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서회 전후

독서실 창밖, 낙옆 하나 둘, 골목길 어데론가 바삐 걸어가는 사람들, 아침, 커피 한 잔. 완연한 가을 아침입니다. 오디오에서 임재범의 <만남>이 들려오는군요. 노래의 가사처럼 여러분과의 만남도 우연일까요? 함께 클래식을 연주하고, 책 읽고, 이야기 나누고, 글쎄 우연한 만남이긴한데 이만한 누림이라면 뭘 더 바라겠어요. 소복이 쌓이는 하얀 눈, 샤미센 선율, 다다미방, 찻물 끓이는 소리, 솔방울 소리, 적막,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아름다운 소설입니다. 꼭 읽어보세요.  

평생 살면서 <설국>을 네 번쯤 읽은것 같군요. 학생때, 40대, 50후반, 그리고 지금....스무살, 지식과 문학의 향연에 푹 빠져살던 그 무렵, 신구문화사에서 출간된 가와바타 야스나리 전집을 어느 헌책서점에서 구입했었죠. 이 작품이 특별히 뜻깊게 다가오는건 요즘 세상이 너무 빠르고 분주하게 흘러가기 때문입니다. 시마무라, 고마코, 요코...단지 서 너명 남짓한 등장인물, 시골 산 속의 어느 온천장, 샤미센, 게이샤, 소복이 쌓이는 눈, 눈, 눈. 이런 소설은 너무 빠르게 읽으면 안 됩니다. 차 한 잔 음미하듯 천천히 아주 천천히 아다지오 보다는 차라리 라르고 템포가 적절하겠군요. 시나브로 초겨울 문턱입니다. 독서하기에 더없이 좋은 계절, <설국>이 전해주는 문학의 아름다움을 맘껏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역시 문학작품은 읽으면 읽을수록 새로움이 더하는것 같군요. <설국>을 사흘에 걸쳐 드문드문 읽다가 어젯밤 늦게까지 마저 다 읽었습니다. 시마무라의 짙은 고독감, 고마코의 뜨거운 관능미, 요코의 청순미가 손에 잡힐듯 느껴지는군요. 모임 날까지 하루 더 시간이 남아 <이즈의 무희> <천 마리 학>도 읽으려고 합니다. 중편 분량이라 하루면 다 읽을듯싶은데, 오늘 하루 가와바타 야스나리 특유의 섬세하고 서정적인 문장을 맘껏 즐겨봐야겠군요. 

고마코의 쓰러질듯 술취한 얼굴을 연상케 하는 농염하게 익은 홍시, 비록 샤미센 선율은 없었지만 새콤달콤 맛있는 유자차, 가을의 밑바닥을 녹색과 흰색으로 곱게 물들인 롤케익....여러분과 함께한 토론 시간 더없이 즐거웠죠. 시마무라에게 도쿄로 함께 가고싶다는 요코의 애잔함, 그리고 낙옆 쓸쓸한 늦가을 오후, 이런 날 <설국>은 더없이 적절한 소설 같습니다.

2. 일본 문학의 특징

소설가 이호철은 일본문학의 특징을 세 가지로 거론한바 있다. 사소설, 민중과의 괴리, 에로티시즘이 그것인데, 물론 이런 특징이 모든 작가에게 해당하는건 아닐테지만 최소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경우는 정확히 해당한다. 다만 초기작인 <이즈의 무희>의 경우 민중계층인 유랑 무희와 그녀의 가족이 주요 등장인물이라는 점에서 다소 예외지만 대부분의 작품은 이호철이 든 특징에 해당한다.

<이즈의 무희>는 황석영의 단편 <삼포가는 길>과 분위기가 흡사한 면이 있어 한일 양국의 문학적 특징을 비교하는데 좋은 예가 될 것 같다. 가령 <이즈의 무희>에서 학생 신분의 화자는 무희 소녀 가족을 단지 일정한 거리를 두고 관찰 - 화자는 무희 소녀에 대한 이성으로서의 관심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하는데 반해, <삼포 가는 길>의 등장인물 모두는 민중계층이고, 실제 민중들의 고단한 삶 자체가 소설의 주요 내용이다. 

3. <설국>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대표작이기도 한 <설국>에서 작가의 분신 격인 시마무라의 시선을 통해 고마코에 요코에 대한 묘사는 치밀하고, 집요하게 이뤄진다. 마치 '하이퍼 리얼리즘'이 연상될 정도로 세밀한 묘사는 자연 풍경 묘사와 더불어 한 편의 인물화와 풍경화를 함께 보는듯한 착각이 들게하는데, 이점은 <천 마리의 학>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호철은 '사소설'의 특징은 작가 한 개인만이 모든 소설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개인적 관심사가 전부인 작가는 괴기스러움, 에로티슴으로 밖에 탈출구가 없음을 함께 지적한다. 또한 그는 일본문학계에서 자살하는 작가들을 심심찮케 볼 수 있는데, 작가가 양심적일수록 결국 도달하는건 자살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대다수 일본 작가들이 자살을 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런 지적은 편견일 수 있지만 가와바타 야스나리 경우는 상당히 부합하는 측면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