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8/pimg_775219146861769.jpg)
요즘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궁극의 아이> 를 나도 읽었다.
처음 인터넷 서점에서 이 책을 얼핏 봤을 땐, 표지가 너무 예뻐서 우와!!! 눈이 똥그래졌었는데.. 화면빨 만큼이나 실물도 예뻐서 매우 만족:)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8/pimg_775219146861770.jpg)
▲ 띠지를 벗기면 이런 모습 (첨엔 꼬마 눈만 보이는 게 더 예쁜것 같았는데 지금보니 띠지 없는게 더 예쁜거 같기도하고;;)
암튼 나처럼 책 내용보단 표지에 관심이 더 있는 사람이라면 (읭?) 다들 한 번쯤은 눈여겨 볼듯한 표지지 않나요? ㅎㅎ
그리고, 표지도 표지지만 <궁극의 아이>라는 제목도 참.. 있어(?) 보이게 잘 지었지 않나?
궁극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정확하게는 몰랐는데 네이버 사전에 궁극 (窮極) 이라고 입력을 해보니 / (명사) 어떤 과정의 마지막이나 끝. 이라고 나오고, 궁극적 (窮極的)을 입력해 보니 /(관형사·명사) "더할 나위 없는 지경에 도달하는. 또는 그런 것." 이라고 나온다.
그리고 또 이 제목은 소설의 클라이맥스에서 중요한 실마리가 되기도 한다.
이쯤해서 잠깐 책 소개 _
장용민 장편소설. '대한민국 스토리 공모대전'에서 2011년도 최우수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워싱턴 한복판에서 세계적인 곡물 기업의 총수 나다니엘 밀스타인이 암살된다. 전 세계 곡물업계를 장악하고 있던 피해자였기에 인구의 5분의 1이 용의자라 해도 이상할 것이 없는 사건. 하지만 정작 용의자는 십 년 전 죽은 한 남자로 밝혀진다.
사랑하는 연인 엘리스의 눈앞에서 권총 자살을 한 남자 신가야. 십 년 전 자살한 남자가 용의자로 지목되는 말도 안 되는 상황에서 또 한 번의 살인 사건이 일어난다. 이번에도 이미 죽은 남자 신가야가 연루되어 있다.
FBI 요원 사이먼 켄은 모든 단서가 '과잉 기억 증후군'을 앓고 있는 엘리스의 기억에 들어 있다는 신가야의 편지를 받고, 그녀의 기억에 의지한 채 사건의 실마리를 풀어 나간다. 용의자가 확실하지 않을 뿐 단순 연쇄 살인이라고 여기고 수사를 진행하지만, 파헤칠수록 사건은 걷잡을 수 없는 방향으로 전개되는데…
- 알라딘 책소개 중에서
이제는 나도 문학상 종류는 제법 다 안다고 생각했는데 "대한민국 스토리 공모대전" 이라니 오! 이런것도 있었구나.. (제일 궁금한 상금은 대상 1억, 최우수상 5천, 우수상 2천) 나는 이 책이 하도 유명해져서 최우수 상이 제일 높은 줄 착각할뻔;;했는데 이제보니 대상이 아니었구나 ㅎㅎ무튼, 무슨 상을 받았 건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
줄거리를 훑다 보면 "과잉기억 증후군"을 앓고 있는 엘리스 이야기가 잠깐 나오는데,
과잉 기억 증후군이라니!!!! 나는 이 과잉 기억 증후군에 꽂혀서 이 책을 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8/pimg_775219146861771.jpg)
“나한텐 병이 있어요.”
“어떤 병이죠?”
“과잉 기억 증후군.”
사이먼의 미간이 좁아졌다. 언젠가 그 증상에 관한 논문을 읽은 적이 있었다. 몇 백만 명 중 한 명에게 생길까 말까 한 희귀한 증세로 망각 능력이 상실되어 기억을 통제할 수 없게 되는 병이었다. 학계에 보고된 지도 얼마 되지 않아 이제 막 연구가 진행된 터였지만, 확실히 밝혀진 공통된 증상이 있었다.
“모든 걸 기억하는군요.”
“……일곱 살 이후 벌어진 일을 하나도 빠짐없이요.”
▒ 궁극의 아이 - 장용민 :p 24
막상 책을 읽으면. "과잉 기억 증후군"을 앓고 있는 엘리스는 한낮 乙(을)일 뿐이고..
그보다 더 막강한 "미래를 기억하는 남자"가 이야기의 주축을 이끌어 가서 나는 대 실망 ㅠㅠㅠ
왜왜왜!!! 일곱 살 이후 벌어진 일을 하나도 빠짐없이 기억할 정도의 엄청난 기억력의 소유자가.
왜왜왜!!! 그렇게 망가져. 보잘것 없는 여자가 되어버린 걸까?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그깟 남자 때문에 ㅠㅠㅠ
게다가 그 남자 만나기 전 상황도 나는 좀 이해 불가였는데;; 왜? 그런 엄청난 천재가 고작 식당에서 서빙을 하고 있는지 의문!
그러고 보니 내가 이! 미친 흡입력의 <궁극의 아이>를 하루 만에 걸신들린 듯 읽어 치우 고서도..
그 전에 읽었던 미친 흡입력 소설들처럼 완전 대박!! 최고!!!! 뭐 이런 감탄사를 뱉어내지 않은 이유를 이제서야 알겠네.
정말.. ㅋ 가만 생각해보니 그동안 내가 열광하며 봤던 소설들은 거의 다 멋진 여자 주인공이 등장했었던 것 같기도 하다.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도 천재 해커 '리스베트' 덕분에 소설이 더 미친듯 재밌었던 기억이 나고..
하루키 아저씨 책 <1Q84>도 읽었던 책을 줄줄 외우던 '후카에리' 덕분에 더 재밌게 읽었는데 말이다.
아쉬운 점을 뒤로하고. 다시 책 이야기로 넘어가서.
나는 그런 엄청난 능력을 썩히고 있는 엘리스가 내내 불만이었는데..
이제 와서 리뷰 쓰느라 다시 책을 들여다 보고 있자니. 미친 흡입력, 그 속도감에 휩쓸려서 꼼꼼하게 못 읽고 지나쳐 버린 내용들이 너무 많은 거다.
"당신은 머릿속이 온통 기억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게 어떤 건지 죽었다 깨어나도 모를 거예요. 그견 평생 과거라는 철창 속에 갇혀 사는 거라고요."
▒ 궁극의 아이 - 장용민 :p 25p
찬찬히 되짚어 가다 보니 이제서야 엘리스가 조금씩 이해되기 시작한다. 단순히 읽고, 배우고, 겪은 걸 모두 다 기억할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을까? 부럽기만 했었는데. 사람이 평생 공부만 하면서 살 수도 없는 노릇이고, 막상 먹고 살기 위해서는 적당한 망각이 꼭 필요하겠구나 하는 생각도 뒤늦게 들고.. 게다가 과잉기억 증후군까지 있으니 진짜 공부까지 열심히 했다간 박이 터져버릴지도 모를 일;;
그런의미에서..
모든것을 기억하는 능력이랑,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능력이랑 둘 중 어느 쪽을 선택할지 묻는다면?
나도 당연 미래를 보는 쪽을 선택하겠지 ㅋㅋ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608/pimg_775219146861772.jpg)
궁극의 아이를 읽기 전에는 552쪽이라는 두께에 후덜덜. 망설여 졌었는데. 두께에 대한 고민은 책을 펼치는 순간 날아가 버린다. 그야말로 미친 흡입력!! 그리고 궁극의 아이만 두꺼운 줄 알았더니. 최근에 읽은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은 더 두껍 ㅋㅋㅋ
나는 개인적으로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보다 <궁극의 아이>가 더 재밌었음!
분명 책을 읽고 있는데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기분? 분명 한국 책인데 미쿡 책을 보고 있는 듯한 기분? ㅎ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