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켈러 - A Life - 고요한 밤의 빛이 된 여인
도로시 허먼 지음, 이수영 옮김 / 미다스북스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깜깜하고 무서운 바람 금방이라도 번개가 칠 것 같은 벌판으로 우는 아이를 데리고 비를 맞는 장면이 담긴 한 컷의 위인전(만화로 되었던)은  앤 설리번 선생님과 헬렌 켈러의 일화를 다룬 가장 강한 인상의 장면이었다.  어려서 본 위인전에서도 가장 강렬한 인상이 남아 있었던 이유는 결국 모든 위인전이 그렇지만 어렵고 힘든 고난을 헤치고 나면 곧 희망과 아름다운 결실이 뒤따르는 보상이 기다리고 있을거라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위인전 중에서도 가장 으뜸이었기 때문이다.

 

   그런 헬렌을 위해 아낌없는 헌신을 한 이는 헬렌을 낳아 준 엄마라는 존재 보다 앤이라는 그림자와 같은 선생님의 노력 없이 가능하지 못했다는 마치 필연적인 관계의 설리번 선생님에 대해서는 사실 주목하지 못했다.

 

   제목부터 가슴을 울리는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이라는 책을 읽었을 때 헬렌이 가진 장애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고 앞을 못 본 한 여인의 애타는 마음보다는 지금 내가 볼 수 있다는 것이 또 들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행복한 지 느끼게 해주었는데..

 

  그녀가 있기까지 앤 설리번의 일상은 헬렌에 가려져 잘 이야기 되지 않았다. 이 책 <헬렌켈러 A Life>(2012.4 미다스북스)를 읽기 전에 그녀가 엄청난 강연을 다니고 책을 쓰고 영화, 연극, 사회활동을 하기 위해 그녀를 도와주었던 사람중에서도 마치 반려자와도 같은 존재였던 설리번선생님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다.

 

  어려서 읽었던 호리호리하고 아름답게 표현되는 모습보다 실물의 두 여인의 모습의 변천은 그저 평범한 여인들의 나이듦을 보는 것도 같았으나 앤은 헬렌을 가르치게 되기까지 그녀가 버림받고 눈도 정상이 아니였으며 아버지로부터 버림을 받는 등의 슬픈 아픈 과거를 읽게 되었다.

 

  헬렌을 가르치면서 겪는 일들을 그녀의 후원자인 애노그노스에게 편지로 일일이 보고를 거부하기도 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이 헬렌에 곁에 남아 있어야 함을 강조하는 또다른 모습을 보여준 앤, 나중에 그녀를 시기하는 이들과의 정면승부를 걸만큼 끝까지 헬렌과 함께 하길 원했던 앤, 정말 다른 모습을 보게 되었다.

 

  장애를 가진 여성은 자신의 여성성을 억누르고 결혼도 아이도 갖지 못하고 자신의 장애를 극복한 뒤의 이야기를 책으로 남기고 강연을 다니던  헬렌에게도 아픔은 있었다. 아버지의 후원을 받지 못하고 사랑을 하고 싶어도 극심한 어머니의 반대에 그만 굴복하고 말았을 때, 세계적인 유명이기 아니었다면 그래서 평범하게 살았다면 여인으로 누렸을 행복을 누리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을 느끼게 해 주기도 한다.

 

  나중에 앤의 기력이 쇠약해지고 아프게 되면서 오히려 헬렌이 앤을 도와주게 되었을 때 자신을 헬렌만큼 점자책을 읽을 수 없다고 말한다. 앤은 결혼도 하게 되었지만 끝까지 행복하지는 못했다.

 

  읽는 동안 그녀가 만났던 마크 트웨인을 비롯해, 찰스채플린등 그녀를 좋아하고 아낌없은 후원했던 이들과의 대화 내용을 통해 그녀의 아름다운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결국 앤이 죽고 그녀를 돌봐 준 이들과 바늘과 실처럼 세계 곳곳을 누비며 생활한다.  늘 기적이라는 꼬리표를 달면서 강연을 다녔던 그녀의 일대기는 오늘날 많은 장애인들의 희망이 될 수 있겠지만 죽음을 두려워 하지 않고 오히려 다시 태어나면 앞을 볼 수 있는 데 더 기쁘게 느꼈던 헬렌은 어딘가 유명인으로서 외로움이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