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랑일까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공경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1월
장바구니담기


알랭 드 보통씨의 [우리는 사랑일까]를 드디어 다 읽었다. 생각해 보니 최근 보통씨 때문에 나
많이 힘들었어요;; [불안]은 벌써 몇 달 째 나와 한 침대를 쓰고 있지만 아직도 여전히 끝을 보
지 못한 상태 이고 이책 [우리는 사랑일까]를 다 읽는데는 무려 열흘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요
즘은 나름대로 "멀티독서" 자제 기간 이라 이 책 저 책 번갈아 읽지도 않았는데 말이다.


그렇다고 나는, 보통씨 정말 실망이예요! 하고 홱~ 돌아서 버리지도 못하는 찌질한 성격의 소
유자라 또 어느 시점이 되면 꾸역꾸역 못 다 읽은 [불안]을 들추어 볼 것이고 또 같이 질러 두
었던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을 이제 읽어 볼까? 하게 될 날도 분명 있겠지만 당분
간은 자제하고 싶어지는 이유는 [우리는 사랑일까]가 딱히 싫었다기 보다는; 전작인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 가]에 대한 내 애정이 지나치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사랑일까]는 알랭 드 보통의 <<사랑과 인간 관계 3부작>> 그 두번째 이야기인데 (순
서 대로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 [우리는 사랑일까] [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 그
런데 웃기는건 이책 앞 날개에 "특히 [우리는 사랑일까]는 그의 단 세편뿐인 소설들 가운데 최
고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라는 말이 버젓이 실려있는데 출판사의 상술인지 내 취향이 독
특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가 200만배는 더 재밌고 좋더라 흥!!!
아, 혹시 오해하실까봐 지금은 물론 보통씨의 책들이 세편의 시리즈뿐 아니라 아주 많아 졌죠

다시 [우리는 사랑일까] 이야기로 돌아가서 이 책은 지금 사귀고 있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그
래도 나는 그를 정말 사랑하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 든다 거나 또 이런 저런 복잡한 갈등의
기로에 서 있는 연애경험이 얼마 없으신 아가씨들이 읽는다면 주인공 앨리스와 공감대 형성도
많이 될 테니 썩 괜찮을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나는, 매사를 저런 방식으로 일관 하는 에릭 같은 남자와는 도무지 말도 하기 싫어
진다. 그러니! 세상에 많은 에릭같은 남자들도 세상에 많은 앨리스같은 여자들에게 차이기 싫
다면 이 책을 꼭 한번 읽고 참고를 하면 좋겠다.. ㅋ


댓글(0) 먼댓글(1)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여행을 하는 사람의 두가지 유형
    from 미도리의 온라인 브랜딩 2009-08-02 21:00 
    contax g2 알랭 드 보통은 역시 아무것도 아닌 것을 인문학, 역사, 철학 등등 모든 지식을 동원해 흥미진진하게 풀어놓는데 선수다. 우리는 그의 글을 읽으면서 '아하~'하면서 이마를 치거나 슬며시 입가에 미소가 지어지는 것을 어찌할 수 없다. 지금 읽고 있는 알랭 드 보통의 '우리는 사랑일까'에 보면 주인공 남녀를 통해 여행과 독서에 대한 남녀의 차이에 대해서 아주 통렬하고 유머 넘치게 표현해 놓은 장면이 있다. 우선 여행에 대해서 이야기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