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한쪽 눈을 뜨다 문학동네 청소년 7
은이정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빛나지 않는 졸업장을 받은지 얼마지나지 않아 기대반 설렘반이 마음으로  중학교에 들어섰다.  초등학교때와는 달리 두배로 커진 운동장이 제일먼저 눈에 들어오고  온통 여학생들만 있는 교실을 들어선 그 낯설음은  왠지 어딘가 혼자 버려진 느낌이었다.

  초등학교와는 너무도 다른 환경에 익숙해지기도 전에 확연히 나뉘는 친구들이 하나둘 모이기 시작했다. 가방을 시작으로 옷, 신발등 브랜드를 들먹이며 마치 요즘 명품을 논하는 것처럼.. 왠지 초라해지는 나는 그 어디에도 낄 수 없어 고민을 늘어나기 시작한 사춘기의 시작이자,  외로움이란 단어를 처음으로 떠올렸던  시기였다.

   주인공 영섭, 태준이 다니고 있는 중학교 2학년 2학기 교실을 들어섰다.  대부분 2학기의 교실은 몸을 낮추고  내존재를 숨길 수 없는 사바나라고 표현이  딱 들어맞는다.  이미 1학기를 지나 애들 나름 서로의 분위기를 파악한 뒤의 교실은 드러내려고 애쓰지 않아도  공부 못하지만 재밌는 친구, 공부도 잘하지만 성격도 좋은 친구, 착하지만 공부는 못하는 친구, 그리고 어디가나 꼭 한 명씩 있는 분위기 파악을 못하는 친구, 친구들 사이에서 힘깨나 쓰는 친구까지 나름 가진 특징들로 가득하다.

  부쩍 2차 성징이 나타난 친구들이 서로를 놀리기도 하고 나름 가진 고민에 빠진 이들의 세가지 시선에서 바라본 각 사건들은 현실감이 묻어난다. 공부의 압박을 받으면서 조용히 변하는 자신의 신체에 당황하기도 하고,  당하기만 하는 친구를 지켜봐야 하는 상황까지 어느 하나 벗어나고 싶지만 쉽지 않다.

  온통 자신이 어떤 동물로 변하려고 상상하는 데 열중하고 자신의 세계를 침범하는 친구들에게 깊은 증오를 가진 영섭, 어떨결에 반장이 되어 선생님과 친구들 사이에 이리치고 저리치는 반장 태준, 그들의 뒤에서 담임선생님의 어려운 난국을 이끌어 가야하는 상황까지 각각의 입장에서 보는 일련의 사건들은 평범하지 않지만 해결점은 상황을 잠시 덮는 것 뿐이다.

 괴물이 있다. 자신 안의 서슬 퍼런 괴물은 죽일 수 없는 존재다. 그냥 견디다 보면 내가 너가 되고 너가 내가 되듯 그저 공존해야 하는 데다 각자 가진 괴물에 순응해서도 불끈 끓어오르는 괴물을 무시해서도 안된다. 그야말로 어려운 존재다.

  영섭은 끊임없이 자신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고 괴물을 동물로  대신하고 태준은 상위권이라는 가면을 쓰고 야동을 보고 싶은 괴물에게 자신을 내어주기도 한다. 선생님도 사춘기 소년은 아니지만 어서 이번 학기가 끝나길 바랄뿐이다.

   지나고 나니 그때가 가장 혼란스러움을 알게 된 첫 관문이었다.  어느 사회이고 집단이고 잠시 머물렀다 거치는 과정이라해도 처음과 끝 그리고 그 과정을 혼자 견뎌내야 한다.  그때 나는 그 첫단추를 제대로 맞춰 잘 꼈는지 궁금할 뿐이다.
 
  청소년소설에서 보기 드문 심리묘사가 탁월한 작품이었다. 각 동물의 특징으로  표현한 영섭의 마음이나  마치 물없이 먹은 고구마를 억지로라도 삼키듯 답답한 마음을 나타내는 태준의 맘속을 헤엄친 느낌을 들었고 교실안의 모든 상황을 알듯 모를듯 담임의 소임에 충실했던 담임선생님의 마음역시 모두 공감할 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