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비안 마이어 : 셀프 포트레이트 ㅣ 비비안 마이어 시리즈
비비안 마이어 사진, 존 말루프 외 글, 박여진 옮김 / 윌북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솔직히 비비안 마이어가 누구인지, 어떤 사진을 찍었는지도 잘 몰랐다. 하지만 <비비안 마이어 셀프포트레이트>에 나오는 셀피를 보면서 그녀의 팬이 되어버렸다. 책을 받아보기
전부터 책 소개에 일부 소개된 그녀의 사진이 내 눈길을 사로잡았다. 그래서 그녀에 대해 검색을 해보니, ‘비비안 마이어를 찾아서’라는 영화가 있었다. 경매장에서 현상된 필름이 가득한 상자를 발견한 존 말루프는 그 어디도 자신의 사진을 공개하지 않았던 비비안
마이어의 15만장의 필름을 만나게 된다. 1950-60년대의
뉴욕과 미국, 그 시대에 살던 사람들이 자주 가지 않았던 나라들의 풍경, 그리고 이 책에 집중적으로 소개된 자화상이다.

책을 처음 본 순간 바로 감탄사가 흘러나올 정도였는데, 크래프트 느낌이
나는 천으로 감싸여 있는데, 특히 뒷면은 비비안 마이어 사진 중에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진이 들어가
있다. 흑백사진과 원단의 느낌이 어우러져서 책 자체가 바로 액자가 되는 느낌이라 장식용으로 서재에 세워놨을
정도이다. 그녀의 셀카는 우리가 요즘 생각하는 것과는 많이 다르다. 자신을
중심으로 특히나 자신이 아름답게 나오는 것에 집중하는 셀카가 아니라, 풍경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가는
사진들이다. 그래서 때로는 그림자이기도 하고 때로는 유리창에 비쳐진 도시의 풍경속에 자신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섞어놓기도 한다. 마치 이 세상을 다녀간 흔적을 남겨놓은 느낌이 든다고 할까?
그래서인지, 그녀의 사진은 매우 독특하다. 도시의 풍경을 정말 잘 활용하고 매우 모던한 느낌의 사진인데, 가만히
보고 있으면 마치 중세 유럽의 초상화처럼 느껴지는 사진들도 참 많다. 단순히 흑백사진이라 그런 것이
아니라, 그녀 스스로 그러한 구도를 찾아내는 느낌도 든다. 물론
건조한 느낌을 주는 무표정한 그녀의 모습이 더욱 그런 이미지를 더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문득 내가 기억하기로는
거의 유일한거 같은 미소를 머금은 셀카가 기억난다. 의도되었든 아니든 어떤 사람이 옮기고 있는 거울에
비친 자화상이었는데, 약간 비스듬한 거울속의 자신의 모습을 보며 작게 웃고 있었다. 그 순간을 포착해낸 것이 즐거웠을 수도 있고, 자신은 똑바로 서있는데
세상이 자신을 비치는 세상이 비스듬히 눕혀진 모습이 흥미롭게 느껴졌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의
사진을 다시 떠올려보면 왠지 후자쪽인거 같은 이유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