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산 - 삶은 '혼자'가 아닌 '함께'의 이야기다
데이비드 브룩스 지음, 이경식 옮김 / 부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이 점점 더 좋아지는 건 부분적으로는 전혀 역사적이지 않은 자잘한 행동들 덕분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그랬을 수도 있었던 것처럼, 당신이나 내가 세상을 살아가는 일이 그다지 고약하지 않을 수있었던 것의 절반쯤은, 남에게 드러나지 않은 인생을 충실하게 살았으며 지금을 아무도 찾지 않는 무덤에 편안히 잠들어 있는 수많은 사람들 덕분이다." _ 한자리에 뿌리를 내리고 공생하는 것 중 - P541

"인생을 살아가는 비결은 어떤 과제를, 평생을 바칠 무언가를, 남은 인생 동안 매 순간마다 모든 것을 쏟아부을 무언가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명심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실은, 그 과제가 당신이 도저히 완수할 수 없을 것처럼 어렵고 힘든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_ 한자리에 뿌리를 내리고 공생하는 것 중 - P558

이 상황은 좋은 삶을 살아가는 것, 즉 사랑과 연결을바라는 깊은 인간적 갈망을 채우는 것을 한층 더 어렵게 만든다. 모든 연령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지만 특히 청년들은 더 그렇다. 이들은 구조화되어 있지 않고 불확실하기만 한 세상에 던져진다. 믿고의지할 권위나 방호책도 거의 없다. 그런 것들은 오로지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자기 자신을 자기 인생 여정에 올려놓는 일 자체가 놀라울 정도로 어렵다. _ 가장 바람직한 삶은 어떤 삶인가 중 - P74

능력주의meritocracy는 오늘날의 세상에서 가장 자신만만한 도덕 체계이다. 이것이 얼마나 사람들의 마음을 빼앗고 또 자연스러운 것이 되어 버렸는지, 이것 때문에 사람들이 비경제적인 대상조차 경제 관련 용어로 가리키거나 설명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의식하지 못한 채살아간다. 사람들이 쓰는 단어들은 자기가 의미하는 내용을 바꾸어나간다. ‘인격character‘은 이제 더는 사랑, 봉사, 보살핌 등과 관련된 어떤 도덕적 자질이 아니라 끈기, 생산성, 자기 규율 등과 관련된 일련의 업무 특성이다. 능력주의는 ‘공동체(community)‘를 재능 있는 여러 개인들이 서로 경쟁하는 집단으로 규정한다. _ 경쟁은 영혼의 나태함을 부추긴다 중 - P91

실용주의와 관련된 문제에서는 실용주의가 먹히지 않는다. 불안정한 과잉성취자는 어떤 것에는 온전히 모든 의지를 발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온전히 만족하는 경우는 결코 없다. 그의 뇌는 움직이고 있으며 지위는 올라가지만 그의 심장과 영혼은 결코 온전하게 관여하지 않는다. _ 경쟁은 영혼의 나태함을 부추긴다 중 - P95

내 경험으로 볼 때 텔로스 위기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하나는 걷는 형태, 하나는 잠자는 형태이다. 걷는 형태에서는 고통당하는 사람이 그저 계속 터벅터벅 걷기만 한다. 이 사람은 어떤 충격을 받거나 깊은 권태감에 시달리는 상태이지만, 자기가 무엇을 원하는지 또는 자기 인생을 어떻게 바꾸어야 옳은지 알지 못한다. 그래서그저 자기가 하고 있던 것을 계속 하고 있을 뿐이다. 똑같은 일거리, 똑같은 장소, 똑같은 일상, 똑같은 인생……. 이 사람은 자기가 안주하고 있다는 심리적 자각과 함께 살아간다. _ 고통은 때로 지혜로 나아가는 관문이다. 중 - P103

부족주의는 공동체적 유대감을 회복하려는 시도인 것처럼 보인다. 이것이 사람들을 강한 유대감으로 묶어 주는 건 분명하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 공동체의 어두운 이면이다. 공동체는 구성원들이 함께 나누는 애정을 토대로 한 결속체이다. 그러나 내가 여기에서 사용하는 의미의 부족주의는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증오와 공동으로 설정하는 적을 존재론적 토대로 삼는다. 부족주의 정신은 희소성을 토대로 하는 전사의 사고방식이다. 이 사고방식에서 인생은 최소한 자원을 놓고 ‘우리’와 ‘그들’사이에서 벌어지는 투쟁이며, 따라서 제로섬 게임일 뿐이다. 여기에서는 결과가 수단을 합리화한다. 정치는 전쟁이다. 사상은 전투이다. 죽느나 죽이느나만 존개할 뿐이다. 불신은 부족주의의 세계관이다. 부족주의는 외로운 자아도취가들을 위한 공동체이다._ 고통은 때로 지혜로 나아가는 관문이다 중 - P112

계곡은 우리가 낡은 자기를 버리고 새로운 자기를 만날 수 있는곳이다. 지름길은 없다. 아주 오래전부터 시인들이 묘사해 왔던 동일하고 영원한 세 단계 과정, 고통에서 지혜로 그리고 다시 봉사로 이어지는 과정이 있을 뿐이다. 낡은 자기를 죽이고, 텅 빔 속에서 깨끗이 씻고, 새로움 속에서 부활하는 것이다. 계곡의 고뇌로부터 사막의 정화를 거쳐 산봉우리의 통찰에 이르는 것이다. _?자기 인생에 귀 기울인다는 것 중 - P117

개인주의는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데 힘쓰라고 말하지만, 두 번째 산에 있는 사람은 인생의 의미와 도덕적 기쁨을 추구하는 데 힘을 더 쓴다. 개인주의는 독립성을 찬양하라고 말하지만, 두 번째 산에 있는 사람은 상호 의존성을 찬양한다.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의존할 수 있는 기회를 찬양하고 그들이 자기에게 의존하게 되는것을 찬양한다. 개인주의는 자율성을 찬양하지만, 두 번째 산은 관계성을 찬양한다. 개인주의는 적극적인 목소리로 말하며(설교하기, 주장하기) 결코 수동적인 목소리로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두 번째 산의 반란은 귀 기울여 듣고 응답하고자 한다. 주고받는 친밀한 목소리로 소통한다. _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깊은 헌신 주 - P1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