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묘묘 방랑길
박혜연 지음 / 다산책방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 씨 집안의 막내아들 효원은 이곳저곳 끼어들지 않는 일이 없는 오지라퍼다. 친우인 지형의 집에서 두꺼비가 탈출하고, 여종이 사체로 발견되면서 두꺼비의 탈출을 목격했던 종 갑석이 누명을 쓰고 사형당할 처지에 처한다. 여우의 자식이라 소문난 사로는 최지형의 소행임을 알아차린다. 죄를 뉘우치지 않는 지형은 여전히 여종을 희롱하다 어느 날 괴이한 형상으로 변하게 되고, 최대감의 집안은 풍비박산이 나게 된다. 이를 사로를 따라다니며 다 지켜본 효원은 특유의 성격으로 사로와 함께 모험을 하고 싶어하고, 아버지를 설득해 1년간 세상구경을 하려 방랑길에 나선다.

그리고 이 들 앞에 나타난 기기묘묘한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결국 저들이 사람 취급을 해줘야 사람인 것이지요.”


날개를 달고 태어난 아이 업둥이 그리고 날개를 달고 태어나면 마을이 나쁜 일이 생기기 때문에 날개를 잘라버려야 한다는 전설 속에서 아들을 꼽추인 듯 숨기고 살지만, 결국 자꾸 가려운 날개를 들키고, 엄마와 함께 훨 훨 날아간 아이 의 이야기인 '날개 달린 아이'

목각인형을 만들어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어린 온주는 하나뿐인 어머니가 떠나자 목각인형을 어머니라며 모시고 살아간다. 결국 자신이 차려놓은 음식이 어머니가 먹는 것이 아닌 도둑의 소행이고, 목각 어멈이 그저 인형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애써 외면한 외로운 아이의 이야기인 '목각 어멈'

결코 비워지지 않는 술잔, 그 잔을 이용해 외형을 바꾸고 도둑질을 한 쥐인 서공자 이야기– 차오르는 술잔

“저주라는 건 기본적으로 본인의 업보가 됩니다. 저주를 내려 마음속 증오를 해소하는 것처럼 보여도 그렇지가 않지요. 오히려 자신을 해하게 됩니다.”


충성을 다했지만, 주인 황 대감의 의심에 오히려 자신이 그토록 싫어했던 아버지를 닮아가며 주인을 저주했던 행랑아범의 이야기- 열리지 않는 문

이름도 없이 가난과 소박으로 서낭당에 머물게 된 여자아이와 사로의 인연 – 푸른 불꽃

여우의 자식이라고 믿고 있는 사로의 비밀 그리고 효원이 기억하지 못한 사로와의 인연 – 여우구슬

 미미 여사의 일본의 괴기 시리즈를 읽는 듯한 느낌, 주체적으로 효원과 사로가 사건을 해결한다기보다, 기이한 사건의 한 가운데 들어가 목도하고 원인과 결과에서 깨달음을 얻는 이야기들이다. 7개의 에피소드 모두 흥미진진하고 재미있다. 가벼운것 같아도 작가는 인간의 본성에 대해 사람들의 입을 통해 아주 잘 전달하기도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