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기의 뒤죽박죽 경제상식 경제공부는 경제저축이다 4
최진기 지음, 신동민 그림 / 스마트북스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평생을 두고 공부해야 하는 경제학이다.  학교 다닐 때는 온통 이론과 그래프로 가득한 두꺼운 경제원론이 끝나고 거시경제, 미시경제, 경제사를 배울 때는  알아듣기는 해야했고 좀처럼 재미있는 학문이라고 느끼지 못하고 졸업했다.

 

   관심있게 보려고 하지 않아도 늘 따라다니고 관심을 두게 만드는 경제기사를 볼 때마다 어떤 책을 들여야 봐야 할지 고심하게 만든다.  고전경제학이 아니 현대경제학은 이론보다는 세계경제와 현실 정치적인 시사문제까지 두루 갖추워야 할 상식이 되어 버렸기 때문에 더욱 공부가 필요함을 느낀다.

 

  만화로 되어 있는 어린이 책도 사실은 한 번 읽어보고 이해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왜 이렇게 용어는 많은지 왜 이런 용어들이 나오는지 알기 위해서는 건축의 기초가 되는 용어설명이 정말 중요하다.

 

  2년 전에 최진기의 <경제상식 충전소>를 읽었을 때에 조금 상식이 느는가 싶더니 역시 다른 분야와 같이 놓이다보니 관심이 멀어진다. 다시 꺼져가는 경제상식에 불을 당기는 <최진기의 뒤죽박죽 경제상식>(2012.4 스마특북스)이다.

 

 경제서들의 특징이라면 무엇보다 딱딱하다는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왠지 조금 무게있는 설명이 필요로 하는 학문이라는 선입견을 깨뜨리면 안될 것처럼 어렵다. 사실 이번 책은 읽기 시작했을 때와 읽는 중에 드는 생각이 다르다. 그림이 많이 들어있고 마치 카툰을 보는 것과 같은 데다 중간중간 농담하듯 의문문들도  처음에는 쉽게 읽히지만 갈수록 어려운 경제용어의 등장은 세심하게 읽어보게 만든다.

 

 우리가 하는 말들도 심지어 아이들의 유행어도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데 경제용어도 들어보지 못했던 신조어들이 등장이 이번 책에서 많이 접할 수 있었다.

 

  흔히 우리 사회의 경제구조가 피라미드라는 말은 많이 들었는 압정을 맟 뒤집어 놓은 듯 중산층이 사라지고 위로 갈수록 뾰족하다 못해 날카로운 압정의 모습을 통해 본 압정형사회, 갈수록 양극화 현상은 언제나 없어지려나

 

  각종 지표와 지수, 매일 듣지만 늘 헷갈리는 환율와 보합세 경향등등 읽으면서 이해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서 마치 스토리텔링으로 듣는 경제상식사전이다.

 

  한 챕터가 지나가면 가로 넣기와 같은 정리학습도 솔솔한 재미가 있다.

 

  무엇보다 쉽다는 것에 느낌에 머무는게 아니라  연상할 수 있는 그림과 함께 역사, 정치를 넘나드는 시사상식까지 덤으로 얻게 되는 책이다. 단, 난이도가 있는 경제용어 이해를 위해서 다른 책의 힘을 빌어야 한다. 다음책 경제기사의 바다에 빠져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