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유주의에 대한 처음의 태도는 '빌어먹을 것'이었다.


딱히 경제적 전문지식이 없어서일지도 모르겠지만, 내게는 '공공의 것'을


민간에게 넘겨주는 행위 자체가 고깝게 보였다. 이윤을 생산하기 위한 자본주의 경제에서


단순히 효율성을 위해 모든 관리를 민간에게 넘긴다면, 물 등의 공공재라든가


철도, 항만 등의 SOC를 이용하기 위한 일반 시민들의 비용이 급증하게 된다는 생각이었다.



 경제사 영역에 대한 다른 이야기를 접했을 때(예를 들면, <생명관리정치의 탄생>에서 푸코의 이야기)


어쩌면 생각할법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현재의 경제 양극화라든지, 빈부격차나 


고질적이며 넘기 힘든 경제적 난제들을 생각해 볼 경우, 신자유주의를 아무런 비판 없이 수긍하거나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더라도 체념하게 되는 것은 내가 취하고 싶은 태도는 아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나의 출발점은 사태에 대한 이해고 그러기 위해서는 또 책을 꺼내든다.


단순히 신자유주의에 대한 도식적 해결(왜 그런 일이 생겼나? 신자유주의 때문이지. 라는 간단한 해결)보다 사태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할 수 있는 복잡하지만 심층적인 안내를 해주는 책들을 읽고 싶었다.


첫 번째 책은 복잡하지만 심층적 이해와는 다르지만 다양한 관점을 취할 수 있는 책이다. 그리고 마음에 드는 것은


비전문가도 경제에 대해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으며 내야 한다는 저자의 문제의식이다.


별다른 수식어가 또 필요하겠냐만 장하준 교수의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이다.


원제가 더 마음에 든다. <Economics -The user's guide>


대세이자 거의 절대적 진리로 여겨지는 신고전주의 경제학파의 지식에 더하여, 고전주의, 마르크스, 개발주의, 오스트리아 학파, 슘페터 학파, 케인스학파, 제도학파, 행동주의 학파 등 다양한 학파의 이야기를 더한다(4장). 그리고 2부에서는 실제 경제의 대상이나 난제들(생산량, 금융, 불평등과 빈곤, 일과 실업, 국제적 차원 등)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두 번째로 고른 책은 <신좌유주의의 좌파적 기원>이다. 홍기빈 교수 이름은 들었지만 정작 저자인 조하나 보크만은 처음 들어보는데, 책 제목이 매력적이기도 하고, [로쟈의 저공비행] 서재에서 보았기 때문에 그냥 샀다(내가 매출 10권 중 1권은 올렸답니다).


 신자유주의는 복지 국가가 해결하지 못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었지만, 그 반발이 애초부터 극심했는데 어떻게 지금까지 그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었는지, 정말 신자유주의가 우리 삶을 뿌리채 잡아먹고 있는건지,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이를 해결할 것인지, 과연 해결방안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물음을 해결하고 싶다.














신자유주의가 삶을 빼앗는 것이 아니라면 우리 삶을 빼앗는 무엇에 대해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는 이데올로기는 아니였을까? 논문 글쓰기와는 정작 관련없지만 당장 궁금한 것들이다. 자유주의와 생명정치와 관계를 잘 설명해내는 것이 원래 내논문의 목표이기도 했으니까 아예 무관한 바는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68253


프레시안에 실린 니콜라스 로즈의 인터뷰를 보다가 문득 생각이 났다.


대중을 위한 새로운 교양 과학잡지 <스켑틱>의 창간소식이.



그 연유는 


김환석 : 한국에서도 1980년대부터 국가나 자본이 주도하는 현대 과학기술을 비판적으로 보려는 사회 운동이 있었습니다. 그런 사회 운동에 참여해온 이들이 참고했던 사례 중 하나가 바로 스티븐 로즈 교수가 주도한 '급진 과학 운동'이었습니다. 이들의 지향은 잡지 <Science for the People(민중을 위한 과학)>의 제호에 잘 드러나 있지요. 

아, 일반 대중에게 스티븐 로즈 교수는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한울 펴냄)의 저자로도 유명합니다. 이 책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이기적 유전자>의 리처드 도킨스와 <통섭>, <사회생물학>의 에드워드 윌슨 등을 강하게 비판한 책으로 유명하지요. 스티븐 로즈 교수는 최근에는 뇌 과학의 최전선에서 뇌 과학의 오용을 비판하는 작업도 수행하고 있더군요. 

로즈 : 형(1938년생)은 저(1947년생)보다 아홉 살 많아요.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공부했고 아주 젊은 나이에 영국 개방 대학의 첫 번째 생물학 교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방금 지적했듯이 사회운동가 정체성이 아주 강했지요. 앞으로 또 얘기할 기회가 있겠지만, 저는 형과 비교하면 사회 운동에 훨씬 소극적이었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서이다. 니콜라스 로즈와 이야기하는 김환석은 <생명정치의 사회과학>의 엮은이이다. 사회과학에서 생명정치에 대한 연구는 철학에서 보다 더 빨리, 더 다양한 논의로서 이어져 온 것 같다. 

서문 ‘생물학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혼합체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1부 생명정치란 무엇인가?
제1장 생명 자체의 정치를 위하여: 21세기의 생명정치 / 니콜라스 로즈
제2장 생의료화의 개념 / 아델 클라크
제3장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김환석
인터뷰: 니콜라스 로즈와의 만남 / 김환석, 강양구

2부 생명정치의 행위자-연결망
제1장 행위자-연결망 이론에서 보는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김환석
제2장 ‘사회적인 것’에 대한 과학기술학의 도전 / 김환석
제3장 신생 우려 집단의 정치?경제생활 관여의 증가 / 미셸 칼롱, 볼로로나 라베하리소아
인터뷰: 브뤼노 라투르와의 만남 / 김환석, 강양구

3부 생명정치의 쟁점과 사례
제1장 생명사회성론의 가능성과 한계 / 채오병, 배태섭
제2장 21세기 생명정치와 시민권의 변동 / 강양구, 채오병
제3장 광우병 위험과 지구적 생명정치 / 하대청
제4장 랩밴드 수술의 연결망으로 보는 비만치료의 표준화 과정 / 한광희, 김병수

참고문헌 / 찾아보기 / 필자 소개


여기에 관심이 가는 글은 <생명 자체의 정치를 위하여>라는 글인데, <생명 자체의 정치>(The politics of life itself)라는 글은 아마 단행본으로 널리 읽혔고 영향력 있는 글로 알려져 있다.(이 부분은 한 참고문헌에서 나온 내용을 적었다)

사회과학에서 생명정치를 나름대로 재해석한 부분은 신기하지만, 사회과학이 사회적 현상을 탐구한다면 문헌학, 훈고학 같은 내 전공에서는 이게 어떤 사상가의 사유 체계를 중심으로 하여 변용되는지, 문제의식은 무엇인지, 그 핵심 개념은 무엇인지에 골몰하기 때문에 사회과학적 탐구의 방향성은 내 취향과는 다소 다르다,


생명이 단순히 '생물학적인 것'으로 치환되는 것과 정치가 '사회적인 것'으로 환원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 이런 용어에 대한 민감성이 좋은 태도일지는 모르겠지만, 워낙 책의 의도 자체가 생명정치를 목표로 한 것이지, 푸코의 생명정치와는 다른 것이니까. 생명정치 개념에도 다양한 해석들이 존재하지만 그나마 통일된 관점은 정치는 그냥 '정치적인 것'이지 사회적인 것과 등가로 보지는 않는 것이다.


사회과학에서 생명정치 개념을 많이 연구한 이는 토마스 렘케이다. <생명정치 입문>이라는 책에서도, 단순히 아감벤이나 에스포지토, 푸코의 생명정치 개념을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쓰이는 생명정치의 새로운 변형들에 대해서도 논한다. 이 정도 언급은 매우 흥미로웠다.(렘케의 생명정치 입문은 그린비에서 곧 나올 예정이란다)


푸코의 생명정치에 대한 글들을 모은 <푸코, 생명정치, 그리고 통치성>(2013)이라는 책에서는 푸코의 생명정치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가진 글들을 모으고 있다. 여기서 기대하는 글을 요하나 옥살라의 <신자유주의와 생명정치적 통치성>, <부채인간>의 저자인 마우리치오 라자라토의 <해방과 정치>이다. 라자라토의 글은 랑시에르의 논의와 푸코의 생명정치에 관련된 글이다. 캐서린 밀스의 <생명정치적 생명>이란 글도 주제의식은 거의 내 논문 주제랑 비슷한데(나는 이 글을 보기 전에 이미 주제를 정했는데 ㅠ) 푸코, 아감벤,에스포지토, 캉길렘 등 다양한 학자들의 논의를 횡단하기 때문에 내가 접근할 방식과는 다행히도 다르다. 내 논문도 캉길렘에 대한 논의를 더할 수 있다면야 좀 더 충실한 논문이 되겠지만, 캉길렘의 책까지 읽을 시간이 있을런지는 모르겠다.


내가 캐서린 밀스와 공유하는 문제의식은 생명정치에 대한 수많은 논의 중에 정작 '생명' 자체에 대한 언급이 이상하리만큼 적다는 사실이다. 니콜라스 로즈가 설명하는 바는 정치이지 생명이 아니라고 그는 주장한다.


모든 글이 기승전내얘기이지만, 니콜라스 로즈의 형이 만드는 대중과학잡지도 보고싶다. 과학동아를 보고서 어린 시절 섣불리 이과생 마인드를 간간히 가졌던 나에게 과학적 논의는 언제나 흥미롭다. 생명정치에 대한 관심도 반쯤은 과학적이며 반쯤은 정치적으로 보이는 개념의 특성 때문일지도 모른다. 



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Foucault, Biopolitics and Governmentality (Paperback)
Nilsson, Jakob / Sodertorn University / 2013년 4월
26,910원 → 22,060원(18%할인) / 마일리지 1,11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28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5년 03월 16일에 저장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한국 스켑틱 Skeptic 2015 Vol.1
스켑틱 협회 편집부 엮음 / 바다출판사 / 2015년 3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15년 03월 16일에 저장
품절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경계넘기의 사회과학을 위한 탐색과 제언
김환석 엮음 / 알렙 / 2014년 5월
16,000원 → 14,400원(10%할인) / 마일리지 8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5년 03월 16일에 저장



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성의 역사 1권을 강독하면서(구경하고 따라하면서) 느끼는 바지만


문체는 여전히 복잡하고 어렵다. 무슨 말을 이리 복잡하게 쓰는가 싶다.


 푸코의 성의 역사가 읽기 쉬워진 탓은 아마도 내 사전 찾고 의미 찍기 실력이


나아져서인 듯 하다. 별로 좋아할 건 없다.



새로이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고통과 희열이 공존하는 과정이다.


현재로서는 걍 고통만 가중되는 것 같다. 어쩔 수 없이 외국어를 익히는 데


무조건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줄은 알지만, 당면한 과제가 많아서


초조하고 불안하다. 아직 논문 목차나 개요를 짜지도 못햇다. ㅠㅜ


교수님을 당장 피해다니는 수 밖에 없다.



 이전에 말과 사물 강독을 해봤던 적은 있는데, 이전에는 무슨 깡으로 


그걸 읽겠다고 했는지 모르겠다. 지금과 마찬가지로 단어만 무조건 찾아댄다.


책은 또 다시 봐야하는데, 읽어내야 할 것들을 잘 찾아내고 숨겨져 있는 새로운 것들을


조합해서 의미를 제대로 간파해야한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은 내가 프랑스어를 잘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분간은 이를 우선하여 작업을 진행하겠지만 


난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죄책감과 조금 나아질 거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계속 오갈 것 같다.



물론 한국어 실력을 더 길러야 한다. 내 요상한 한국말을 개선하기 위해


<고종석의 문장 1>을 읽을 것이고, 번역을 잘하기 위해서(외국어와 한국어의 차이를


비교하니 한국어의 특색을 잘 읽을 수 있다) 이희재의 <번역의 탄생>을 읽는 중이다.


또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있어서 <공포를 날려버리는 학술적 글쓰기 방법>까지


사놓았다. 내가 불안해하는 각각의 욕구마다 책을 마련해놓으니 순간 안심은 되지만


뭐든지 책으로 해결보려는 끈덕진 습성 때문에 조금 우습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마존을 포함해서 외국 서적 사이트에서는 

목차를 알려주는 일이 거의 없는 듯 하다.

목차를 보면 최소한 어떤 책일지 괜찮을지 아닌지 감이라도 잡지만

아닐 경우 그냥 궁금한 상태로 도서관에 주문한 책을 기다리게 된다.


푸코와 생명정치로 주제어 검색을 하다보니

The government of life 의 목차를 찾게 되었다.

저자로 표시된 Vanessa Lemm과 Miguel Vatter가 생소해서

전혀 다른 연구자들이 포함될 줄 알았는데


그 나물에 그 밥이다.


생명정치하면 거의 빠지지 않는 독일 사회학자 lemke, 


파리 1대학에서 푸코 연구 및 총서 관리를 하는 듯 보이는  Frédéric Gros,


역시 파리 1대학에 근무하며 Dictionnaire Foucault라는 책을 펴낸 Judith revel

(이 분은 생명정치 개념을 변용하여 새롭게 쓴 Negri의 여자친구이기도 하단다)


롤즈와 푸코를 비교한 글을 쓴 Paul patton도 들뢰즈에 관한 글로 익히 알고 있는 연구자다.


그나마 내가 알고 싶었던 생명개념에 대해 글을 쓴 maria muhle만이 내게 필요한 글 같아 보인다

Eine Genealogie der Biopolitik. Zum Begriff des Lebens bei Foucault und Canguilhem

15. Mai 2013 (요 책이 절판된 책이다)

maria muhle이 쓴 독어 원서를 도서관에 주문했지만 절판되었다고 취소당했다 ㅠㅠ

박사과정 논문을 책으로 펴낸 건데, 푸코 연구지인 Foucault studies에 이 책에 대한

서평이 실렸다. 캉길렘의 생명 개념을 적용했지만 그를 통해 해석한 푸코의 생명 개념에서는

저항에 대한 어떤 사고도 막힌다. 왜냐하면 우연성을 모두 통제하는 생명정치(권력) 때문이다.

원래 책에는 어떤 내용이 실렸는지 모르겠지만 일단 캉길렘에 대한 작업이 충실하게 실린 책이라면

보고 싶다. 독어는 못하므로 한참 기다려야지 ㅜㅠ


이 책에서 읽고 싶은 논문은 muhle의 글이다.(A Genealogy of Biopolitics: The Notion of Life in Canguilhem and Foucault)


원래 내 목표치는 캉길렘과 푸코의 규범 개념 비교였으나

규범la norme을 쓰려면 진짜 푸코의 전 저작을 읽고 비교해야하며, 캉길렘의 불어 글까지

잘 읽어야하는데, 내 능력 밖이므로 포기했다.


어쨌든 캉길렘과 푸코의 비교는 가치있는 일이다.

푸코는 거의 왠만하게 들어본 유명한 철학자는 다 까내리는데

거의 유일하게 인정하는 철학자 스승이 캉길렘이다(<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서문을 보면..)


캉길렘의 글을 번역본으로 잠시 본 결과, 둘의 문체가 매우 흡사하여

놀랬다. 스승으로 인정할 만 하군....

프랑스 인식론 계보(바슐라르-캉길렘-푸코)를 염두에 둔다면 특히 그러하며

개념을 우위에 둔 캉길렘의 개념사가 어떻게 푸코의 인식론(지식의 고고학 참조)으로

계승되었고 변화했는지에 관해서만 잘 알아도 흥미로운 논문감일텐데

난 자신이 없었다 ㅠㅜ



말이 길어졌지만 푸코와 캉길렘의 생명 개념 비교가 내게 제일 필요하다.

이 책에서 그 외의 글은 잘 모르겠다.

더한다면 그리고 푸코와 하이에크를 비교한 글도 재미있을 듯 하다. 

나의 하이에크에 대한 평가도 통치성 강의를 읽고 난 후 변하기는 했다.

그래서 추가로 이 글도 기대할 만 하다.


특히 Gros, Lemke, Revel은 거의 자신이 가장 자신있는 분야의 글을 

더 발전시킨 것이라 보여지고

이 말은 결국 새로운 주제의 글은 아니라는 말이다.


푸코의 성의 역사 1권을 보는 중인데, 생각보다 문체가 난해하지는 않다.

오히려 쉬운 편이라 놀랍다. 내 독해 실력이 몇 주만에 늘은 건 아닐테니.

난해한 문체의 최고봉은 내게는 메를로-퐁티였는데(내가 어렵다 생각한 들뢰즈보다 

더 막막했다. 읽으면 읽을수록 들뢰즈는 상냥한 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말과 사물보다도 더 깔끔하다. 담백해진 문체인가?

실은 1장만 읽었기 때문에, 담론의 선동(2장 1부)부터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어서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겠다. 번역본에 대해서는 차후에 말할 일이 있을 듯 한데

역자는 푸코의 원문을 오타로 규정하는 오만함(다른 교수님이 말했지롱)을 범하고 있기도 하다.


뭐 성의 역사 1권에서 생명정치권력 나올때까지 읽어봐야지...

생명권력이 나온 후에 생명정치 개념이 통치성 강의부터인 듯 하다.(그 시작이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인지 아니면 <안전,영토,인구>인지는 확인해봐야겠다.)


이 글의 목적인 목차..

 

List of Abbreviations 

Introduction
Vanessa Lemm and Miguel Vatter 

Part I. The Nomos of Neoliberalism
1. The Fourth Age of Security
Frédéric Gros 
2. The Law of the Household: Foucault, Neoliberalism and the Iranian Revolution
Melinda Cooper 
3. The Risks of Security: Liberalism, Biopolitics and Fear
Thomas Lemke 

Part II. Genealogies of Biopolitics
4. A Genealogy of Biopolitics: The Notion of Life in Canguilhem and Foucault
Maria Muhle 
5. Power over Life, Politics of Death: Forms of Resistance to Biopower in Foucault
Francesco Paolo Adorno 
6. Identity, Nature, Life: Three Biopolitical Deconstructions
Judith Revel 

Part III. Liberalism between Legality and Governmentality
7. From Reason of State to Liberalism: The Coup d'État as Form of Government
Roberto Nigro 
8. Foucault and Rawls: Government and Public Reason
Paul Patton 
9. Foucault and Hayek: Republican Law and Liberal Civil Society
Miguel Vatter 

Part IV. Philosophy as Ethics and as Embodiment
10. Parrhesia Between East and West: Foucault and Dissidence
Simona Forti 
11. The Embodiment of Truth and the Politics of Community: Foucault and the Cynics
Vanessa Lemm 

Notes 
Bibliography 

List of Contributors 
Inde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헤겔은 현대철학 공부하는 데 반드시 알아야 할 철학자이다.


대충 대중인문학에서 헤겔이나 칸트는 이름은 듣지만 당장 읽으려 하지는


않는 철학자이다. 체계가 거대한 사상가이거나 당장 읽기에는 라캉이나 지젝이 던지는


충격이나 파급효과가 더 강력해 보이므로... 하지만 지젝이 라캉을 가지고 헤겔을 거꾸로 세우는(?)


독법을 제시하듯이 현대 유럽철학에서 헤겔을 의식하지 않는 철학이 있을까?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학파에서 사회철학 논의를 전개할 때, 헤겔의 인륜성 논의가 빠질 수 없듯이


헤겔의 변증법은 들뢰즈나 푸코 등에게서 반드시 대결해야 할 철학적 방법론으로 명시된다.



 그래서 도대체 헤겔이 얼마나 대단하길래 이런 일들이 발생하는가 묻기 시작한 게 


내가 헤겔을 읽고 싶어하는 이유다. 지도교수는 푸코의 <말과 사물>을 헤겔의 <정신현상학>과의


대결을 꾀하는 책이라 했고, 푸코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에서는 헤겔의 변증법과는 달리


전략과 전술을 염두에 둔 푸코의 철학적 방법론에 대한 소개가 나온다(아마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일 것이다.>



 무슨 책을 읽어야하는 지 모른다면 입문서를 택하는 게 최고이다.


아무리 원서를 읽고 본인이 직접 그 뜻을 이해하는 게 연구자의 의무일지라도


칸트의 비판서를 정말 원문만 읽고 포기했던 내 경우를 참고해서라도 


입문서와 원전을 병행해서 읽는 게 효율적이다.



 헤겔에 대해 당장 알아야겠다는(실은 또 푸코에 대한 글을 쓰려하니 다른 것으로 눈을 돌린다) 생각으로


찾아본 입문서는 찰스 테일러의 <헤겔>, 하세가와 히로시의 <헤겔 정신현상학 입문>이 있다.


또 내가 가지고 있는 책으로는 손철성의 <헤겔&마르크스 : 역사를 움직이는 힘>, 칸트 원전을 계속 번역하는 백종현 교수의 


<칸트와 헤겔의 철학>이다.




























1.


기대를 하고 있는 책은 <헤겔 정신현상학 입문>인데, 쉬운 말로 헤겔의 문장을 해석해서 일본에서 


호응을 받은 책이란다. 그런데 그런 글을 번역한 또 다른 번역본은 그다지 호의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역자가 오히려 다시 헤겔의 원전 글을 도로 집어넣어서 어려운 상태로 읽게 된다는 것인데 직접 읽어봐야 겠다.


2.


 <헤겔>이라는 두 글자로 강한 포스를 풍기는 이 책은 미국인가 영국의 연구자인 찰스 테일러의 입문서이다.


두께가 1000쪽이 넘는 이 책을 읽으면 왠지 그냥 원서를 아니 읽어도 좋을만한 박식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듯 보인다.


이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1부 사변 이성의 요청
1장 새 시대의 목표
2장 헤겔의 청년기
3장 자기 정립하는 정신

2부 정신현상학
4장 의식의 변증법
5장 자기 의식
6장 정신의 형성
7장 계시 종교로의 길
8장 해석적 변증법으로서의 현상학

3부 논리학
9장 범주들의 변증법
10장 존재
11장 본질
12장 개념
13장 자연 안의 이념

4부 역사와 정치
14장 인륜적 실체
15장 이성과 역사
16장 실현된 국가

5부 절대 정신
17장 예술
18장 종교
19장 철학

6부 결론
20장 헤겔과 현대

부록
헤겔의 생애 | 참고문헌 | 옮긴이 후기 | 찾아보기


뭐 그냥 읽어야지라는 생각이 들지만 당장 1000쪽을 넘길 여유는 없으므로


헤겔의 <정신현상학 입문>부터 도전해야겠다.



3.


 어쩌면 후대에 다른 철학자들은 많이 사라지더라 하더라도(그 철학자 자체의 가치와는 달리 후대에는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헤겔만큼은 칸트만큼이나 길이길이 연구될 철학자일 것 같다...


그리고 그의 철학하는 방식이나 체계를 세워서 설명하려는 전통적 철학자의 역할을 의식하는 것이


이 시대에도 필요하다. 


3H(헤겔, 후설, 하이데거) 철학자 중 하나로 한 번 빠지면 나오기가 힘들다는 악명으로 이름이 높지만


그래도 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학자는 오래 머물러도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