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 풍경과 함께 한 스케치 여행
이장희 글.그림 / 지식노마드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서울에 있는 학교를 다니면서 남대문을 거의 매일 봤다. 아침에도 보고 저녁에도 봤다. 늘 그자리에 있는 줄 알았던 남대문은 나에게 추억의 사진 한장이 있다. 어느날 춘천에 다녀오는 길에 남대문시장에 들렀다가 가지고 있던 사진기에 남대문 안내표지판 앞에서 사진을 찍었는데, 별 새삼스럽게 찍냐는 핀잔을 들어가면서 찍었다. 그런데 그것이 역사의 현장이 될 줄 몰랐다. 나중에 전소가 되는 방송을 보면서 그날 그때 내가 그자리에서 사진을 안 찍었더라면 기억이나 해낼 수 있을까 싶다.
서울은 살 때도 잘 모르고 살았는데 지금 살고 있는 곳에서 한 번씩 가려면 정말 자주 바뀐얼굴을 보여 알고 있던 길도 낯설때가 많다. 물론 떠나 살아간 시간이 훌쩍 넘겨서 그랬는지 아니면 너무 자주 바뀌는 것이 비교적 변화가 적은 곳에 살다보니 상대적인 느낌인지도 모르겠다.
책을 한 권읽으면서 이렇게 꼼꼼한 느낌이 드는 책은 처음인 것 같다. 사진이 담긴 책은 많이 봤고 한 장 한장 넘기면서 작가의 글에 공감하고 꼭 한번 가보고 싶다는 상상을 하게 만든 책은 접해봤다. 그리고 멋진 사진을 담은 책에 고마워도 했지만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2011.3 지식노마드) 이책은 정말 다르다.
첫장면부터 새롭다. 그리고 또 그리고 글까지 모두 작가가 직접 현장에 가서 그린 책이다.
경복궁을 시작으로 명동, 광화문, 정동, 혜화동, 이름도 생소한 딜큐샤, 인사동까지 한국인으로서 너무도 유명해서 지나치기 바빠던 명소들의 틈새하나까지 놓치지 않고 모두 담았다. 남겨진 커피자국까지 사랑스럽다. 걸으면서 요새 유행하는 스마트폰을 들고 지리를 찾더라고 이렇게 자세히 찾을 수는 없을 것
같다.
저절로 고개를 숙여 작가의 위트있는 멘트를 찾아보게 만들었다. 이화여고를 80년만에 명예졸업한 유관순열사에 대한 짧은 글, 그럼 유관순열사는 80년동안 이화여고생이었다니 웃다가 까무라치는 줄 알았다. 곳곳이 역사적 사건이 담긴 거리와 장소를 다니면서 작가의 역사적 관점이 담겨 안내역할도 톡톡히 할 만하다.
우표하나 입장권 하나도 놓치지 않고 그린 스케치의 매력에 푹 빠지게 만든다.
우정총국을 통해 격변했던 갑신정변의 모습을 연상시키면서 추억의 편지 이야기까지 작가는 소소하게 생각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정겨운 일들이 하나둘 사라지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끼게 해주기도 한다. 편지한장을 보내고 기다렸던 시대에 살았던 나로서는 지금처럼 짧은 문자메세지로 그만큼의 마음이 전달될 수 있을까 새삼 편지가 쓰고 싶어지게 했다. 이제 우표를 어디서 사야하는지도 잘 모르겠다. 우리동네에 우체국은 어디에 있더라..
구세군 냄비가 처음" 이국솥을 끓게 해주세요"라는 메세지가 많은 사람들을 자극해 오늘날 자선냄비가 될 수 있었다는 사연은 앞으로 그 앞을 지나칠 때마가 생각나게 할 것 같다. 하나 하나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너무 많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책장을 넘기게 한다.
짐을 싸고 계획을 세워 멋진 여행을 기대했는데 가보니 생각했던 모습이 아닐때가 더 많다는 것을 경험상 알게 된다. 그것은 그 곳을 먹거리나 볼거리에만 집중해 소소한 재미는 놓치고 온 결과물이기 때문이었다. 비가 와서 온종일 숙소에만 머물러 있다 왔더라도 서로 나누었던 이야기, 같이 굶어서 고생했던 것도 모두 추억이 되기도 한 것처럼 꼭 멀리 가지 않더라고 지역의 모습에 다른 관점을 가지고 본다면 나름 소소한 재미를 느낄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안겨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