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서평은 출판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홀로코스트, 아이슈비츠 강제수용소의 실상을 다룬 소설과 영화를 통해 생생한 유대인의 증언과 나치의 만행을 간접적이나마 느껴봤다. 짐승보다도 못한 처절한 삶을 살았던 그들에게 전쟁이 끝난 뒤의 찾은 자유의 소중함과 영화가 끝남과 동시 이제는 살았구나하는 일종의 희열까지 드라마 같은 전개가 식상하지 않은 이유는 이것이 사실이라는 데 있을 것이다. 어느날 갑자기 전쟁이 터져 현실이라 믿기지 않는 상황이라 폭탄이 머리위에 마구 떨어져도 이건 아니야 혼자 중얼거리게 했던 뼈속까지 폴란드인 이레네의 생생한 증언이 담긴 <내이름은 이레네>(2011.10 연암서가)는 유대인인 피해자인 입장이 아닌 제3의 입장에서 전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폴란드가 러시아와 독일의 불가침조약을 깨고 서로 점령지를 나눠 지배하게 되어 전쟁이 시작되자 세상은 하루아침에 달라졌다. 가족과 떨어져 간호공부를 하던 이레네는 전쟁터로 조국을 지키고자 무작정 따라나섰다가 러시아군에서 잡혀 군인들에게 몸을 더럽혀 만신창이가 되지만 기적처럼 목숨을 건진다. 러시아 순찰대에 의해 구조가 되어 러시아 점령지가 된 테르노폴에 있는 병원에서 일하게 되면서 포로신분이지만 전쟁의 후방에 있게 된다. 하지만 새로 부임한 병원장의 횡포에 시달리자 마침내 한 의사의 도움으로 간신히 탈출을 한다. 이름을 바꾸고 새로운 삶을 살게 된 것도 잠시 다시 전쟁의 한복판에 있는 라둠 고향으로 가기 위해 길을 나서지만 곳곳에 있는 검문에 끌려가 고문을 당해 죽을 고비를 넘긴다. 그와중에 유대인들이 당하는 모습도 보게된다. 마침내 고향에 도착하지만 모든 것이 달라져 있고 전쟁으로 가족드과의 짧은 만남이 이어진다. 독일의 강제징용으로 어디로 가는지 모르고 끌려가고 길 한복판에서 사살되는 모습은 지켜보는 이에게 공포와 고통이 휩싸이게 했다. 탄약공장에서 일하던 중 우연히 장교식다으로 발탁이 되면서 운명처럼 유대인들의 집단거주지역인 게토에서 도망가는 유대인들을 향해 총을 쏘아대고 눈이 쌓인 거리에 그들의 피가 물들이는 것을 보게 된 이레네는 그 모습조차도 눈을 감고 모른척 해야 한다는 현실을 본다. 유대인을 도와준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죽을 수 있는 위험을 무릅쓰고 게토의 담장에 음식을 몰래 갖다놓기 시작한다. 탄약공장과 군대의 이동으로 다시 테르토폴로 가게 되면서 보다 가까이에서 유대인들의 참혹한 모습을 보게 된 이레네는 세탁실에 일하러 온 유대인들에게 음식을 나눠주게 되고 마침내 12명의 유대인을 소령의 집 지하실에 숨겨주는 과감한 일을 벌인다. 아슬아슬한 그 숨막히는 가운데에서도 숲으로 도망치게 해주기까지 한다. 전쟁이 막바지에 다다를수록 나치군들이 유대인이 없는 청정지역으로 만든다는 취지아래 그들 을 모두 죽인다는 말이 돌고 몇번이고 들킬 위험이 도사리는 상황을 모면하게 된 데는 그녀를 도화준 슐츠씨가 있었고 마침내 발각이 되었을 때 이를 눈감아준 뤼게머 소령도 있었다. 하지만 그녀는 나이 많은 소령의 정부가 되는 대가를 치르기까지해야 했다. 모든 것이 다 끝나 그녀가 자유의 몸이 되어서도 그녀는 멈추지 않고 레지스탕스라는 비밀요원으로 활동을 하면서 사랑하는 이도 만나 결혼을 하게 될뻔 했지만 그는 활동중에 목숨을 잃고 만다. 숱한 어려움을 모두 견뎌냈지만 가족들의 죽음 소식과 몸과 마음이 지친 그녀가 쉴 만한 곳은 폴란드가 아니였고 마침내 그녀는 이민을 결심하고 미국에 정착하게 된다. 그녀는 이미 2003년에 영면에 들었다. 많은 유대인들을 구해준 쉰들러가 자신의 경제적인 이윤을 위해서였다면 이레네는 유대인들의 모세라는 별칭이 어울린다. 목숨을 건 진정한 수호천사의 모습 그 자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