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깐깐하게 무엇에 대해 말하면 좋지 않은 태도라고 욕 듣기가 쉽다.


하지만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며 꼬치꼬치 캐물어야 할 분야도 있다.


내가 경험한 바로는, 철학하는 사람이 글을 쓰거나 질문할 때 그랬으며


특히 책을 읽을 때, 전문서를 읽을 때가 그러하다.


 왜 이러한 꼬장꼬장한 태도를 취해야 하냐면, 철학이 엄밀한 개념을 추구하는 학문이기도 하거니와


제3세계에서 철학을 하는 입장에서 보통은 번역서를 통해 다른 나라의 학문을 수입하여 배우므로


번역이 잘못되었다면 철학서를 자칫 잘못 이해할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이다. 번역은 진짜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몇몇 번역서에서 네이버 사전을 가지고 뜻을 짐작해내는 이 어설픈 사람에게도 눈에 띄는 오역들이 많다.


그래서 학문 분야의 번역서 및 거의 모든 분야의 번역서를 예전처럼 편하게 읽을 수 없다.


책이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을 안 건 대학원생이 된 이후에서였다(학부는 이런 분야가 아니었으므로...)



 그래서 내가 원하는 건 제대로 책의 오역을 짚어내고 정확하게 독해하는 것인데


그런 데 도움을 주는 책이 <잔혹한 책읽기>이다. <번역의 탄생>이 한국어답게 들이미는 번역을 알려주며


한국어의 특성에 대해 깨닫게 하는 번역계몽서였다면, 잔혹한 책읽기는 그리스 로마 문헌학자, 서양 고전학 연구자인


강대진의 번역비평서이다. 전문지식을 가진 학자가 어떻게 이 책이 이런 오역을 하는지 단순히


문법상의 오류를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상당 수의 번역이 그리스 로마 문화, 문헌에 대한 무지로 인해


오역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번역 비평은 주제별로 하는 것은 아니고 각 책마다 한 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총 12장 중 영어책은 6권, 불어 책은 5권, 독어책이 1권이다(그리스어, 로마어, 영어, 불어, 독어... 저자의 어학실력이 부럽다)


손이 많이 가는 번역이지만 제대로 비평하며 읽는 사람이 몇이나 되련지 모르겠다.


번역 시비에 관해서 소송당한 분들도 있고... 참(이유는 오역을 지적한 일 때문이다.)


그래서 이렇게 무서운 일을 그리고 독자 입장에서는 소중하고 귀한 작업을 한 저자 강대진에게


감사한다.



목차

- 서문

1. 그리스 미술
2. 라틴문화의 이해
3. 로마제국사
4. 고대 그리스의 미술과 신화
5. 서양건축기술사
6. 매혹의 그리스 - 낯선 곳으로의 열정
7. 그리스 신화 - 1. 신들의 시대
8. 신의 가면 3 - 서양신화
9. 사생활의 역사 1 - 로마제국에서 천 년까지
10. 창조자들
11. 중세의 가을
12.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ps. 내가 번역비평서나 번역 기술에 대한 책을 즐겨 읽는 이유는 여전히 회피하는 습관 때문이다(말과 사물이여... 아직도 난해하다)


아직 읽는 중이라 정확한 리뷰를 하기는 힘들지만, 책을 번역하는 일을 


엄청난 책임을 요구하며 사명감을 가져야 하는 일 같다.


 멋진 번역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뜻을 곡해하여 독자를 방해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하지만 나도 곡해하고 있다ㅠ)


오역을 안할 수가 있을까? 모든 일이 차이를 낳는 반복이면, 원본 그대로는 없겠지만


어차피 다 같은 오역이나 다 동일한 질을 가진 번역일 수 없다. 의미 있는 번역이 있을 터이다.


덧붙임 1.


로마로 돌아오자면 자신의 군대를 버려야 한다는 전통을 모르므로

오역을 저지른 번역자를 지적하는 대목에서(61쪽), 저자는

"로마로 돌아오기 위해선 그의 군대를 내쫓아야 했음은 물론이다"(라틴문학의 이해 101쪽)

라는 문장에서 내쫓다는 표현은 '해산시켜야''한다는 표현으로 바꿀 것을 지적한다.

Pour rentrer a Rome, il lui fallait se défaire de ses armées p59


미세한 소립자급 오타로 생각되지만

내가 본 초판 1쇄본에서는 défaire의 é가 빠져 d faire로 쓰였다.

그래서 '(작은 따옴표)가 빠진 게 아닌 가 생각했으나

그럴리도 없고 내쫓다나 해산시키라는 표현이라면 défaire라는 단어가 맞을 것 같다.


깐깐한 저자에게도 오타는 피할 수 없는 실수이다(대체로 이러한 실수는 교정을 보는 편집자의 책임이기도 하다)


75쪽에서도 마찬가지로 l'accent aigu가 붙은 é가 생략되어 표기되었다

아무래도 글에서 é가 인식이 안 되어서 이런 자잘한 실수들이 생긴 듯 하다.

l'égypt로 쓰여진 듯 한데, l' gypt로 표기되었다.

난 의미상 오류를 찾아내는 데는 별 재주가 없지만

형태상 뭐가 빠진 걸 보는 거만 잘한다.


Le titre implique souvent une carriere au service du prince, qui conduit du service militaire aux procuratele et aux grandes prefecture : celles des dux flottes, des vigiles, de l'annone, de l'Egypte, du prétoire p.14



79쪽 Dès 84, il devint censeur... 인데 Dés 84로 되어있다

dés란 단어는 불어에 없는 걸로 알고 있고

Dès ~부터라는 뜻이다.


오만한 타르퀴니우스Tarquinius Superbus도 Suberbus라 쓰여있다.

번역자의 superbum이 훌륭한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오만한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지적하면서

타르퀴니우스의 칭호에서도 이를 찾아볼 수 있다고 말하는 부분이다.



표기 오류가 있지만 책은 재밌게 읽고 있다(서양 고전에 대한 상식도 쌓는 중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5-04-15 0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보고 책이 땡기네요.^^.

prouesse 2015-04-15 00:54   좋아요 1 | URL
책에 나온 저자의 글을 보면 신뢰가 갑니다. 강추합니다!

Cathy.Kwak 2015-05-23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강대진 교수님과 일리아스 읽고 있는 중입니다,, 교수님과은 방송대 `신화의 세계`를 인연으로 강의를 이주에 한번 듣고 있는데 넘 좋습니다,, 고전을 너무 흥미롭고 쉽게 접하게 해주셔서 일리아스도 거뜬합니다,,

prouesse 2015-05-27 03:20   좋아요 0 | URL
좋은 선생님에게 강의를 직접 들으신다니 부럽네요^^ 좋은 안내자를 만나는 것도 행운인 것 같습니다.
 

신자유주의에 대한 처음의 태도는 '빌어먹을 것'이었다.


딱히 경제적 전문지식이 없어서일지도 모르겠지만, 내게는 '공공의 것'을


민간에게 넘겨주는 행위 자체가 고깝게 보였다. 이윤을 생산하기 위한 자본주의 경제에서


단순히 효율성을 위해 모든 관리를 민간에게 넘긴다면, 물 등의 공공재라든가


철도, 항만 등의 SOC를 이용하기 위한 일반 시민들의 비용이 급증하게 된다는 생각이었다.



 경제사 영역에 대한 다른 이야기를 접했을 때(예를 들면, <생명관리정치의 탄생>에서 푸코의 이야기)


어쩌면 생각할법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현재의 경제 양극화라든지, 빈부격차나 


고질적이며 넘기 힘든 경제적 난제들을 생각해 볼 경우, 신자유주의를 아무런 비판 없이 수긍하거나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더라도 체념하게 되는 것은 내가 취하고 싶은 태도는 아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나의 출발점은 사태에 대한 이해고 그러기 위해서는 또 책을 꺼내든다.


단순히 신자유주의에 대한 도식적 해결(왜 그런 일이 생겼나? 신자유주의 때문이지. 라는 간단한 해결)보다 사태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할 수 있는 복잡하지만 심층적인 안내를 해주는 책들을 읽고 싶었다.


첫 번째 책은 복잡하지만 심층적 이해와는 다르지만 다양한 관점을 취할 수 있는 책이다. 그리고 마음에 드는 것은


비전문가도 경제에 대해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으며 내야 한다는 저자의 문제의식이다.


별다른 수식어가 또 필요하겠냐만 장하준 교수의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이다.


원제가 더 마음에 든다. <Economics -The user's guide>


대세이자 거의 절대적 진리로 여겨지는 신고전주의 경제학파의 지식에 더하여, 고전주의, 마르크스, 개발주의, 오스트리아 학파, 슘페터 학파, 케인스학파, 제도학파, 행동주의 학파 등 다양한 학파의 이야기를 더한다(4장). 그리고 2부에서는 실제 경제의 대상이나 난제들(생산량, 금융, 불평등과 빈곤, 일과 실업, 국제적 차원 등)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두 번째로 고른 책은 <신좌유주의의 좌파적 기원>이다. 홍기빈 교수 이름은 들었지만 정작 저자인 조하나 보크만은 처음 들어보는데, 책 제목이 매력적이기도 하고, [로쟈의 저공비행] 서재에서 보았기 때문에 그냥 샀다(내가 매출 10권 중 1권은 올렸답니다).


 신자유주의는 복지 국가가 해결하지 못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었지만, 그 반발이 애초부터 극심했는데 어떻게 지금까지 그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었는지, 정말 신자유주의가 우리 삶을 뿌리채 잡아먹고 있는건지,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이를 해결할 것인지, 과연 해결방안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물음을 해결하고 싶다.














신자유주의가 삶을 빼앗는 것이 아니라면 우리 삶을 빼앗는 무엇에 대해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는 이데올로기는 아니였을까? 논문 글쓰기와는 정작 관련없지만 당장 궁금한 것들이다. 자유주의와 생명정치와 관계를 잘 설명해내는 것이 원래 내논문의 목표이기도 했으니까 아예 무관한 바는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