있다. - P143

경제학은 이 문제를 ‘주인-대리인principal-agent 모델‘로 설명 - P144

국민기초생활보장법 - P145

부정수급자 - P146

수학·게임이론 ·동물행동학·유전학 등 여러 학문의 도구와 문제의식을 결합한 ESS 모델은 사회제도의 구조와 결함을 진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P147

이타 행동의 비밀 - P148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브라이언 헤어·버네사 우즈지음, 이민아 옮김, 디플롯, 2022) - P149

자연은 경쟁과 협력을 차별하지 않는다. - P150

두배수체 diploid - P151

친족이타주의 - P152

해밀턴 모델 - P153

유전자는 자기를 복제할 뿐 - P154

비친족이타주의 - P155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는 없다. - P156

자유주의 성향 - P157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문예출판사, 2000. - P158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고 국제적 분업이 이루어져 지구는 하나의 마을이 되었다. - P159

우리 자신 말고는 누구도 우리를 구할 수 없으니까. - P160



단순한 것으로 복잡한 것을
설명할 수 있는가 - P161

( 화학 ) - P161

화학은 억울하다. - P163

작가 카슨 Rachel Carson(1907~1964)은 1962년 출간한 『침묵의 봄』에서 대중이 알아들을 수 있는 방식으로 그 문제를 설명했다. - P164

미국 화학업계와 언론은 카슨을 ‘신경과민에 걸린 여류작가‘라고 깎아내렸으나 대중은 카슨의 경고를 받아들였다. - P165

화학은 어떤 학문인가? 물질의 조성과 구조·성질·관계 · 변화를 연구하는 과학이다. - P166

자연 상태에 존재하든 사람이 만들었든, 물질로 존재하는 모든 것은 화학의 연구 대상이다. - P167

위대한 전자 - P168

화학은 ‘환원還元(reduction)의 필요성과 위력을 잘 보여준다. - P169

모든 원소는 영어 알파벳에서 가져온 ‘원소기호‘와 원자핵의 양성자 수를 나타내는 ‘원자번호‘가 있다. - P170

공유결합이 만든 ‘분자화합물‘은 부드러워서 액체나 기체가 많은 반면, 이온결합이 만든 ‘이온화합물‘은 고체인 경우가 많다. - P171

소금은 나트륨(Na)과 염소(Cl)의 이온화합물이다. - P172

리처드 파인만 지음, 박병철 옮김, 『파인만의 여섯 가지 물리 이야기』. 승산, 2003. - P173

천일염 - P174

우주에서는 원자핵이 모든 일을 한다. - P175

주기율표 - P176

표준 주기율표는 원소기호와 원자번호 말고도 여러 정보를 담고 있다. - P176

주기율표를 이해하면 화학의 기본을 안다고 할 수 있다. - P178

가로 줄을 주기週期(period) - P179

세로 열은 족族(group) - P179

원자는 중성이다. - P1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울신경세포 - P86

다시 맹자를 생각한다. 이 시대에 태어났다면 철학자보다는 과학자가 어울릴 사람이다. - P87

맹자의 사상과 이론은 나를 아는 데 도움이 된다. - P88

자유의지 - P89

김광규 시인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P90

김지하 시인 - P91

일관성 - P92

뇌를 유전자가 생존을 위해 만든 기계로 보는 견해 - P93

『뇌 과학의 모든 역사』(매튜 코브 지음, 이한나 옮김, 심심, 2021) - P94

아드레날린·도파민·세로토닌·옥시토신·엔도르핀·멜라토닌 - P95

우리의 자아는 언제 지진이 일어날지 모르는 땅 위에서 전자와 신경전달 물질의 홍수와 가뭄과 해일과 폭풍우를 견뎌야 한다. - P96

뇌는 학습하는 기계다. - P97

체코 극작가 차폐크Karel Capek(1890~1938) - P98

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ㆍ데이터 - P99

우리의 자아는 단단하지 않다. - P100

사랑하기엔 흉하고 절멸하기에는 아깝다. - P101


우리는 왜 존재하는가 - P103

( 생물학 ) - P103

좌파, 우파, 다윈주의 - P105

『이기적 유전자』 - P105

다윈은 그 시대 말로는 박물학자, 요즘 말로는 생물학자다. - P106

『종의 기원』 결론은 ‘모든종은 공통의 조상에서 유래했다.‘ - P106

다윈은 인간이 어디에서 왔는지 말이 되게 설명한 최초의 인간이다. - P107

『종의 기원』의 원래 제목은 ‘자연선택을 통한 종의 기원 또는 생존투쟁에서 선택받은 품종의 보존에 대하여‘(On the Origin of Species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 P108

맬서스T. R. Malthus(1766~1834)의 『인구론』 - P109

진화론이 인문학에 가한 충격 - P110

다윈의 이론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보다 더한 시련을 겪었다. - P111

다윈은 스펜서를 위대한 철학자로 평가했고 ‘적자생존‘
이라는 말을 『종의 기원』개정판에 받아들였다. - P112

찰스 다윈 지음, 추한호 옮김, 『인간의 기원 I』, 동서문화사, 2018, - P113

사회다윈주의는 ‘열등한 개체‘를 제거함으로써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고 주장한 우생학과 결합했다. - P114

사회복지학계는 좌파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 P115

생명의 알파벳 - P116

ESS 모델 - P117

‘불멸의 코일‘을 만드는 뉴클레오티드는 A(아데닌), T(티민), C(시토신), G(구아닌)이라는 네 종류의 염기(base)로 이루어진다. - P118

존재의 고독 - P119

나는 나, 나무는 나무였다. - P120

『랩 걸』(호프 자런 지음, 김희정 옮김, 알마, 2017) - P121

유전자와 인생론 - P122

유전자는 ‘오래 존속하는 염색체染色體(chromosome)의 작은 조각‘ - P122

상동염색체 - P123

호모 사피엔스의 나이는 20만년 - P124

지구 상태의 변화와 생물 종의 진화 과정을 추적한다. - P125

생명의 나이는 곧 유전자의 나이다. - P126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 P127

질문은 과학적으로 하되 답을 찾으려면 인문학을 소환해야 한다. - P127

창틀을 붙잡고 선 채 죽은 그리스인 조르바처럼! - P128

생물학 패권주의 - P129

종교 - P130

사회생물학의 질문은 인문학과 다르다. - P131

윌슨의 논리 - P1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무엇인가

(뇌과학) - P41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 P43

첫째, 사람은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알고 싶어 한다.
둘째, 자신을 알기 어렵다. - P43

‘나는 물리적 실체로 존재한다. 그런데 그 사실을 아는 나는 물리적 실체인 내가 아니다. 그 둘이 같지 않다는 것을 아는, 또 다른 내가 있다.‘ - P44

철학적 자아 - P45

나를 안다. - P46

나는 뇌다. - P47

1.4킬로그램의 우주 - P48

요즘 대중의 ‘최애과학‘은 뇌과학이다. - P49

『1.4킬로그램의 우주, 뇌』(정용·정재승·김대수 공저, 사이언스북스, 2014)  - P50

『뇌, 1.4킬로그램의 사용법』(존 레이티 지음, 김소희 옮김, 21세기북스, 2010) - P50

4차 산업혁명 - P51

아리스토텔레스는 ‘인문학 천재‘다. - P52

신경세포와 경제법칙 - P53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 P53

생물은 외부 환경의 변화를 신속·정확하게 인지해 최적 대응을 해야 생존할 수 있다. - P54

‘한계주의限界主義(marginalism) 혁명‘ - P55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은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을 낳았다. - P56

문제는 거기서 멈추지 않고 경제학을 물리학처럼 보이도록 개조한 데 있다. - P57

클라크는『부의 분배』The Distribution of Wealth - P58

스라파Piero Sraffa(1898~1983)는 『상품에 의한 상품생산』 Production of Commodities by Means of Commodities - P59

생산은 물질과 노동력을 결합하는 과정이다. - P60

노벨상을 받은 새뮤얼슨 Paul Samuelson(1915~2009)의 『경제학』 Economics - P61

소득분배 - P62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앨프리드 마셜 교수
"찬 이성더운 가슴" cool head warm heart - P63

현상과 사물 자체 - P64

칸트ㆍ헤겔ㆍ니체 - P64

임마누엘 칸트 지음, 정명오 옮김, 『순수이성비판/실천이성비판』, 동서문화사 - P65

자연철학 - P66

문장은 철학인데 내용은 과학이다. - P67

과학자는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지만 철학자는 모른다는 말도 무언가 아는 것처럼 한다. - P68

‘인간에게는 보편적 법칙이 될 수 없는 준칙을 거부하고 사람을 수단으로 삼는 행위를 기피하는 본능이 있다.‘ - P69

칸트는 지금은 틀리고 그때는 옳았다. - P70

칸트 철학과 양자역학 - P71

빛은 전자기파의 일종이다. - P72

별개의 현상인 줄 알았던 전기와 자기가 서로를 유도하는 결합 현상임을 밝힌 영국 물리학자 패러데이 Michael Faraday (1791~1867)와 몇 개의 방정식으로 빛이 전자기파라는 사실을정리한 스코틀랜드 물리학자 맥스웰James Maxwell (1831~1879) 덕분에 우리는 이런 사실을 안다. - P73

인간은 감각기관으로 인지한 것을 언어로 표현한다. - P74

독일 물리학자 플랑크Max Planck(1858~1947) - P74

‘사물자체‘는 굴절한 파장 380~720나노미터 영역의 전자기파이고, 일곱 색깔 무지개는 우리의 감성형식으로 질서를 부여한 ‘현상‘이다. - P75

주관적 감성형식 - P76

『눈먼시계공』(리처드 도킨스 지음, 이용철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4) - P77

칸트는 인간의 지적 잠재력과 과학혁명의 위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몰랐다. - P78

측은지심과 거울신경세포 - P79

자아 ㆍ 인격 ㆍ정체성 - P79

사람의 자아는 각자 다를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자아 안에도 서로 다른 여러 면이 있다. - P80

측은지심 惻隱之心(여린 것을 긍휼히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 羞惡之心(자신의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잘못을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 辭讓之心(자신을 낮추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 
시비지심 是非之心(옳고 그름을 가리려는 마음) - P81

맹자는 사람의 행동을 관찰해 인간 본성을 추론했다. - P82

무정부주의 생활공동체 운동과 극단적 고립주의 - P83

인간의 본성 - P84

인문학자는 하지 못했던 그 일을 신경과학자들이 해냈다.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시민 지음

돌베개

나는 무엇이고 왜 존재하며 어디로 가는가?

과학 공부로 길어 올린 생명과 우주에 관한 진실,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

"내 삶을 어떤 의미로 채울 것인가?"

지금 여기, 지식과 교양의 새로운 패러다임
과학의 사유와 인문학의 성찰이 함께하는 지적 여정

"문과도 과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서문
과학 공부의 즐거움 - P7

글 쓰는 문과 남자 - P7

과학사에 뚜렷한 지성의 각인을 남긴 과학자 - P10

과학은 지식의 집합이 아니라 인간과 생명과 자연과 우주를 대하는 태도 - P11

젊은 과학커뮤니케이터들의 건투를 빌며 - P11


그럴법한 이야기와 확실한 진리 - P13

( 인문학과 과학 ) - P13

거만한 바보 - P15

사생활 일화 - P16

과학 셀럽 - P17

『파인만!』랠프 레이턴 엮음, 김희봉ㆍ홍승우 옮김 사이언스북스 - P16

‘평등의 윤리‘를 주제로 뉴욕에서 열린 ‘학제적‘ 토론회에서 - P18

『코스모스』와 『이기적 유전자』 - P19

운명적 문과의 슬픔 - P20

선택은 수학을 잘해야 할 수 있다. - P20

신고전파 경제학을 완성했다는평가를 받는 마셜 Alfred Marshall (1842~1924) - P21

거시경제이론을 창안한 케인스John Keynes (1883~1946) - P21

게임이론으로 경제학을 혁신한 내시John Nash(1928~2015) - P21

경제지리학으로 무역이론을 한 차원 높인 크루그먼Paul Krugman (1953~ ) - P21

수학을 ‘우주의 언어‘라고 한 갈릴레이 Galleo Galilei (1564~1642)의 견해 - P21

과학자가 되려면 물질 현상에 대한 호기심뿐만 아니라 우주의 언어인 수학을 익힐 재능도 있어야 한다. - P22

인생에는 노력해도 안 되는 게 많다. - P23

과학커뮤니케이터 - P24

인문학과 과학의 비대칭 - P24

인문학의 위기 - P25

나는 인문학이 위기에 빠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P26

인문학은 자기 자신을 이해하려는 욕망의 산물이다. - P27

전통 인문학인 ‘문사철‘(문학·역사학·철학) - P27

과학자는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분명하게 나눈다. - P28

오래된 울타리 안에 머물면서 오래된 것에 집착하면, 과학이 새로 찾아낸 사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않으면, 과학과 소통하고 교류하기를 거부하면, 대학의 인문학은 존재의 근거를 잃을 것이다. - P29

과학과 인문학의 비대칭 - P30

『원더플 사이언스』나탈리 앤지어 지음, 김소정 옮김, 지호 - P31

"과학은단순히 사실의 집합이 아니다. 과학은 마음의 상태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이며 본질을 드러내지 않는 실체를 마주하는 방법이다." - P31

우리 집과 우리 엄마의 진실 - P32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1473~1543)와 다윈 - P33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 P34

클라크 John Bates Clark(1847~1938)의 한계생산력분배이론 - P35

호모 사피엔스 - P35

과학혁명 - P36

사람들은 인문학을 무시하기도 하고 인문학에 과도한 기대를 걸기도 한다. - P37

인문학은 생존의 도구가 아니라 우리 자신을 이해하려고 만든 학문이다. - P37

『통섭: 지식의 대통합』(에드워드 윌슨 지음, 최재천·장대익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5) - P38

과학을 전혀 몰랐을 때 나는 세계를 일부밖에 보지 못했다. -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저 읽은 독자들의 찬사!

"그거석들은 말없는 파수꾼이다. 움직이지 않는 관찰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