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지켜온 나무 이야기 -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로 만나는 우리 문화와 역사
원종태 지음 / 밥북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오랜 시간 우리와 함께 해온 나무에 얽혀 있는 이야기들을 통해 나무와 좀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해주는 <한국을 지켜온 나무 이야기> ‘세금 내는 납세자, 장학금을 주는 장학회장인 예천의 석송령, 정이품의 높은 벼슬을 갖고 있는 소나무, 동서양에서 인정하는 학자수인 회화나무 등 정말 다양한 나무들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다. 거기다 오래되고 유명한 나무들이 간직하고 있는 신기한 전설 같은 이야기도 많이 있어서 정말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세조가 행차를 할 때, 스스로 가지를 들었다 하여 정이품이라는 벼슬을 받았다는 보은의 정이품송은, 아쉽게도 생사의 투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명목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아스팔트가 깔리고 주위의 나무들이 사라지면서 같은 나무들끼리 서로 어우러져 살아가야 하는 생태계에서 인위적으로 밀려난 탓이다. 어쩌면 인위적인 손길로 자연의 섭리를 깨트렸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잘 보여주는 일이 아닐까 싶다.

나도 연리지를 실제로 본적이 있고, 연리지 하면 떠오르는 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도 그때 나눈 적이 있었다. 연리지의 그 신기한 자태와 사랑이야기에 빠져있어서 연리지가 되기까지 얼마나 어려움을 겪어야 하는지 몰랐었다. 두 나무가 껍질이 터지고 진물이 흐르는 아픔과 고통의 시간을 수개월 길게는 수년 동안 함께해서 생기는 것이 연리지라고 한다. 그렇게 영원히 함께하는 사랑만을 꿈꿨지만, 그 사랑이 이루어지는 과정 역시 잊어서는 안될 듯 하다.

그리고 무궁화에 대한 이야기도 기억에 남는다. 사실 어렸을 때 무궁화 무궁화 우리나라 꽃이라며 노래를 부르기도 했었는데, 나 역시 무궁화를 많이 본 것은 일본에서였던 거 같다. 사실 무궁화는 오랜 시간 동안 우리 민족의 사랑을 받아왔다고 한다. 중국의 <산해경>에는 "북방에 있는 군자의 나라는 사람들이 사양하기를 좋아하고 다투기를 피하며 겸허하고, 그 땅에는 근화가 많아 아침에 피어 저녁에 진다" 라는 기록이 있었고, 신라를 근화향 즉 무궁화의 고장이라고 불렀던 기록도 있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우리나라꽃이라고 하는 무궁화가 사라지게 된 것은 일제 강점기의 무궁화 탄압에 의한 것이라고 하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책을 다 보고도 계속 기억에 남는 것은 바로 울릉도의 향나무이다. 마치 하나의 예술작품을 보는 듯한 자태가 아름다웠는데, 향나무는 사람들의 손길을 피해가기 힘들어서 그렇게 오랜 시간 자라온 향나무가 많지 않다고 한다. 울릉도뿐 아니라, 송광사 천자암의 곱향나무도 참 독특한 아름다움을 갖고 있었다. 어쩌면 나무가 갖고 있는 은은한 향 때문에 도리어 그 자태를 뽐낼 기회를 놓쳤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