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바 마을 이야기
베르나르도 아차가 지음, 송병선 옮김 / 현대문학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환상문학이나 SF소설을 읽다보면 가끔 현실이 오히려 이상하게 여겨질 때가 있다. 상상의 세계에서 깨어났을 때 조금 허탈하기도 하고 잠시지만 뭔가  다른 세상에 빠졌던  느낌이 싫지 않다. 그래서 또다시 읽고 빠지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미지의 세상보다 가보지 않은 나라에 대한 상상이 가져다 주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지리적으로 아주 먼 나라도  방송매체를 통해 간접경험을 하게 되는 것과는 다르겠지. 하지만 우리나라에 소개된 알려진 많은 세계문학을 보더라고 익숙하지 않은 나라의 것은 사실 접하기 쉽지 않다. 

   강렬하고 격정적인 투우의 나라 스페인, 문학적으로는 거의 알지 못했던 나라 바스크어라는 생소한 언어로 쓰여진 작품<오바바 마을 이야기>(2011.8 현대문학)은 그만큼 알려지지 않고 상상의 마을 오바바 마을을 배경으로 작가의 자전적인 소설에 소설이 이어지는 연작소설이다.

  일종의 꼬리에 꼬리를 물듯 이야기는 계속 나오지만  앞의 내용을 애써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마치 익숙한 천일야화 같은 느낌이다. 하지만 이야기를 퍼즐맞추어 전체적인 오바바 마을을 상상하게 만든다. 마치 우리나라 오지의 전해내려오는 전설내지는 민담을 읽고 있는 느낌이 먼저 든다. 

   총 3부의 스물여섯개의 이야기로 되었지만 멧돼지로 변한 소년을 회고하는 수사신부의 슬픈 고해편지와 도마뱀이 머리에 들어가 뇌를 먹었다는 사실의 진실을 알기 위해 오바바로 떠난 나와 친구의 로드무비같은 이야기 속에 또 이야기가  제일 맘에 든다.

   오바바마을에서 외롭게 혼자만의 상상으로 사랑을 하는 여선생님은 낙도에 부임한 여선생님을  떠올리게 하고 죽음의 신을 보았던 하인의 이야기는 저승사자를 보고 멀리 도망갔던 옛날 옛적에로 시작하는 구전되어오는 우리나라 민담이 떠올랐다.

  낯선 언어로 쓰여졌다는 데  일종의 선입견을 가지고 읽기 시작해 처음에 약간 어려웠다.  읽을 수록 자신들만이 알고 있는 비밀이야기를 알려줄게 하는 것처럼 속삭이는 느낌을 받게 된다.  날카롭고  확실한 반전이 주는 헉하는 반전은 없지만 조금 무디지만 부드러운 반전, 특히 도마뱀과 이스마엘의 이야기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