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욕 3부작 - 그래픽노블
데이비드 마추켈리 외 그림, 황보석 외 옮김, 폴 오스터 원작, 폴 카라식 각색 / 미메시스 / 2025년 4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지급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2024년 4월 30일 작가 폴 오스터는 타계했다. 최근 그의 마지막 책을 읽었다. 그전까지는 이름만 익히 들었고 몇 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었을 뿐이다. 1주년이 된 시점에서 만난 도서는 작가의 느낌이 물씬 풍기는 도서였고, 한편으로는 부드러운 문체로 읽는데 어렵지 않았다. 오늘 만난 <뉴욕 3부작>은 익히 들었지만 소설을 읽어 본 적이 없다. 그러니, 나에게 웹툰으로 읽는것이 생소하면서 두근거렸다. 도서는 세 편의 단편이 실려있다. 각각의 내용 같지만 이어져 있다는 것 그리고 몽환적이고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아닌지 모호한 경계를 보여주었다.
소설은 작가 퀸이 누군가로부터 전화를 받으면서 시작한다. 폴 오스터 탐정을 찾는 전화 하지만, 퀸에게는 생소한 이름이다. 전화가 걸려오리 않을즘 퀸은 오히려 그 전화를 기다리고 결국 자신이 폴 오스터라고 한다. 그렇게 시작된 한 작가의 삶이 전혀 다른 방식으로 흘러가는 것을 보여준다. 탐정 블루에게 블랙이라는 남자를 감시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온다. 의뢰인의 요청으로 감시를 하지만 하면 할 수록 블루는 공허함을 느끼고 반면 블랙의 존재가 생각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반전을 맞이한다. 마지막 작품은 작가인 한 남자의 삶을 대신 살아가는 남자의 이야기다. 그의 아내와 아들과 행복하게 살아갈 것만 같았지만 이 역시 생각지못한 결말을 맞이한다.


일반적인 소설이었다면 그 흐름을 이해했을텐데 <뉴욕 3부작>은 한 사람의 삶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보여준다. 오히려, 이런 점이 읽으면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했다. 또한, 허구와 진실이 섞어졌고 각 단편마다 그림이 다른 점이 그 작품에 깊이 파고들게 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방황하는 인간을 보여줌으로써 정체성의 복잡함을 보여주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읽는 내내 쉽지는 않았지만 인간의 내면을 볼 기회가 되기도 했었다. 무엇인가 나에게 모호한 작품인 <뉴욕 3부작> 하지만 그 끝은 결국 한 사람의 삶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