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인의 사랑 범우문고 307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 지음, 홍경호 옮김 / 범우사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방송에서였는지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한 방송에서 유시민이 나와서 '독일인의 사랑'이라는 책을 언급한 적이 있었다. 평소 유시민이라는 사람을 좋아하던 나는 이 책을 언젠가 꼭 한번 읽어보리라고 마음먹었다. 

나는 참여하고 있는 독서토론 모임의 50번째 책으로 '독일인의 사랑'을 선택했다. 우선 책이 얇아서 좋았다. 110mm x 174mm 문고판으로 겨우 172쪽의 두께였다. 가볍게 읽을 수 있겠지, 안일한 생각을 가졌다. 

책은 두께와는 반비례하였다. 문장은 수려했고 은유와 비유는 넘쳐났으며, 종교와 철학이 온갖 데 난무하였다. 책의 선정자로서 나는 난처해졌다.

독서토론 모임에서 책 선정자는 책을 가지고 토론한 논제를 발제해야 한다. 서정보단 서사를 선호하는 나는, 서정과 감상이 넘쳐나는 책에서 발제를 고르기 위해 책을 읽고 나서도 맘 편히 있지 못하고 인터넷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녔다. 

슈베르트의 가곡 '겨울 나그네'의 가사가 된 시를 지은 빌헬름 뮐러를 아버지로 둔 막스 뮐러는 원래 언어학자였다. 또한 동양철학에 관심이 많아서 연구도 많이 하였다. 독일에서 태어나 공부하던 뮐러는 1850년 영국 옥스퍼드로 유학 가서 아예 영국에 귀화를 하여 1900년 사망할 때까지 계속 영국에서 살았다. 뮐러는 언어학자로 살면서 평생 단 한 권의 책을 집필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독일인의 사랑'이었다. 영국에서 살면서 언어학 관련 저서와 논문은 영어로 썼는데, 귀화한 영국인이 쓴 소설은 독일어로 독일인을 위해서 썼다. 아이러니한 일이다. 


영국인의 사랑도 아니고, 왜 독일인의 사랑을 썼을까? 찾아본 인터넷 자료에 따르면, 뮐러는 1774년에 발간된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 나온 우울한 사랑을 맘에 들어 하지 않았다. 그는 독일 젊은이들에게 결핍되고 슬픈 사랑 대신  영혼이 충만한 사랑을 알려주고 싶었다고 한다. 그래서 '독일 신학'이라는 종교적인 책을 바탕으로 하여 사랑은 운명처럼 다가오고 사랑을 하면 영혼과 마음이 가득 찬다는 내용의 소설을 썼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독일인의 사랑'이다. 

주인공인 '나'는 소년 시절 우연히 영주의 저택을 방문하게 되고 거기서 병약하게 태어나 평생을 병상에서 지내는 마리아라는 여성을 만난다. 
이후 헤어진 두 사람은 성인이 되어 다시 만나 철학과 사랑과 종교에 대하여 서로 대화를 나누는 중 서로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병약한 마리아는 끝내 숨을 거두게 되고, 그녀를 평생 돌보던 노의사가 주인공에게 마리아의 죽음과 자신의 당부를 전한다. 


줄거리는 정말 간단하기 그지없다. 그럼에도 '독일인의 사랑'은 발간 당시 독일에서 아주 인기가 많았다. 오히려 현대 독일에서는 인기가 시들하며, 독일보다 한국에서 더 많이 팔리고 읽히고 있다고 한다. 재미있는 현상이다. 


이 책을 줄거리를 따라 읽는 책이 아니다. 등장인물도 이름도 없는 주인공과 마리아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은 주인공과 마리아의 대화를 읽고 곱씹어 보는 데서 책의 묘미가 살아있다. 


어떤 옛 현자는 이런 말을 했다.
"나는 난파당한 작은 배의 조각들이 바다 위를 떠다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중에서 몇 개의 조각은 서로 만나 잠시 붙어서 다녔으나 잠시 후 폭풍이 덮쳐와 그 두 조각을, 하나는 서쪽으로 하나는 동쪽으로 몰로 가 버렸다. 그것들은 이 세상에서 다시는 만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인간의 운명도 이와 같다. 다만 그와 같은 커다란 난파를 본 사람이 아무도 없을 따름이다. - P29

"그런데 사랑에 있어서도 확실한 사랑의 표시를 나타내지 않으면 어떤 사람이 자기를 사랑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알아내기는 참으로 힘든 일이라고 생각되는군요. 그래서 이런 생각이 듭니다. 자기 스스로 사랑이 무엇인가를 알고 있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아낼 수가 없다고 말입니다. 그건 사람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사랑을 믿는 범위 내에서만 다른 사람의 사랑을 믿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65


마침내 마리아를 사랑하게 된 주인공에게 마리아는 묻는다. ​

"당신은 왜 나 같은 것을 사랑하시는 거예요?"


이때 주인공이 한 대사가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지금까지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유명한 문구이다. ​

"왜냐고요? 마리아, 어린아이에게 그가 왜 태어났느냐고 물어보십시오. 태양에게 왜 비추느냐고 물어보십시오. 나는 당신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기에 당신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사랑은 느닷없이 다가오며, 태양이 있고 달이 뜨는 것처럼 자연의 섭리이자 운명이라는 것이 막스 뮐러의 주장인 것이,  이 책을 통해서 읽힌다. 


하지만, 이런 작가의 의견에 괜한 딴지를 부리고 싶은 나는 아직도 사춘기인 걸까?

로미오는 줄리엣을 사랑하게 된 이유가 운명이나 자연의 섭리라기 보다 줄리엣의 아름다운 미모 때문일 것이다. 성춘향의 파릇파릇하고 예쁜 외모가 이몽룡의 시선을 끈 이유였을 것이다. 작가는 환상과 경건의 세상을 동경하면서 그의 희망 사항을 소설로 쓴 것일 것이다.  즉, 사랑에는 남에게는 차마 밝히지 않는 어떤 속물적인 이유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딴지를 걸고 싶다. 


독서토론 모임이 아니었다면, 아마 나는 '독일인의 사랑'을 평생 읽지 못했을 지도 모르겠다. 나는 원래 줄거리가 없는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대화와 감정만이 난무한 독일인의 사랑을 선택하고, 읽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게 하는, 독서토론 모임이 자랑스럽다. 

많은 사람들이 혼자 읽기 보다 같이 읽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