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근래 독서는 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먼저 발터 벤야민, 다른 하나는 조셉 콘라드, 마지막으로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소설이다. 벤야민을 시작한건 세 달 전이다. 일단 세 단계로 진행할 계획인데, 첫 단계인 발터 벤야민 관련 강좌 수강은 대충 끝냈다. 계속해서 2차서와 평전읽기를 하는 중이다. 사진에서 보듯, 요즘은 베른트 비테의 <발터 벤야민> 전기와 문광훈 교수의 <가면들의 병기창>을 읽고 있다. 

왜 벤야민인가? 딱히 뚜렷한 이유는 없다. 다만 일전에 어느 글에서 말한대로 유물론과 신학을 결합한 독특한 발상이 호기심을 끌었던게 첫 번째 이유라면 이유일 것이다. 읽으면서 알았는데, 19세기 파리를 대상으로 한 그의 주저 <아케이드 프로젝트>의 구성 또한 워낙 특이한것 같다. 몽타주, 남의 글 인용으로 뒤범벅한 이 책이 풍기는 아우라가 예사롭지 않다. 그밖에도 이미지적 글쓰기를 비롯해서 문학, 철학, 사회, 역사, 사진, 신학, 매체학, 영상 등 전방위적인 관심과 글쓰기 또한 관심을 끈다. 뭐니뭐니해도 19세기 파리와 전혀 다를것 같지 않은 한국의 서울 역시 자본주의의 온갖 폐해가 고스란이 드러난 곳이기 때문에 그의 글과 사상은 이 시대의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클것 같다.

조셉 콘라드는 우선 해양을 소재로 한 작품을 많이 쓴데다 직접 선장까지 한 이력이 호기심을 끌었다. 물론 허먼 멜빌이나 헤밍웨이도 바다를 소재로 한 바 있지만 비중으로 치면 조셉 콘라드가 단연 위다. <로드 짐>에서 알수 있듯 그의 뱃생활 경력은 그의 소설을 단순한 소재 차원으로 국한하지 않고, 바다와 배를 중심으로 한 고립된 인간들의 삶의 앙태를 묘사하는데 큰 강점으로 작용케 한다. 

과거 국내 소설가 중에 원양어선 선장생활을 했던 천금성이라는 이가 있었지만 전형적인 소재주의 작가에 불과했다. 하지만 조셉 콘라드는 단지 바다와 배를 소재로 했달뿐이지 그의 문학에서 바다와 육지는 전혀 다르지 않다. 즉 바다나 배는 인간군상이 살아가는 장소에 불과할뿐 육지나 다를바 없다는거다. 그래서 나의 계획은 다른 작가라면 몰라도 조셉 콘라드만큼은 전작 읽기를 시도할 작정이고, 나아가 평전, 2차서까지 모두 완독해볼까한다.

마르케스의 소설 <백 년의 고독>이야 굳이 거론하지 않아도 뛰어난 작품임은 자타가 공인하는바다. 나는 과거 문학사상사에서 출간한 안정효 번역판으로 읽은바 있지만, 그때만해도 이 소설을 이해하지 못했었다. 모두가 하나같이 뛰어난 소설, 현대의 고전이라도 예찬했지만 도무지 왜 좋은 소설인지 알아보질 못한거다. 그만큼 나의 문학 이해력은 형편없었다. 최근 다시 도전한 마르케스의 소설은 역시 최고의 작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절반쯤 읽은 상태인데, 이 정도만으로도 그가 얼마나 뛰어난 작가인지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단박 매력을 느꼈으니 이 한 편으로 만족할 수 없었다. 칸투스 독서회 토론작으로 마르케스의 <콜레라 시대의 사랑>을 선정했다. 아무래도 독서회 회원들의 독해력으로는 <백 년의 고독>보다 <콜레라 시대의 사랑>이 좀 수월할 것 같아서다. 더욱이 마이크 뉴웰 감독의 동명 영화가 있어 함께 감상할 기회도 갖을겸 아쉽지만 이 책을 읽기로 한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