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살 차이나는 언니가 유치원을 다니기 시작하자 엄마한테 나도 어디든 보내달라고 종일 졸라댔다. 심심해서가 아니다. 집에 있는 남동생이랑 놀면 되고, 지천에 널린 자연놀이가 많았기 때문에 시간을 어떻게 보내지 못함이 이유가 아니었다. 그냥 시설에 등하교 하는 언니를 따라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나이는 5살 (만4살). 또래 아이들보다 몸집도 키도 작은 비실비실한 5살아이가 들어갈 만한 곳은 내가 살던 시골 동네에는 없었다. 하지만 엄마는 나에게 시달리는 시간이 길어지자, 한 태권도 학원의 원장님에게 특별 부탁해서 다닐 수 있게 해주셨다. 나 파란띠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ㅎ 여튼 그곳은 태권도를 추가로 가리치는 정도 뿐 취학 전 아이를 돌보는 일반 유치원과 비슷했기 때문에 모두  다 나이 많은 오빠 언니들 뿐이었다. 그래서 그때 소풍가서 찍은 단체 사진 속 나는 단연 독보적이다. 그냥 가장 쪼그만 꼬마. 바로 나였다.

 

등하교의 의식을 치르는 내가 뿌듯해서 좋긴 했는데, 문제는 친구가 없었다. 한두살 어린 동생을 친구로 대해주지 않은 무리속에 어느날 등하교길에 동행해주는 아이가 나타났다. 집이 서로 같은 방향이었던, 나보다 5살 많은 다운증후군 해근이. 유일한 친구가 되어 주었다. 덩치 큰 해근이가 나를 보호해주는 느낌도 있었지만, 오가는 길에 재밌는 이야기도 많이 했던 기억이 있다. 인생 첫 친구.

 

어느 날 밤, 엄마가 해근이가 죽었다고 했다. 가족들이 해근이를 집에 두고 잠깐 외출했는데, 그때 도둑이 들어와서 해근이를 칼로 찔러 죽였다고 했다. 사라지는게 죽는것 같은데..해근이가 사라졌구나. 그렇게 첫 친구가 사라졌다. 해근이가 죽었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 울었는지는에 대해선 기억이 없지만, 해근이가 떠오르거나 해근이와 비슷한 친구들을 보면 마음이 많이 슬퍼지고 그리고 운다. 그렇게 첫 죽음.상실에 대한 의식은 여전히 계속되어지고 있는 것 같다.

 

"모든 고통과 슬픔은 개별적이고 주관적입니다."

"누군가의 고통을 다른 고통과 비교하면서 폄하하거나 억누르면 안됩니다."

 

세월호 사건으로 자식을, 친구를, 동료를....잃은 수많은 사람들. 그들의 마음 속에 남겨져 있는 상실의 아픔. 눈물을 어찌 다 헤아리고 이해할 수 있을까? 눈앞에서 사라졌다고 내 마음 속에 있는 그들조차 사라지지 않는다. 그저 상실한 자, 그리고 상실을 동반한 죽음을 기억하며 살아야 할 생이 우리에겐 남아 있을 뿐이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21-04-23 05:1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도둑이 그냥 훔쳐가기만 하면 되는 걸 왜 어린이를 죽이나요. ㅜㅜ
세월호는 아직도 생각만해도 가슴이 미어지는데 그 가족과 친구들은 어떨지...ㅜㅜ

han22598 2021-04-25 14:19   좋아요 0 | URL
어릴때는 상황파악이 잘 안되어서 잘 몰랐지만, 참 안타까운 사건인 것 같아요.

세월호..정말 시간이 지날 수록 더욱 안타까움이 더해지는 것 같아요. 세월호로 인해 힘들어하는 많은 이들에게 귀를 열고 마음을 열어 함께 하신 정혜신 작가님 같은 분들도 계셔서 정말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월천예진 2021-04-23 07:4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모든 고통과 슬픔은 개별적이고 주관적입니다. ~~ 라는 문구가 깊이 파고드네요. ㅡ.ㅡ오늘은 하늘이 많이 흐립니다. 비가 올 것만 같아요.

han22598 2021-04-25 14:27   좋아요 0 | URL
요즘에는 그래서 과연 우리가 남의 고통을 이해한다는 것은 과연 가능한 일인가하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이곳도 일주일 동안 내내 흐리고 비가 내리더니 오늘은 하늘 맑음이에요 ^^

페넬로페 2021-04-23 08:5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읽어가다 친구가 몸이 안좋아 그랬는줄 알았는데 도둑이 들어와 죽이다뇨?
그 어린 아이를~~
너무 나쁘네요^^
뭉퉁거려 표현되고 단순화 시킨 것들 속에 얼마나 많은 아픔들이 들어 있는지 생각만해도 먹먹하네요^^

han22598 2021-04-25 14:29   좋아요 1 | URL
사실 저도 그 사건의 굉장히 단순화 시켜서 기억하고 있어서 실제로 그 가족들과 주변분들의 슬픔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는 것 같아요. 생의 삶 가운에 많은 슬픔과 기쁨이 스며들어 있는 것 같아요.

mini74 2021-04-23 12: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떤 사물 사건 날짜. 매번 연관되는 것들을 보면 상실의 고통은 다시 찾아오는 거 같아요. 그래서 전 4월이 참 힘들어요. 아버지 제사, 세월호. 묻지도 잊지도 못할 일들이 있지요 ㅠㅠ 해근이 이야기 참 가슴 아픕니다.

han22598 2021-04-25 14:32   좋아요 1 | URL
함께 가슴 아파해주시다니.....반복되는 상실의 기억으로 슬픔기도 하지만 또 그것이 그 사람을 잊지 않고 기억하게 해주기도 하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2021-04-23 14: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4-25 14: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얄라알라 2021-04-23 23: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읽다가 숨이 잠시. 읽기만 해도 고통스러운데 기억까지 하시는 han님 힘드시겟어요

han22598 2021-04-25 14:35   좋아요 0 | URL
마음을 함께 해주셔서 감사해요.얄라님.

라로 2021-04-24 07: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다운중후근이면 그렇게 죽이지 않아도 오래 살지도 못할 사람인데,,더구나 아이를 그렇게 하다니,,ㅠㅠ
세월호,,,아직도 고통과 슬픔에 빠져있을 그 가족들을 생각하니,,, 위로를 하고 싶어도 입 안에서만 맴도네요..ㅠㅠ

han22598 2021-04-25 14:39   좋아요 0 | URL
계속 맴도는 의문은 도대체 어떤 마음을 가진 사람이 아이를 해칠 수 있을까?에요...참 이해하기 힘든 상황인 것 같아요.

세월호....4월 생각하면 참 마음이 무거워지는 것 같아요. 우리는 슬픔을 가진 자들과 함께 이 생을 함께 살아가야할 일이 남아 있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