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구상식사전 - 야구는 왜 매력적이고 위대한 스포츠인가
김은식 지음 / 이상미디어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야구 상식 사전
김은식 지음
내가 야구를 접한 것은 초등학교 시절 라디오를 통해서다. 한창 고교야구가 인기를 끌던 시절이었다. 동네아이들과 함께 뒷동산에서 열심히 야구공(당시에는 독공이라는 고무로 만든 공이 있었다. 잘 깨진다.)을 찾아다니던 기억이 난다. 풀밭에서 야구를 했기 때문에 공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당시에는 순전히 라디오 중계방송을 통해서 야구에 관한 지식을 접했었다. 후에 프로야구가 생기고 이로 인해 야구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몇 해 전, 베이징 올림픽에서 우리가 우승하던 때, 나 외에 야구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었던 당시에 갑자기 집안에 야구에 대한 열기가 돌기 시작했고 그 해 여름은 온통 야구로 달궈졌다. 그 후 월드 베이스 볼 클래식과 프로야구를 통해 막내 녀석이 야구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해서 야구 방망이와 글러브를 가지고 살다시피 한다. 그를 위해 야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 필요했다. 나도 야구에 대해 조금 알지만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싶었다. 무엇보다 야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야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 같았다.
야구는 복잡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장비와 장소 그리고 인원을 요구한다. 이 책은 복잡한 규칙보다는 야구에 관한 전반적인 상식들을 여러 가지 기록들과 함께 저자의 맛깔스런 해석과 함께 재미있게 보여주고 있다. 야구는 상당히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규칙도 복잡하고 겉으로 볼 때 공을 던지고 야구 방망이로 후려치는 것 같은 아주 원시적인 스포츠 같은 이 경기에 왜 많은 팬들이 열광하는 지 이해를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저자는 이러한 것에 나름의 명쾌한 해설을 내놓고 있다. 가장 원시적인 무기인 돌멩이와 몽둥이로 싸우는 야구는 수 만 년 전 목숨을 건 혈투가 놀이로 변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기에 거기에는 야성이 숨어 있고 치열한 두뇌게임과 심리전이 있으며 빈볼과 태클 그리고 벤치클리어링이라는 집단적인 행동까지 나온다. 저자는 서두에서 야구는 단순히 재미로 보거나 즐기는 스포츠가 아니라 인간의 본능적인 감정선의 자극과 함께 현대인의 철저한 분석과 기록으로 이루어진 삶의 현장이라고 말하고 있다. 어찌 보면 나의 치열한 삶을 경기장에서 열심히 땀 흘리며 뛰는 선수들을 보면서 감동하며 그들과 기쁨과 슬픔을 나누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승패도 중요하지만 그들의 승부 근성과 최선을 다하는 모습 그리고 결과에 승복하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길 원한다. 반면 그들 뒤에 숨어 있는 어두운 모습을 통해서도 우리는 가슴아파한다. 그것이 또한 우리들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각 프로야구팀들에 대한 이야기와 여러 기록들, 그리고 그들 뒤에 숨겨진 내용까지 다양한 이야기들이 사전적 배열로 소개되고 있다. 프로야구의 산실이었던 고교야구와 동대문 운동장 그리고 타자의 희열을 하늘 높이 날리는 홈런까지 그 의미들을 저자는 유쾌하게 짚고 있다.
이 책을 보며 학창시절 야구중계를 텔레비전으로 보기 위해 그리고 라디오로 듣기 위해 그토록 노력했던 기억을 떠올렸다. 주말이면 알루미늄 배트와 글러브를 들고 학교 운동장을 돌아다녔던 기억도 난다. 포수 글러브를 사기 위해 1년 동안 용돈을 모았던 것과 야구 방망이를 잃어 버려 며칠 동안 찾아 다녔던 추억도 생생하다. 아들 녀석이 손에 맞지도 않은 글러브를 들고 고무공을 던지고 받는 연습을 하는 것을 동시에 본다. 그에게 아직은 야구가 재미있는 놀이에 불과하다. 그러나 야구를 통해 인생을 보며 삶을 보게 될 날이 곧 돌아오리라는 생각이 들어 잠시 여러 생각이 교차한다. 승패를 떠나 최선을 다하고 승자에게 박수를 그리고 패자에게 격려를 아끼지 않는 스포츠맨 쉽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배웠으면 한다. 그(막내)와 같이 읽었다. ‘아빠, 나 아직 절반도 못 읽었는데. 어떻게 하지?’ 이 책을 읽는 것이 그에게 날마다 조금씩 지어지는 짐이다. 그러나 다 읽고 난 후, 환히 웃는 모습으로, 나의 해설이 필요 없이 야구를 보는 아들 녀석을 상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