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맛 읽어주는 여자 - 마음의 허기를 채우는 음식에 관하여
모리시타 노리코 지음, 지희정 옮김 / 어바웃어북 / 2018년 1월
평점 :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하면, 아주 진한 초콜릿 케이크를 먹곤 하는데요. 마치 몸 안에 쌓여있던 많은 것들이 스르르 녹아 내리는 기분이라고 할까요? 이제는
어떤 습관이 되어버린 것일까요? 언제부터인가는 초콜릿이 시각이나 후각으로 느껴지면 절로 행복이 찾아오는
느낌이 들어요. 저라는 사람만 봐도 인간에게 음식이 어떤 것인지 이해가 갈 거 같네요.
이번에 읽은 모리시타 노리코의 <맛 읽어주는 여자>는 맛을 통해서 사람을 그리고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을 읽어주는 책인데요.
책을 읽으면서 참 많은 추억을 떠올리고, 행복하고 그랬답니다. 책에서는 이를 “어느 날 같은 맛 혹은 비슷한 맛과 만나면, 책 사이에 끼워둔 책갈피 끈을 잡아당겨 페이지를 폈을 때처럼 맛의 감정이 선명”하게 떠오른다고 표현하는데요. 굳이 비슷한 향이나 맛을 만나지 않아도
이렇게 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그럴 수 있었네요. 특히나 ‘송이버섯’에 대한 이야기가 그러했는데요. 이를 “숲을 졸인 맛”이라고 표현하는데, 글을
읽는 내내 외갓집에서 할아버지가 직접 캐오신 송이버섯을 먹을 때의 따듯하고 향긋한 추억이 머릿속에 맴돌아, 결국
그 날은 송이버섯을 먹으로 다녀오기도 했어요. 작가의 말에 나왔던 것처럼 저 역시 “음식에는 언제나 추억이라고 하는 양념이 배어 있다”고 생각해왔거든요. 하지만 그래서 내 추억속의 음식처럼 맛있는 것을 다시 맛볼 수 없는 것이 아닐까라고도 생각했는데요. 이번 기회에 추억 속의 맛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추억을 양념으로
하여 먹을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지요.
또한 풍부한 인문학적인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는데요. 근대화시기의
일본의 구호였던 ‘화혼양재和魂洋才, 일본의 전통 정신에 서양
기술을 더해 일본의 고유 문화로 재해석한다’를 음식으로 집약한 것이 돈가스라는 것에 저도 공감이 가더군요. 물론 후에 등장하는 고로케 역시 마찬가지가 아닐까 하고요. 물론
돈가스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뜬금없게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소스에 대한 이야기로 관심이 흘렀는데요. 저 역시 굴튀김을 정말 좋아하는데요. 저는 항상 타르타르소스에 찍어먹곤
해서인지, 어린시절부터 나름의 원칙을 갖고 있던 작가가 불독 돈가스 소스에 찍어 먹어왔다는 이야기가
자꾸 제 호기심에 불을 지펴서요. 마침 불독 소스를 갖고 있기도 해서,
주말 메뉴는 일찌감치 굴튀김으로 정해버렸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