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 연휴라 아내와 함께 처가에 들렀다. 올해부터는 딸애 부부, 아들 부부, 손주들까지 함께 처가에서 보내기로 했다. 가족들과의 식사, 정담도 얼추 끝나고, 잠시 손주들 데리고 동네 한 바퀴돌고, 아이들 흙장난 거들거나 빈둥거렸지만 마땅히 할게 없다. 수 년째 독서실에 얽매이다보니 이게 굴레가 되었는지 불과 이틀뿐인 자유시간조차 영 소화하기기 쉽지 않다.

 

하릴없이 호숫가 잠자리 날듯 마당 빙빙돌다 토방 옆 작은 창고를 뒤적이니 먼지 쌓인 헌책 몇 권이 있다. 1970년대에 발행된 문예지 '문학사상' 두 권을 꺼냈다. 출간된지 불과 40년전인데 이렇게 촌스럽다니. '문학사상'은 그 당시 1급 문예지였다. 그런데도 표지 디자인이며 보수일색인 필자, 수록 글 모두가 참 시덥잖다. 하긴 70년 중반은 박정희의 파쇼정치가 극에 달했을때라 '씨알의 소리' '사상계', '창비', '문지'만 봤지 '문학사상 따위는 거들떠보지도 않을때다

 

토방에 앉은채로 이 글 저 글 넘기다 장왕록 교수와 헨리 밀러의 대담이 눈에 들어왔다. 대담 중 <체털리 부인의 연인>의 작가 D. H 로렌스와 <북회귀선>의 작가인 헨리 밀러를 비교하는 대목이 나왔다. 한데 두 번이나 꼼꼼히 읽었지만 질문하는 장 교수나 대답하는 헨리 밀러나 도통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수가 없다. 대담자가 헨리 밀러이니 당연히 '섹스'가 화두인터라 동양문명, 노자철학, 니체, 도스토예프스키, 플라톤 운운하며 섹스와 연결짓느라 애를 쓰긴하는데, 독자인 나는 도무지 무슨 뜻인지 이해가 안 되는거다. 

 

참고로 헨리 밀러와 D. H 로렌스의 성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한 <북회귀선>(문학세계사, 1991년)의 번역자 김진욱의 작품해설 일부를 소개한다. 

 

"성문제를 다루는 밀러의 방식은 로렌스와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로렌스에 비해 밀러의 성에 대한 태도는 훨씬 자연스럽다. 예컨대, 로렌스는 성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다루려는 자신의 입장을 은연중 정당화하려는 태도, 달리 말하면 퓨리터니즘의 잔재 같은게 있는데 반해 밀러는 모든 것이 자연 그 자체이며, 로렌스와 같은 인물의 영웅화가 작품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밀러가 제시하는 인물은 성뿐만 아니라 모든 생활 태도에 있어 가장 낮은 곳으로, 심지어 시궁창 속으로라도 태연히 내려간다. 그들은 영웅들이 자신의 긍지 때문에 감히 하지 못하는 행위일지라도 피하지 않는 역설적인 영웅이며, 쾌락주의의 밑바닥을 분쇄한 에피큐리언이다."  - 헨리 밀러 <북회귀선>, 341쪽, 역자 해설

 

D. H 로렌스는 <체털리 부인의 연인>을 비롯 <사랑에 빠진 연인들>, 창비에서 출간한 단편집 <패니와 애니> 등을 최근에 읽었기 때문에 정확히 알고 있지만 헨리 밀러의 사상과 성담론은 도무지 이해하질 못하겠다. 게다가 출세작인 <북회귀선>조차 오래전에 읽은탓에 스토리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오후 잠깐 서평가 이현우의 블로그 <로쟈의 저공비행>에 들르니 마침 헨리 밀러가 등장하기에 글 일부를 인용한다. 

 

"도쿄대 교양학부 교수들이 쓴 <교양이란 무엇인가>란 책을 읽다 보니 읽어서는 안되는 책 15이란 항목이 눈에 띈다. 일본에도 우리처럼 아직 불온도서라는 게 있는 것인가. 그건 아니다. ‘아직 자아가 확립되지 않은 젊은이들에게 회복 불가능한 사태를 일으킬지도 모른다는 염려 때문에 읽어서는 안 된다고 따로 골라놓은 것이다. 물론 이런 목록은 거꾸로 한번 읽을 테면 읽어보라고 광고하는 의미도 갖는다. 2008년에 국방부 불온도서가 베스트셀러가 된 예를 굳이 떠올리지 않더라도 말이다. 그렇게 금지한 책의 목록에는 헨리 밀러의 <북회귀선>과 셀린의 <밤 끝으로의 여행>, 그리고 도스토예프스키의 <지하로부터의 수기>와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이 포함돼 있다. 읽다 보면 숨이 막힐 것 같다는 게 <지하로부터의 수기>에 대한 평이고, 순진한 영혼을 전부 태워버릴 수도 있는 책이라는 게 <차라투스트라>를 읽지 말도록 권유하는 이유다."

 

저녁식사를 끝내고 서가에서 셀린의 <밤 끝으로의 여행>(동문선, 2004년)과 헨리 밀러의 <북회귀선>을 빼들고 사무실로 내려왔다. <밤 끝으로이 여행>을 펴드니 앞 부분에 예전에 써둔 독서메모가 눈에 띈다. 

 

"신새벽 지하철, 군대 훈련소, 종교의 이름으로 치루는 전쟁터, 가난으로 죽어가는 아프라카인들, 중노동에 시달리는 근로자들, 시계추처럼 매일 직장으로 향하는 직장인들, 목표치를 채워야하는 세일즈맨. 그들은 모두 "밤 끝으로의 여행"을 하는 여행객들이다. 셀린의 염세적 토로는 어느 특정한 부류의 인간만 해당하는게 아니고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해당한다." - 2013. 9. 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