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인슈타인의 꿈
앨런 라이트맨 지음, 권루시안 옮김 / 다산책방 / 2025년 4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와 소정의 제작비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국내에 출간 된지 25년이나 되었다는 <아인슈타인의 꿈> 도서를 난 이제서야 만났다. 물리학자이자 인문학자인 저자는 '시간'이라는 독특한 주제로 쓴 첫 소설이다. 띠지에서 먼저 '시간에 대한 상상력'이라는 문구가 궁금했었는데 책장 넘기면서 그동안 의식하고 생각했던 '시간'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기회가 되었다. SF소설이라기 보단 뭔가 몽환적인 느낌이랄까? 그리고 동시에 철학적으로 다가온 소설이었다.
소설의 시작은 한 젊은이가 있는 공간에서 '시간'을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아인슈타인과 친구 베소가 등장해 서로의 이야기와 안부를 묻는다. 그리고 동시에 또 다른 시간들이 등장하고 그 시간은 다양하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동시에 보여지고 누군가는 미래가 무너지지 않기 위해 조용히 고독한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어떤 이는 반복된 시간 속에서 살아가지만 자신조차 알 수가 없다. 인간은 한 번의 생애밖에 살아갈 수 없다. 하지만, 동일한 시간이 나뉘어져 어느 선택을 하듯 그 선택한 삶을 다 살아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한 후회는 누구나 하는데 소설에서는 이것만큼은 '후회'가 없다. 그렇다면 그 삶은 완벽하다고 할 수 있을까?
시간의 흐름은 누군가에는 빠르고 다른 이에겐 느리게 적용이 된다. 그런데, 시간은 모두에게 공평하게 주어진 것이 아닌가? 다만 그 순간에 무엇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라지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해 본다. 도서는 '시간' 주제로 글을 써내려갔지만 철학적 요소를 볼 수가 있다. 시간이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다면? 누군가는 시간을 겪으면서 세월의 흔적을 느끼지만 반대로 홀로 그 정체된 곳에선 시간의 멈춰져 젊음만 있을 뿐 무엇도 느낄 수가 없다면 어느 쪽이 삶을 온전하게 살아가는 것일까?
상대성으로 비교 되는 '시간'과 관련된 단편들을 읽고 있으면 이를 소재로 한 드라마나 영화가 문득 떠오른다. 그 순간 그들의 삶은 행복했을까? 아님 실수한 제 삶을 완벽하게 하게 되어 행복했을까? 책을 읽으면서 어떤 삶이 옳고 그르다는 것 보단 그 주어진 시간에서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한 거란 걸 다시 한번 의식했고, 책을 덮고서도 여러 '시간' 속을 살고 있는 그 순간들이 나에게 생각을 끊임없이 만들었다.
@ekida_library
@dasan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