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의 언어 - 삶과 죽음의 사회사, 2024 아우구스트 상 수상작
크리스티안 뤼크 지음, 김아영 옮김 / 북라이프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의 영원한 부재만큼 그 사람의 존재를

또렷하게 느끼게 하는 것은 없다.

-본문 중-

'자살'은 언제부터 인간에게 깊은 의미가 새겨졌을까? 생명은 그 자체로 소중 한 것이며 자연의 섭리가 아닌 이상 끊어서는 안된다고 사회는 그렇게 규정 하고 있다. 인간 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은 귀한 것이라는 것. 이는 굳이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렇지만, 자살을 두고 어느 한 방향으로 결정을 짓기엔 간단한 것이 아니다. 오늘 만난 <자살의 언어>는 어떤 내용으로 시작을 할지 가늠할 수 없었다. 제목부터가 무거웠고 '언어'라는 단어가 있어 도대체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궁금했었다.

그렇게 읽기 시작한 도서 <자살의 언어>

책은 저자의 고모가 자살했던 과거의 한 부분에서 시작한다. 어린 나이였기에 제대로 알지 못했지만 스스로 생을 마감한 것을 알았다. 늘 고모를 돌보던 다른 고모에 의해 발견 되었다는 것. 그리고 저자는 왜 자살에 대해 가족들의 생각이 각각 다름을 알게 되었다. 누군가는 가족의 죽음을 막지 못한 것을 평생 마음에 두고 살아간다. '만약'을 말하면서 이상한 낌새를 알았다면 구하지 않았을까? 라고 말이다. 하지만, 이는 누구도 쉽게 알 수가 없다는 사실이다.

책 속에서는 자살한 사람들의 연령은 제한이 없다. 어린 아들을 한 순간에 잃은 어느 부모의 이야기는 왜 아들이 자살을 했는지 의문이었다. 미래 계획도 있었는 데 갑자기 작별 문자를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여기서 아버지는 아들의 자살은 '선택'이라 했다. 참으로 복잡한 부분이다. 병으로 고통 밖에 없는 날을 사는 대신 죽음을 선택 하는 것과 미래가 열린 이의 죽음은 분명 차이가 있다. 다른 이들은 분명 해결책이 있었을 것이며, 잘못된 선택이고 실수 였다고 말하지만 어떻게 생각을 해야할지 어렵다.

자살에 대한 의견은 인류가 문명을 발전시키면서 서서히 그 의미가 커져 갔다. 정절을 잃은 여인의 자살은 정당한 것인가? 육체와 영혼이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이면 옳지 않는 선택을 한 것으로 봐야하는 것인가? 인간과 유대 관계가 깊었던 돌고래가 스스로 숨을 쉬지 않고 죽었다는 일화는 이것을 자살로 봐야 하는지 의문을 던진다. 그리고 책은 자연 진화로까지 뻗어가면서 설명을 하고 있다. 쉬울 거라고 생각을 하지 않았지만 읽을 수록 더 깊이 고찰을 하게 만든 <자살의 언어>. 무거운 주제여서 한 번 읽고서는 잘 모르겠다. 당장은 아니지만 시간을 두고 재독을 해봐야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