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4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7
조지 오웰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3년 6월
평점 :
"과거를 지배하는 자 미래를 지배하고
현재를 지배하는 자 과거를 지배한다."
사람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 그리고 세뇌가 이루어지는 사회. 어찌보면 참으로 무섭고 숨박힐 듯 답답한 그런 사회가 과연 존재할까? 물론 존재한다. 과거 20세기 전체주의 사회가 그랬고, 오늘 존재하는 북한 공산정권이 그렇다. 그러나 이들 사회에서는 감시와 통제가 사회 전체에 미치기는 하였지만 기술적 한계로 구석구석에까지 미치지는 못하였다. 반면 여기에 철저한 감시와 통제가 이루어지는 사회가 있다.
'1984'
이 소설 속에는 전체주의가 어떠한 의미에서 온전하고도 과도하게 실행되는 사회가 등장한다. 오세아니아라는 통합 국가에서는 빅 브라더라는 인물의 독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들을 감시하기 위한 텔레스크린이 집안은 물론 거리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이 기기는 사람들의 행동과 소리를 정확히 잡아내고, 당에 어긋나는 행동이나 말을 하면 즉각 경고 음성이 나온다. 당원들은 하루 종일 이 텔레스크린의 감시를 받으며 생활을 한다. 오늘 우리의 눈으로 보기에 본 소설 속의 사회는, 이제는 기술적으로는 충분히 실현 가능하지만 인도적, 도덕적 차원에서는 결코 등장할 수 없는 사회인 것만 같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제 2의 히틀러가 등장한다면 그런 사회가 등장할지도 모를 일이다.
주인공 윈스턴은 텔레스크린이 자신을 볼 수 없는 방 안 한 구석에서 당에 대한 작은 일탈을 시작한다. 윈스턴은 당의 체제에 반대하기 위해 한 여자와 금지된 사랑을 나누고, 당의 전복을 꿈꾸며 비밀리에 형제단에 가입한다. 그러나 그의 일탈은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결국 그는 스스로 예상 했듯이 붙잡히고, 고문을 당한다. 윈스턴은 갖은 고문을 받으며 당을 부정하고 거부하지만 점차 세뇌되어 간다. 그리고 자신이 저지르지도 않은 온갖 죄를 자백한다. 그렇게 자존심이 무너져 가면서도 그 자신은 단 하나의 자존심만은 지켰다고 자부한다. 바로 사랑하는 연인인 줄리아에 대한 감정은 지켰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101호실로 향하게 된 그는 마지막 자존심마저 버린다.
본 소설은 사회 감시 및 통제 그리고 세뇌가 얼마나 무섭고 혐오스러운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한 인간의 힘이 정부 권력 앞에서는 얼마나 보잘 것 없는지 잘 보여준다. 왜 다수의 사람들이 체제를 전복시키지 못하는지 그 무력함을 깨닫게 한다. 그리고 주인공인 위스턴을 통해 한 인간의 의지는 누군가 원하는 대로 얼마든지 조정하고 바꿀 수 있음을, 강압과 세뇌 앞에서 인간은 자신의 의지조차 지킬 수 없는 한 없이 나약한 존재임을 알게 한다.
마치 이 소설은 그 속에 등장하는 통제 사회가 등장 할 것을 예고하는 듯하다. 그리고 그때를 위해 미리 경고하는 듯하다. 한 사람 혹은 소수의 힘과 노력은 국가 권력 앞에서는 아무 것도 아님을 말이다. 그때가 도래하면 그냥 순응하라고 말이다. 아니 어쩌면 조지 오웰은 그런 사회가 등장 할 수도 있음을 예견하여 만약 그런 사회가 등장하면 그에 반하는 방법의 실마리를 제공하려 했는지도 모른다. 그보다는, 오웰은 철저히 통제된 사회의 등장을 감지하여 그런 사회에서의 인간의 무력함을 미리 보여줌으로써 아예 그런 사회가 등장하지 못하도록 노력할 것을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경고하려던 것은 아니었을까? 아무도 모를 일이다.
우리는 '1984' 속 사회를 단순히 소설 속 이야기로만 취급하기는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다. 각국의 정상들과 주요 인물들이 암암리에, 그리고 공공연하게 세계단일정부(New World Order)를 언급하여 그 탄생을 암시하고 있다. UN(United Nations)은 그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과연 언젠가 세계단일정부가 등장할까? 그리고 만약 등장한다면 그 사회는 '1984' 속 사회를 구현하여 사람들을 지배할까? 우리로서는 전혀 알 수 없다. 그 키는 세계 최상위 권력층에 있는 일부의 사람들만이 쥐고 있고, 그 외에 우리는 심각한 정보 부재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장담할 수 있는 앞날은 없다. 혹 앞날을 예상 할 수 있더라도 지극히 제한적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촉각을 곤두세우며 세계의 변화를 예의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