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농장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
조지 오웰 지음, 도정일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어릴적 '동물농장'이라는 만화를 보며 한 장면에서 울먹였던 기억이 난다. '동물농장'에서 열심히 일을 하던 말이 심하게 다쳤는데 결국 치료를 명목으로 팔려 갔던 장면을 말이다. 그리고 성인이 된 지금 그 장면과 다시 만나게 되었는데, 이번에는 만화가 아니라 원작 소설인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을 통해서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은 인간이 경영하던 농장을 동물들이 반란을 일으켜 속된 말로 접수하고, '동물들만의 농장', '동물들이 경영하는 농장'으로 만들어 간다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영특한 돼지들이 다른 동물들을 진두지위하며 농장의 부를 증식시켜 나간다.
본소설 속의 '동물농장'은 공산사회의 전체주의를 상징화하고 있는데, '혁명'으로 이룩한 동물들만의 농장에서 양극화, 우민화, 노예화, 세뇌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잘 보여준다. 무지한 민중들(다수의 동물들)은 자신들이 어떻게 속고 착취 당하는지도 전혀 눈치 채지 못한 채 그저 전보다 더 나아졌다는 지도층(돼지들)의 사탕발림에 쉽게 속아 넘어간다. 이 소설의 하이라이트는 마지막 장면인, 집안에서 돼지들과 인간들이 왁자지껄 술판을 벌이며 한데 뒹구는 장면에 있다. 다른 동물들은 창 너머에서 그 모습을 지켜보며 무언가 잘못 되었음을 느끼지만 그게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그렇게 소설은 막을 내리는데 마치 동물들의 앞날에는 더 이상의 희망은 존재하지 않음을 예고한 듯하다.
'동물농장'에서 직접적으로 비난을 퍼붓고 있는 것은 소설이 씌어질 당시의 '소비에트 연방'일 것이다. 그러나 비난의 대상은 비단 소련에만 해당되지는 않을 것이다. 오늘날에는 소련은 사라졌지만 또 다른 전체주의, 다시 말해서 외형상 자유 민주주의라는 빛 좋은 허상이 사람들을 옥죄고 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또 다른 전체주의 속에서 우민화 및 노예화된 삶을 살고 있다. 겉으로는 자유를 만끽하고 있는 것 같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사실을 거부 하고 느끼지도 못할 것이다. 하지만 양파 껍질 벗기듯 얇은 막을 단 한 꺼풀만 벗겨도 우리의 현실에는 얼마나 큰 거품과 거짓이 끼어 있는지 알게 될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진실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과연 이러한 현실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소설 속 동물들처럼 집안을 들여다 보며 고개만 갸우뚱 하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