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나를 지켜주었다
이재익 지음 / 도도서가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영문학을 전공하고, 영화 시나리오, 일간지 칼럼 등 다양한 글을 쓰기도 하고 라디오 PD로 여러 작품을 연출하고 있는 이재익 작가의 영시 강의 [시가 나를 지켜주었다]는 청춘은 예전에 떠나보냈을지언정, 그때의 기억을 새록새록 돋게 하는 글들이다.

시는 그 나라말에 아주 익숙한 상태에서도 감동받기 힘든 분야라고 생각된다. 하물며 영시라니... 소설과 다르게 영시는 해석이 번역자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은데, 그래서 외국의 시는 더더욱 밋밋한 느낌을 받았더랬다.

일상생활에서 쓰지 않는 단어들, 지금은 거의 쓰지 않는 언어들이라 거듭해 읽어도 감동받기는 힘들다. 물론 해석된 시들도 어렵긴 마찬가지인데, 작가의 생애와 시의 내용, 작가의 다른 시들과 함께 시에 얽힌 청춘의 이야기를 함께 읽으니 진부하지만 멋진 표현처럼 시가 내게로 오는 느낌을 받는다.

낭만주의 시인들은 누구도 막을 수 없는 주체할 수 없는 그런 감정을 담아낸 시라고 하는데 A.E 하우스먼의 ‘내가 스물한 살 때(When I was One-and Twenty)가 그렇다. 겨우 1년 만에 성숙해진 과장된 이 시는 그만큼 청춘이 그리 짧다고 저자는 해석한다. 시와 함께 기억되는 그의 영문학과 1년의 풋풋한 감정까지 고스란히 전달된다.

아이는 어른의 아버지(The Child is father of the Man)이라는 유명한 격언으로 알고 있는 구절이 있는 시 “My heart leaps up”등 소박하고 친근한 언어로 시를 썼던 워즈워드의 삶은 그의 시와 닮았다는 느낌을 받는다.

희곡작가로만 알고 있는 셰익스피어가 150편이 넘는 소네트를 썼다고 하는데, 영국이 자랑할 만한 작가라는 사실은 알면 알수록 인정하게 된다.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집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과하게 종교적이어서 비호감으로 기억되는데, 그림을 그리고 시를 썼지만 그의 편치 않은 삶만큼 자신의 예술이 인정받지 못했던 그의 생애와 지금은 미국의 대표 작가로 우뚝 선 에드거 알란 포의 역시 힘들었던 삶의 무게가 간접적으로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낯선 고요 - 자연의 지혜와 경이로움을 담은 그림 에세이
보 헌터 지음, 캐스린 헌터 그림, 김가원 옮김 / 책장속북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자연은 우리가 잠시 멈춰, 지금 이 순간에 머물게 하는 든든한 안식처입니다. 또한 우리를 둘러싼 세계의 법칙과 과학의 신비를 가르쳐 주는 푸르는 교실이기도 하지요.”


남동생 보 헌터가 글을 쓰고 누나인 캐스린이 일러스트를 그려 자연을 담은 책 [낯선 고요]는 옐로 스톤에서 경이로운 자연을 경험한 남매가 그려낸 멋진 책이다. 둘 다 동양철학에 관심이 있다. 잠시 멈추어 세상에 깃든 자연의 장엄함을 음미하는 쉼의 공간이 되기를 바라며 펴낸 책인데 사진이 아닌 동식물 하나하나의 선들이 시선을 멈추게 한다.

늘 변하는 사계절은 산에 갈 때, 날씨가 급격히 변화했을 때야 자연을 생각하는 정도의 삶을 살았던 것 같다. 꽃이 모여있는 곳에 잠시 가서 사진을 찍고, 눈이 오는 동안의 즐거움을 느꼈던 도시에서의 삶에도 언제나 자연의 경이로움은 곁에 있었는데, 그걸 놓치고 살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눈을 뜨고 있어도 세상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한다는 레이철 카슨의 말이 바쁘다는 핑계로 눈과 귀는 핸드폰의 저세상에 가 있고, 정작 내 앞의 자연의 신비에는 무감각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영양분을 순환시키고, 꽃가루를 나르며 씨앗을 먼 곳까지 퍼뜨리는 곤충들, 질병을 옮기는 해충을 만찬으로 즐기는 거미들, 씨앗들, 뿌리, 열매와 잎들을 비롯해 눈을 들어 하늘을 도화지 삼아 눈부시게 그려놓은 구름과 무지개와 별들... 지구라는 경이로운 환경은 그 자체로 삶이 꿈툴거리며 지속해 나아가는 하나의 생명체이고, 모든 것이 연결되어 유기적으로 돌아가는 멋진 세계임을 실감한다.

오늘부터 길을 걸을 때, 고개를 들어 창문 밖을 바라볼 때, 저 밖에 무수히 많은 생명체가 계속 순환하고 있음을, 그 자연을 앞으로는 조금 더 관심 있게 바라보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라카미 하루키 이렇게 읽어라 - 무기력하고 괴로운 현실에 상상력과 자유를
니헤이 지카코 지음, 송태욱 옮김 / 알파미디어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나름 책 좀 읽는다는 나는 무라카미 하루키가 나랑 안 맞는 작가라고 얼마 전 단정 지었다.

노르웨이의 숲을 몇 번 시도했다가 포기했고, 그의 단편조차 읽지 못했는데, 신간이 나오면 언제나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하루키인지라 1Q84 가 나왔을 때도 이번엔 읽고야 만다 생각하고 책까지 구입했지만, 역시 못 읽었다.

하루키의 책은 얼마 전 ‘샐러드를 좋아하는 사자’라는 짧은 에세이를 읽은 것이 전부인데, 솔직히 그 책은 좋았었기에 그의 소설을 이렇게 읽지 못하고 있는 것이 어쩌면 너무 기대가 큰데 초반에 그걸 느끼지 못해서 인건 아닌가 하는 생각은 했다.

[무라카미 하루키 이렇게 읽어라]는 하루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니헤이 지카코가 쓴 책이다. 하루키의 책을 충분히 소화하지 못하거나 그의 책을 읽지 못하는 나 같은 사람을 위해 쓴 책이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일관되게 다루고 있는 테마는 ‘자유롭게 사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것은 강요나 설득이 아닌 세상의 소수자를 통해 자유롭게 사는 것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형태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그의 문학을 읽다 보면 좀 더 자유롭게 살 수도 있었을 텐데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다양한 관점에서 깨닫게 해준다고 한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여러 작품이 소개되는데, 판타지적 이야기 구조를 좋아하지 않아서 솔직히 여러 작품이 끌리는 편은 아니지만, 세계적으로 하루키 문학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어떤 매력이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은 들었다. 시도했지만 읽지는 못했던 [노르웨이의 숲]과 옴진리교에 대해 다룬 [언더그라운드]에 관심이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로 스몰 토크 이렇게나 쉬웠다니
김영욱 지음 / 모티브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영어 유튜브 ‘달변가 영쌤’을 운영하며 인기를 끌고 있는 김영욱 샘이 이번에 3번째 책 [영어로 스몰 토크 이렇게나 쉬웠다니]를 냈다.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더라? 하는 궁금한 표현 30가지 한국어 표현 원어민이 가장 많이 일상 대화에서 쓰는 표현 그리고 빈도수 1위의 조동사 패턴 연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 사람들이 영어를 언제나 공부하면서도 영어를 말하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는 건 어제오늘의 이야기는 아닌데, 정말 영어를 성인이 된 이후에도 항상 공부하면서도 영어 드라마를 보다 보면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실제 내가 머리를 굴려 말하는 건 가능할지 몰라도 갑자기 하려면 이 말이 영어로 뭐지? 하는 문장들은 정말 많다.

귀찮아서라고 말하고 싶을 때, 넌 눈치가 없구나라고 말하고 싶을 때도 그런데, 그야말로 스몰토크에서 나올법한 말들의 영어 표현 등과 함께 영어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빈도 높은 영어와 조동사 패턴을 통해 원어민이 실제 사용하는 영어를 익힐 수 있다.

달변 가영 선생님도 언급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나서도 막상 말하려고 하면 ‘ 아 뭐더라...’를 언제나 겪게 되는데 그걸 걱정하지 말고 계속 꺼내보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자병법 - 이겨놓고 싸우는 인생의 지혜 현대지성 클래식 69
손무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기원전 5세기경 병법가 손자가 저술한 중국 고전 '손자병법'은 춘추시대여서 매일 전쟁이 일상인 시대였다. 25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동양은 물론 해외에서도 이 책은 높이 평가하고 있는데 단순히 군사 전략을 넘어 정치, 경영, 심지어 일상생활에까지 적용할 수 있는 깊이 있는 철학을 담고 있다. 사실 사는 게 전쟁이라고 할 만큼 경쟁이 치열한 사회에서 이기는 기술이 삶 전반에 필요한 기술이다.

오래된 고전인 만큼 여러 출판사에서 많은 손자병법이 나왔지만, 현대 지성에서 나온 손자병법( 소준섭 옮김)은 손자병법 전체 원문과 해석, 그리고 그 전술이 역사에서 어떻게 이용되었는지의 사례와 함께 온전한 손자병법을 읽을 수 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

읽으면서 정말 많이 들어봤던 많은 격언들을 보게 되는데, ‘나를 알고 적을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지피지기 백전 불태)’나 전쟁은 국가의 자원을 소모하는 행위이므로, 최대한 짧은 시간 안에 승부를 결정지어 인적, 물적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의 설명으로 표현한 (속전속결) 등 손자병법에서 나온 말들이 다시 삼국지에서 인용되고 현대사회에도 여전히 삶 전반에서 두루 이용할 수 있는 격언들이다.

손자병법은 총 13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 계(計) 편에서는 첫 계획, 사전분석 등에 관한 전략부터 마지막 용간(用間) 간첩의 활용까지, 군사 이론과 전략, 전술, 첩보전에 이르는 다양한 내용을 다룬다. 오래전 전쟁에 이기기 위해 쓰인 책이지만 1편의 사전분석은 계획 수립의 중요성을, 마지막 장 간첩의 활용에서는 내부의 단속과 결속력의 중요성으로 연결된다.

세계사에서 전쟁은 끊임없이 있어 왔고, 전쟁의 승패에 따라 세계사도 변했는데, 단순히 전쟁에 이겨서 나라가 흥한다는 것이 아닌 어떤 상태로 어떻게 해서 이겼느냐에 따라 나라의 운명은 바뀌었다고 생각한다.

군대를 운용하는 막대한 비용과 준비의 중요성, 전쟁 기간, 민심,부터 전쟁 이전에 스스로 망하지 않을 방법을 찾아야 하고, 그러므로 싸우지 않고 이기는 전쟁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손자는 주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