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위대 - P498

조선은 엄연히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일본에 불법적으로 합병되었다. - P499

100 우리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었다고? - P500

101 나라를 팔아먹은 이완용을 옹호한다고? - P503

을사늑약 - P504

이완용은 고종 퇴위(1907)에도 앞장섰다. - P505

팔지 못할 것을 팔아서, 누리지 못할 것을 누린 자. - P507

102 광복절인가? 건국절인가? - P508

정부수립일 - P509

103 홍범도 흉상을 육사에서 철거한다고? - P512

김홍일 장군과 채명신 장군 - P514

104 이화여대의 뿌리는 유관순인가? 김활란인가? - P516

해방과 함께 미군정이 시작되자 김활란은 모윤숙과 비밀 사교단체인 낙랑클럽을 만들었다. - P517

여서 존중은 무엇인가? - P519

105 중국은 천년의 적, 일본은 백년의 적이라고? - P520

사대적인 발언 - P522

106 일본군 성노예 위안부가 자발적 매춘이었다고? - P524

김학순 할머니 - P525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고 함께 아파할 줄 아는 마음이 곧 양지이다. - P527

고노담화(1993) - P528

107 독도가 우리 땅이 아니라고? - P530

일본은 군사 전략상 필요한 이유를 들어 가장 먼저 독도를 강탈했다. - P531

독도는 우리땅 - P533

108 윤석열의 비상계엄이 계몽령이라고? - P535

12번의 비상계엄 - P536

유신헌법 - P538

이처럼 박정희의 사망과 함께 선포된 계엄은 무려 7개월 뒤 전두환에 의해 전국으로 확대 선포되었다(1980.5.17.). - P539

헌법을 부정하는 자들 - P541

그렇다면 반국가 대통령 윤석열의 비상계엄선포는 정당했는가? - P542

부정선거 - P544

여소야대 - P545

에필로그
대한민국에서 올바르게 산다는 것 - P547

국가는 국민의 애국심을 고양하기 위해 노력한다. - P5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장
「5ㆍ18광주민주화운동을 폄훼하지 말라」 - P407

79 독재추종 세력이 5·18광주민주화운동을 부정하는 이유 - P409

80 서울역회군이 광주에 비극을 불렀다고? - P411

서울의 봄은 박정희 대통령이 시해된 1979년 10·26사건부터 1980년 5·17비상계엄확대까지 약 7개월의 기간을 말한다. - P412

서울역회군 - P414

81 광주학살은 전두환의 기획이었다고? - P415

82 학살이 먼저였는가? 저항이 먼저였는가? - P417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에 수록된 김정섭의 증언 - P419

심재철 - P420

83 광주 시민들이 어떻게 무장할 수 있었냐고? - P422

광주 시민들이 총을 들었던 이유 - P423

광주 시민들은 무장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과 1980년에는 어느 지역에서나 시민들의 무장이 지금보다 수월했음 - P425

84 공수부대는 광주에서 여성과 어린이들을 정말 죽였는가? - P426

공수부대 - P428

85 광주 시민들이 교도소를 습격했다고? - P430

시위대는 정말 광주교도소를 습격했을까? - P431

86 5·18광주민주화운동 때 북한군이 광주에 왔다고? - P433

북한군 개입설 - P434

양심선언 - P435

미국의 5.18 기록 어디에도 북한군 개입에 대한 정황이 없다. - P437

진돗개 하나 - P440

87 5·18 유공자 명단을 공개하라고? - P442

88 5·18광주민주화운동이 자랑스러운 진짜 이유 - P444

전두환 신군부는 계속해서 광주에 대해 오판했다. - P444

상무충정작전 - P446

89 내가 기억하는 5·18광주민주화운동 - P448

윤상원 - P450

11장
「통일을 반대하지 말라」 - P451

90 이승만정권에서 평화통일을 이야기하면 간첩으로 몰렸다고? - P453

조봉암
"나는 투표에서 이기고 개표에서 졌다." - P454

91 박정희와 김일성이 짜고 치는 고스톱을 했다고? - P456

남북한 긴장 관계의 고조를 명분으로 - P457

6.23 평화통일선언을 발표(1973) - P459

92 노태우의 통일정책만큼은 인정해야 한다고? - P460

비록 노태우는 광주의 학살자 중 한 명이었지만, 공산권 국가들과 발빠르게 수교했던 북방외교와 통일을 위한 노력만큼은 박수를 받을 만했다. - P462

93 1994년 전쟁이 일어날 뻔했다고? - P463

누군가는 전쟁을 막아야 했다. - P465

94 햇볕정책을 펼쳤는데 연평해전이 일어났다고? - P467

제2차 연평해전(2002) - P469

미국이 남한에 배치한 전술책 - P472

반공보수 - P474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 - P475

대북 송금 대국민담화 - P477

96 이명박근혜와 윤석열은 통일정책을 제시하지 않았다고? - P478

전시작전권 - P480

97 통일을 꼭 이루어야만 하는 이유 - P481

12장
「대한민국의 정신을 훼손하지 말라」 - P491

98 뉴라이트가 이렇게 출현했다고? - P493

뉴라이트가 대중에게 각인시키고자 하는 것 - P494

99 일본은 조선왕조와 전쟁을 한 적이 없다고? - P4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선엽은 자신의 친일 행적에 대해 사과하지 않았다.  - P343

67 6·25전쟁의 진정한 4대 영웅은? - P344

김홍일 - P346

학살 - P347

자주적인 전력 확보 - P349

68 국민방위군사건을 아는가? - P351

국민방위군 - P352

1951년 겨울의 참상 - P954

낙루장관 신성보 - P355

5장
「박정희 신격화를 중단하라」 - P357

69 박정희가 일왕에 충성을 맹세하는 혈서를 썼다고? - P359

만주신문에 썼다는 혈서 - P360

더러운 모순 - P362

70 박정희가 빨갱이였다고? - P363

71 5·16 쿠데타를 가장 기뻐했던 나라가 일본과 북한이었다고? - P365

72 한일수교가 굴욕적이지 않았다고? - P367

2년간이 군정 - P368

한일수교의 문제점 - P369

73 박정희가 경제개발을 했다고? - P372

경제 발전의 초석 - P372

박정희의 경제개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있다. - P374

경제개발은 박정희정권의 공과 중공이라 본다. - P375

74 박정희의 경부고속도로 건설이 칭송받는다고? - P377

3선 개헌을 통과시켜 1971년 대선에 출마할 기회 - P378

김대중 - P380

전 세계에서 고속도로를 만들었다고 칭송받는 사람은 박정희 말고 없다. - P382

75 김대중 납치사건의 주범이 박정희가 아니라고? - P384

중앙정보부의 공작선 - P385

일본 정부는 ‘박정희의 변명하는 태도는 일본에 대한 중대한 간섭‘이라며 공식적으로 비판 - P387

납치 및 수장 - P388

76 장준하의 죽음도 박정희와 연관없다고? - P390

장준하 실족사 - P391

77 박정희가 지역 감정을 유발했다고? - P393

5·16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박정희는 5차 개헌(1962)을 통해 직선제를 단행 - P394

김대중은 지역 감정의 최대 피해자 - P396

호남은, 경상도 출신의 정치인이라 할지라도 광주의 아픔을 공유하고 올바른 역사관을 지녔을 때 출신과 상관없이 지지할수 있는 선진적 정치의식을 보여 준 것 - P397

78 진보가 박정희를 싫어하는 27가지 이유 - P398

1. 친일파
2. 공산주의자 - P398

3. 쿠데타
4. 과거사 은폐 - P398

5. 굴욕적인 한일수교
6. 한일수교의 대가로 창당 자금 - P399

7. 독도밀약
8. 베트남 파병 - P399

9. 지역 감정을 유발
10. 3선 개헌을 날치기로 - P400

11. 부정선거
12. 독재 권력을 서로 강화 - P400

13. 유신 개헌
14. 유신독재 - P401

15. 금지곡
16. 친일반민족행위자를 대거 등용 - P401

17. 장준하 의문사
18. 김대중 납치외 - P402

19. 인혁당사건(1974)
20. 정경유착 - P402

21. 비청렴
22. 간첩 사건을 조작 - P403

23. 김형욱 납치사
24. 미국과 국교 단절 - P404

25. 하나회
26. 민간인 학살
27. 궁정동에서 술 시중 - P4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능진 - P260

경찰직에서 물러난 최능진은 김구와 김규식과 뜻을 함께했다. - P262

미 군정청 - P263

최능진의 장남은 박정희가 설립하고 박근혜가 운영했던 정수장학회의 회장으로 유명한 최필립이다. - P265

55 이승만이 런승만이 아니라고? - P267

이승만 전 대통령의 피난은 단독으로 결정됐다. - P268

선조의 피난은 정부의 피난이었지만, 이승만의 피난은 개인적인 도주였기 때문 - P269

런승만 - P271

56 이승만 때문에 친일파 청산이 실패했다고? - P273

반민특위가 처음으로 체포한 인물은 박홍식이었다. - P274

친나치행위자를 처벌하며 드골은 - P276

이승만의 친일파 청산 실패 - P277

57 우리 역사상 이승만이 민간인을 가장 많이 죽였다고? - P279

이승만의 민간인 학살에 대해 한국은 침묵했지만 당시 서방 세계는경악했다. - P281

이승만은 희대의 자국민 학살자이다. - P282

58 부정선거 때문에 4·19혁명이 시작되었다고? - P283

부정 - P285

이러한 투표 결과에 국민들은 분노했다. - P286

대규모의 시위와 경찰의 발포 - P288

어떻게든 대통령직만큼은 지키고자 했던 이승만은 마지막까지 발악 - P289

5ㆍ16 군사쿠데타 - P291

59 진보가 이승만을 싫어하는 백만서른한 가지 이유 - P282

8장
「6ㆍ25전쟁의 사실을 은폐하지 말라」 - P295

60 6·25전쟁은 남침인가? 북침인가? - P297

남침설, 북침설, 국지전설. - P298

남침설은 정설로서 더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 P300

61 6·25전쟁을 미국이 일으켰다고? - P302

냉전 - P303

극동방위선 - P305

사실 미국은 6·25전쟁이 일어나기 1년 전부터 한반도의 전쟁 시나리오를 계산하고 있었다. - P306

극동군사령부 - P308

《강대국 국제정치와 한반도》 - P309

소련의 기밀문서 공개 - P311

김일성의 남침 야욕을 처음에는 스탈린이 막았다는 사실 - P312

"6.25전쟁은 미국과 소련이라는 강대국들의 큰 그림이었다." - P314

62 6·25전쟁은 미국과 소련의 큰 그림이었다고? - P315

김일성의 남침을 반대해 오던 스탈린이 갑자기 태도를 180도 바꾸어 김일성의 남침을 허락 - P317

당시 상임이사국은 미국, 소련, 영국과 프랑스, 대만 - P318

다시는 이 땅에서 외세의 이익 실현을 위한 전쟁이 발발해서는 안 될 것이다. - P320

63 6·25전쟁이 미국과 일본을 구했다고? - P321

냉전시대 이후 군산복합체 - P323

64 한강 인도교 폭파로 민간인이 죽지 않았다고? - P325

이숭만정권의 도덕성 - P326

역사는 수많은 사료와 자료를 근거로 - P329

65 미군은 왜 한국인을 존엄하게 생각하지 않았을까? - P330

노근리 주민 500명 - P332

6·25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는 미군 폭격에 의한 민간인 학살 120여 건을 밝혀냈다. - P332

미군 폭격 - P338

66 6·25전쟁 영웅(?)이라서 백선엽을 존경한다고? - P340

다부동전투(1950.9.1.) - P3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년 제4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 P259

「구아나」 - P259

최민우 - P259

소설집 『머리검은토끼와 그 밖의 이야기들』 『힘내는 맛』, 장편소설 『점선의 영역』 『발목 깊이의 바다』가 있다. - P259

구아나 - P261

도윤과 해영은 연휴를 이용해 영화관을 찾았다. - P261

해준 오빠 - P262

남매가 종종 그러듯 요즘은 남이고 싶은 시기인가 보다고 생각을 고쳐먹었다. - P262

구아나 캐릭터 키링 - P262

이유는 나중에 만들었다. - P263

단점은 역세권이라는 장점과 등가교환이 되리라 - P263

계약서나 등기부등본이나 죄다 휴지조각이던 상황에서 믿을 것이라고는 인간의 소유욕뿐 - P263

사실상 해준이 이 집의 첫 손님 - P264

도윤은 해준과 악수를 나누는 순간 그가 자기에 대한 견적을 순식간에 내고는 그 즉시 흥미를 잃었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 P265

왜 오겠다고 하는지는 - P265

이미 누군가와 같이 사는 사람에게 언제까지 혼자 살 거냐고 묻는 것. - P266

해영의 취향대로 - P267

액정에 방탄필름을 붙이는 것과 비슷했다. - P267

초대형 불륜 사건 - P268

구아나는 신생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몇 달 전 자기네 유튜브 계정에 올린 단편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전설의 괴수였다. - P269

문제는 도배를 하고 전등을 교체하자 지금껏 사용하던 물건들이 갑자기 엄청나게 낡아 보이기 시작했다는 사실이었다. - P270

쩔쩔매고 - P270

집들이 선물 - P271

주차 타위에 - P272

인간 에이티엠 - P272

삼전 문제
충전, 안전, 금전. - P273

외국 나가서 살 생각이라고 - P274

가족 사진을 하나 남겨야겠다는 - P274

사진만. 가족사진. - P275

해준이 다녀간 뒤 도윤과 해영은 평소대로 생활하는 동시에 평소와 달리 생활했다. - P276

삑사리를 내는 장면 - P276

처음 마셔보는 위스키가 낯설었다. - P277

결국 결론은 못 내린 셈 - P278

지금 두 사람이 속해 있는 영역을 존중받지 못했다는 느낌 때문인 듯 - P278

문손잡이. - P279

뭐가 문제일까 - P280

지금 우리가 사는 집이지. - P280

집에 부족한 게 많았다. - P280

교체 작업 - P281

깜쪽같다. - P281

「구아나」 최민우 작가와의 대담 - P282

전기화  문학평론가, 제48회 이상문학상 예심위원 - P282

가까운 거리감에 담긴 의도 - P283

빌라를 닮은 - P284

오히려 배려의 형태를 띤 채 교묘해져 다루기가 더욱 까다로워졌다는 점 - P285

결혼이라는 제도와는 갈등을 빚고 있지만 다른 형태의 제도(이를테면 직업이라는 제도)에는 그럭저럭 잘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는 - P286

우리를 위해 - P287

등장인물들은 작가 자신 - P287

조그만 괴수의 이름 - P288

"그 위기가 실은 별게 아니었음이 밝혀졌을 때" - P2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